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도표식 복약지도

[스크랩] 임상검사수치(혈액,소변,전해질,일반화학,혈액응고,당부하,위액,체액,혈액은행,혈청면역,면역화학,세포면역화학)

왕초롱이 2010. 11. 9. 22:29

 

첨부파일 pathology-insky170.hwp

 

 

변화를 시도하는 한국간호사들의 모임...CyberRN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RBC

M:4.6~6.2×10/dl

F:4.2~5.4×10/dl

심한설사, 탈수, 급성약중독, 폐섬유증, 다혈구혈증, 이차성 다혈구혈증

빈혈, 골수기능부전, 용혈성빈혈,Addison'disease, 출혈, Rheumatic fever

WBC

4.5~11×

 { 10}^{3 }

 

/dl

급성감염, 홍역, 외상, 백일해, 악성종양, 혈청병, 순환장애

세균감염, 약이나 급성 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 기능저하

Hb

M:13.5~18g/dl

F:12~16g/dl

COPD, 다혈구혈증, 울혈성 심부전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 출혈, 갑상선기능항진증

Hct

M:40~54%

F:38~47%

적혈구 증가증, 다혈구혈증, 탈수

빈혈, 백혈병, 갑상선기능항진증, 임신에 의한 용혈성 빈혈, 급성 중증출혈, cirrhosis

Plt

150~400×

 { 10}^{3 }

 

/ l

암, 외상, 만성백혈병, 다혈구혈증, 류마티스관절염, 심장병, 만성췌장염, 경화증, 결핵

감염, 폐렴, 알러지,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암화학요법중, 대형수술후

Neutrophils

전체 WBC의 54~62%

2000~7000/ l

세균감염시

독소적 항원, 호르몬 질병, 혈액질병

Band

전체 WBC의 2~4%

100~400/ l

감염상태, 화학요법, 세포 생성의 장애, 독소형 감염

 

Lymphocyte

전체 WBC의 54~35%

1000~4000/ l

세균성 상기도 감염, 호르몬 질환

호지킨 병, 화상, 외상, 쿠싱질환, 초기급성방사성 증후군

Basophils

전체WBC의

0~0.75%

과립구성 혹은 호염기성구 백혈병, 골수 전이기(Myeloid metaphasia), 알러지 질환

 

Monocytes

전체 WBC의 3~5%

100~600/ l

감염시, Collagen disease, Hematologic disorder

 

Eosinephils

전체 WBC의 1~4%

0~450/ l

과면역알러지, Addison'disease

Adrenal의 증가

ESR

M:0~10mm/hr

F:0~20mm/hr

급성 결핵, 류마티스성 열, 심근경색증

채혈시 응혈된 것이 섞일때,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는 경우, 고혈당, 다혈구증, 저fibrinoben

Reticulocyte

0.5~1.5%

급성출혈, 용혈성 빈혈, 골수외 조혈이 있는 경우, 비장 적출후

재생불량성 빈혈, 철결핍성 빈혈, vit B12결핍성 빈혈

 

1.혈액검사


MCV

80~96n(

{ }^{3}

 

)

비타민 B12결핍성 빈혈, 화학요법

철결핍성 빈혈

지중해성 빈혈

MCH

27~31pg( g)

MCHC

32~36%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Color

Amber yellow

 

 

S.G

Random:1.003~1.030

24hr:1.015~1.025

당뇨병, 신증, 체액상실

중증의 신장 손상, 소변량 증가

pH

4.6~8.0

요도감염, 유분부 협착

신장기능저하, 고단백식이

Glucose

(-)

당뇨병, 송과선 장애, 혈압 상승,

 

Protein

(-)

신장질환, 외상, 중증빈혈, 복부종양, 갑상선기증항진, 심장병, 장협착

 

occult blood

(-)

중증화상, 말라리아, 용혈, type이 다른 혈액 수혈, 독성약물 복용

 

Ketone

(-)

수술전, 임신, 당뇨병, 산증

 

Bilirubin

(-)

간염, 간기능 저하, 간세포 질환, 담도협착

 

Urobilinogen

0.2~1Enrlich

unit/dl

Cirrhosis, 용혈성 질환, 담관질환

설사, 신장기능장애

RBC

0~3/HPF

신장질환

 

WBC

0~5/HPF

신우신염

 

