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세상 21

자미두수 해설서

박사십이신 주로 1년운을 볼때 자주 사용했다. 이 자체로만 길흉을 판단해서는 안된다. 즉 정성이 길하면 길을 더해주고 흉하면 흉을 더해주는 의미로 파악해야한다. 박사 주서 병부 관부 등은 상당한 적중률이 있다한다. 1 박사 총명을 주한다. 보좌성과 명궁에 있으면 역량을 발휘한다. 주로 총명하고 지헤로우며 문예적인 기풍 창곡과 동궁하면 총명 재주 괴월과 동궁 영예 귀인에게 발탁된다. 2 역사 권력 주한다. 명궁에 있으면 권력이 있다 했다. 권적인 본질 때문에 화권을 좋아한다. 예 재성인데 화권 있다면 재권이 될것이다. 파군 탐랑 무곡 태양 화권과 둥궁하는 것을 좋아한다. 천무 천귀 보좌길성과 동궁하면 그해 승진 3 청룡 상서롭고 기쁜일을 주한다. 둥궁이나 정성이나 성계 의미하는 길한 일에 기쁨을 더해준다...

[스크랩] 조선의 왕중 단종, 인종, 명종, 경종, 순종의 공통점은?

답 : 자녀가 없었다는 점입니다.  공주도 없었어요.   조선의 27명의 왕중에 3대 태종과 9대 성종은 29명의 자녀를 둔 힘쎈 왕이였습니다.   그러나 6대 단종, 12대 인종, 13대 명종, 20대 경종, 27대 순종은 자녀가 한명도 없었군요.   6대 단종과 20대 경종은 이유가 비슷하구요,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