제가 가지고 있는 여러 책들과 알고 있는 내용을 종합하여 나름대로 결론을 내려 보았습니다..
읽어보시고 틀린 부분이나 다른 의견 있으시면 글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
우선 핵심은 공복시와 식사후의 위내 pH 변화와 이에 따른
유산균이나 항진균제 (이트라코나졸,케토코나졸) 의 복용법입니다..
음식물이 위에 도착하면 위산이 분비됩니다..
위 속의 단백질과 폴리펩티드는 산을 중화시켜 위액 pH의 급속한 저하를 방지합니다..
따라서 단백질이 없을 때보다 단백질이 있을 때 더 많은 산이 분비됩니다..
위 안으로의 단백질 도착은 양성피드백 기전과 산분비의 음성피드백 통제 억제에 의해 산분비를 자극합니다..
이와 같은 기전을 통해 분비된 산의 양이 흡수한 단백질 양과 거의 같게 됩니다..
위가 공복상태가 되면서 단백질 완충액이 빠져나가고 pH는 감소하며,
가스트린과 HCl 분비도 따라서 억제됩니다..
정리하면 공복시 위내 pH는 1~2 이고 식사를 하면 위내에는 가장 많은 산이 존재하나
단백질의 완충작용으로 오히려 pH가 서서히 상승하여 식후 30분 경에는 pH가 3~5 가 됩니다..
식후 2시간 이후가 되어 공복이 되면 다시 pH가 1~2 이 됩니다..
유산균은 위산에 약하므로 위내 pH가 가장 높은 때인 식후 30분 복용이 맞는 것 같습니다..
항진균제의 경우에는 위산이 가장 많이 분비되는 식사직후에 복용하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식사직후에 항진균제를 복용하면 위내에는 위산,항진균제,단백질이 함께 존재하게 되는데
위산과 단백질간의 결합력보다는 위산과 항진균제와의 결합력이 훨씬 강하므로
( 이 결합력 계산하는 거 배운것 같은데 기억이 안 나네요 ㅠ.ㅜ)
위산은 먼저 항진균제와 작용하여 우리 몸에 흡수되고
그 다음에 위산은 단백질과 반응할 것입니다..
'건강 > 약사(처방)의약품 & 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용법 지침 - 일반적 용법지시,시간에 따른 용법지시,투여방법에 따른 용법지시 (0) | 2010.11.10 |
---|---|
[스크랩] 일반적인 투약법과 차이가 나는 의약품들 (0) | 2010.11.10 |
[스크랩] 아침, 점심, 저녁 구분하여 복용하는 경우 (0) | 2010.11.10 |
[스크랩] 조제지침(정제캅셀제,산제조제,액제 등의 조제,주사제,ATC조제지침) (0) | 2010.11.10 |
[스크랩] 쪼개거나 부시거나 벗기면 안 되는 정제 캡슐 (0) | 2010.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