Ep.cell

occsional renal

ep.cell

신증, Amyloidosis,

Poisoning

 

Bence-Jones protein

(-)

Myeloma가 있을때 골수에서생성되어 요중에 나타남

 

 

2.뇨, 임상검사








3.전해질 검사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Na

Random:135~145mEq/L

24hr:40~220mEq/L

혈액농축, 신염, 유문부 협착

Addison's disease, 점액수종

K

Random:3.5~5.5mEq/L

24hr:25~120mEq/L

Addison's disease. 핍뇨, 무뇨, 용혈, 조직파괴

당뇨성 산증, 설사, 구토

Cl

Random:98~110mEq/L

24hr:110~250mEq/L

신염, 요관협착, 빈혈, 에테르 마취

당뇨병, 설사, 구토, 폐렴, 중금속 중독, 쿠싱병, 화상, 장협착, 열성상태

 


 

4.일반화학검사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ALP

39~119U/L

간질환, 골질환

 

AST(SGOT)

ALT(SGPT)

13~51U/L

5~57U/L

급성 간염, 담도협착성 황달, 근골격계질환, 간질환, 심근경색증

 

Amylase

Random:30~110U/dl

24hr:1500~6000U/dl

급성 췌장염, 이하선염, 십이지장궤양, 췌장두부악성종양, 췌장 위종양(pseucocyst)

급성 췌장염, 췌장섬유증과 비후, 간경화, 급성 알콜중독, 임신중독증

Lipase

<1U/ml

담도협착, 간염, 소화성궤양

 

LDH

70~200U/L

악성빈혈, 심근경색증, 폐경색, 간질환

 

γ-GT

M:3~39U/L

F:1~27U/L

알콜성 간염, 활동성 지방간염, 간경변, 지방간, 간암,각종 간담도 질환

 

CPK

M:50~325mu/ml

F:5~250mu/ml

근골격계 질환, 근육주사시, 쿠싱증후군, 갑상선기능저하증, 망상, 심혈관계질환

갑상선 기능항진, SLE화학요법, 류마티스 관절염, Alkaline phosphatase혈증, 고빌리루빈혈증

CK-MB

<5%

심근경색 시작후 3~6시간에 오르기 시작, 12~24시간후 최고가 되고, 12~48시간에 정상으로 돌아옴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CK-BB

<1%

악성종양(위암, 폐암, 전립선암), 바이러스성 수막염

 

CK-MM

<5%

Duchenne형 근위축

 

Creatine Cx

80~120ml/min

 

신장 질환

Creatine

Random:M-0.2~0.5mg/dl

        F-0.4~0.9mg/dl

24hr:M-0~40mg/dl

     F-0~100mg/dl

담도협착, 임신, 신우염, 근육외상

 

Uric acid

Random:M-3.5~8.0mg/dl

        F-2.5~7.0mg/dl

24hr:250~750mg/dl

통풍, 협착성요로질환, 수은중독, 신증후군

중증 간부전, 임신

Iron

M:73~117μg/dl

F:281~361μg/dl

악성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용혈성 빈혈, 간염

철결핍성 빈혈

TIBC(Total Iron Binding Capacity)

M:281~354μg/dl

F:281~361μg/dl

철결핍성 빈혈

만성 감염성 질환

Copper

Random:M-70~140μg/dl

        F-80~155μg/dl

24hr:15~30μg/dl

간경화, 임신

윌슨 질환

Mg

1.8~3.0mEq/l

부분 갑상선 절제술

Ingestion of Epson salts

만성 알콜중독, 임신중독증, 중증 신질환

Ammonia

30~86μg/dl

중증 간질환

 

Total lipid

400~700mg/dl

갑상선 기능저하증, 당뇨, 신증, 신우신염

갑상선 기능항진증

Triglyceride

40~190mg/dl

당뇨병, 신증, 급성 담관염, 갑상선 기능항진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간경화

Phospholipid

150~250mg/dl

 

 

Free fatty acid

0.3~0.8mEq/L

당뇨, 비만, 쿠싱증후군, 갑상선기능항진증, 갈색세포종, 간염, 간경변과잉증

신증후군, 갑상선기능 저하증, 약물복용(glucose, β-blocker, 인슐린)

HDL

M:35~50mg/dl

F:45~65mg/dl

혈중에 증가하는 것은 좋은 상태, 사춘기 이후 여성,운동, 체중감소, 적당한 음주 후

허혈성 심질환, 뇌동맥 경화, 비만, 흡연

Total cholesterol

120~200mg/dl

지방혈증, 폐쇄성 황달, 당뇨, 갑상선기능항진증, 관상동맥질환

악성빈혈, 용혈성빈혈, 중증감염

ACE

M:30.2 17.6U/L

F:26.2 6.0U/L

간질환, 일차성 담도 경화증, 아밀로이드

 

 


 

5.혈액. 응고 검사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BT

(bleeding time)

1~4mm

자반증, 혈소판 감소

 

CT

(coagulation time)

6~13mm

혈액질환, 여러가지 혈액응고인자 결핍

 

PT

(prothrombine time)

10~15sec (100~80%)

혈액질환, vit K결핍, 간염, 경화증, 급성 독성 간괴사

 

APT

20~38sec

혈우병, vit K결핍, 간질환, DIC

암, DIC 초기, 급성출혈직후

Fibrinogen

200~400mg/dl

임신, 폐렴, 백혈구 증가되는 감염시

급성 간위축, 경화증, 티푸스열

 


 

6.당부하. 위액검사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FBS

60min

120min

180min

 

 

B.glucose

U.glucose

당뇨병

갑상선 기능항진증

말단비대증

감염


 

80~120mg/dl

20~50mg/dl

5~15mg/dl

Fasting level below

(-)

(-)

(-)

(-)

 

Glycosylated HbA1

5~9%

Urine glucose 24hr

130mg/dl

Glucose fasting

70~110mg/dl

Glucose 2PPBs

5~15mg/dl above fasting level

Gastric juice

BAO:<2 mEq/hr

MAO:5~40 mEq/hr

십이지장 궤양

Zollinger-Ellison syndrome

위궤양

 


 


7.체액검사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Appearance

colorless

화농성 수막염, 일본뇌염: 농성혼탁

 

S.G

1.006~1.008

 

 

RBC

WBC

0

0~5

바이러스성 수막염, 결핵성 수막염, 화농성 수막염, 지주막하출혈, 뇌척수매독, 유행성 수막염, 뇌종양

일본뇌염

Differential count

Lympo

바이러스성 수막염, 결핵성 수막염, 뇌종양

 

Protein

15~45mg/dl

바이러스성 수막염, 결핵성 수막염, 화농성 수막염, 지주막하출혈, 뇌척수매독, 유행성 수막염, 뇌종양, 외상, 출혈, 요붕증, 다발성 신경염

신속한 뇌척수액 생산

Glucose

50~80mg/dl

일본뇌염

결핵성 수막염, 화농성 수막염, 지주막하출혈, 유행성 수막염, 뇌종양

 


 

8.혈액은행 검사

검사

정상치

검사

정상치

Whole blood

용량/1Unit:400ml

Direct Coomb's test

(SLE,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면역성 범혈구 감소증)

(-)

Fresh whole blood

용량/1Unit:400ml

Indirect Coomb's test(수혈로 인한 불규칙 항체 생산, SLE, 혈액형 부적합)

(-)

Packed red cell

용량/1Unit:200ml

Isoagglutinin titer

(-)

WBC poor red cell

용량/1Unit:160ml

Rh Ab. titer

(-)

Washed red cell

용량/1Unit:400ml

Transfusion recation study

(-)

Fresh frozen plasma

용량/1Unit:140~180             ml

 

 

Cryoprecipitate

용량/1Unit:40ml

 

 

Platelet concentrate

용량/1Unit:40ml

 

 

 

9.혈청면역검사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증가/Positive)

ASO(Anti streptolysin O titer)

<200Unit

A군 연쇄상구균 감염:사구체 신염, 류마티스성 발열, 박테리아성 심내막염, 성홍열

CRP(C-reactive protein)test

<0.5mg/dl

염증성 질환, 체내 조직의 괴사, 류마티스성 발열, Malignancy

RA test

(-)

RA의 진단

Widal test

1:80

Salmonella(thyphlid균. parathphlid균)균의 혈청학전 진단법

Anti-HAV(IgM)

(-)

A형 간염

HBs(Hepatitis B surface) Ag.

(-)

B형 간염

Anti-HBs Ag.

(-)

HBc(Hepatitis B core) Ag.

(-)

Anti-HBc

(-)

 

HBe Ag.

 

(-)

HBV감염에서 초기활동성 질환이나 감염력이 높은 상태를 의미

Anti-HBe

(-)

감염력이 감소됨을 의미

AFP(α-fetoprotein)

8.5ng/ml

간암, 간아세포종, Teratoblastoma, 성인 생식선의 embryonic tumor

CEA

smoker:5ng/ml         이하

nonsmlker:3ng/ml이하

수술전 대장, 직장 종양의 단계를 결정, 대장, 직장 종양의 재발

Antinuclear Ab.

(-)

SLE진단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Transferrin

230~320mg/dl

임신, 철결핍성 빈혈, 출혈중, 급성간염, 다혈구혈증

악성빈혈, 염색성 겸상적혈구빈혈, 간신생물과 간질환

Ferritin

M:29~371ng/ml

F:폐경전-5~96ng/ml

  폐경후-5~277ng/ml

급성 골수성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철결핍

Ig A

M:100~490mg/dl

F:85~450mg/dl

감마 A 골수종, 자가면역질환, 간경화

무감마글로불린혈증, 저감마글로불린혈증

Ig D

0~3mg/dl

Ig D 골수종, 만성 감염성 질환

 

Ig E

20~740ng/ml

알러지 환자, parasitic infection있는 환자

 

 

10.면역화학검사


Ig G

800~1750mg/dl

IgG골수종, Following hyperimmunization, 자가면역성질환,만성 감염증

선천성 저감마글로불린혈증, Ig A 골수종,

긴장성단백질소실,Some malabsorption syndrome

Ig M

M:50~320mg/dl

F:60~370mg/dl

parasitic infection, 간염,Waldenstrom's macroglo bulinemia

몇몇 Ig A, Ig G골수종,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무감마글로불린혈증

 {C}_{3 }

 


50~90mg/dl

SLE 사구체 신염, 화농성 신염

 

 { C}_{4 }

 


10~40mg/dl

 


 

11.세포면역, 화학 검사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T cell subtype

 

lymphoprolifeative disorder,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비호진킨병, Hyperspleenism

골수질환, 패혈증, 영양부족, 화학요법의 부작용

T&B cell count

T cell:80.2~94.4%

B cell:9.7~13.6%

Null:8.4~13.4%

HLA typing(A,B,C)

HLA typing(DR)

HLA cross matching

 

Transplantation에서 유전상태 진단시

 

Karyo-typing

 

chromosom배열 확인시

 

 


 










12.핵의학 검사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 T}_{3 }

 

-uptake RIA

30~40%

갑상선기능항진증, 스테로이드 복용

갑상선기능저하증,임신, 에스트로겐이나 배란억제약물 복용자

 { T}_{3 }

 

 RIA

100~200ng/dl

임신,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기능저하증

 { T}_{4 }

 

 hyroxine RIA

5~12μg/dl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염, 임신, Cases of elevated thyroxine-binding proteins caused by oral contraceptives

일차적 송과선, 갑상선기능저하증, Cases of diminished thyroxine-binding proteins caused by androgenic & anabolic steroids, 저단백혈증

TSH RIA

5↓ uU/ml

일차적 갑상선저하증

 

Rennin RIA

0.2~2.5ng/ml/hr

Renovascular HTN

Frank primary aldosteronism, 염분섭취증가, 염분정체성 스테로이드요법, 항이뇨호르몬요법, 수혈

Aldosterone

50~194ng/ml

조절되지 않는 addison' disease, 일차성 염분소실성 신질환, 저염식이, 이뇨요법, 출혈

addison's disease

ACTH RIA

80↓ng/ml

송과선의존성 쿠싱병, Ectopic ACTH syndrome, 일차성 부신비대

부신피질종양, Adrenal insufficiency secondary to hypopituitarism

cortisol RIA

8AM:7~25μg/dl

4PM:2~9μg/dl

스트레스:감염질환, 수술, 화상, 임신, 쿠싱병, 췌장염, 자간증

부신피질 종양, 뇌하수체전엽 기능항진

Folic acid

4~16ng/ml

 

간질환, 중증 용혈성 빈혈, 임신중의 대적혈구성빈혈, Inadequate diets, Liver disease, Malabsorption syndrome,

출처 : 김해중앙병원 약제부
글쓴이 : 코지 원글보기
메모 : 임상검사수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