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약사(처방)의약품 & 제품

[스크랩] 단백뇨 발생원리와 1차 선택약 스테로이드의 작용원리

왕초롱이 2010. 10. 23. 20:21

단백뇨 발생원리와 1차 선택약

 

스테로이드의 작용원리

 

 

 

 

[그림] 단백뇨 (bubbly urine)

 

 

 

단백뇨라(proteinuria) 함은

 

혈액중에 있어야 할 Albumin 같은 생명의 단백질이

 

콩팥 여과기를 통해 많이 빠져나가는 상태를 말한다

 

 

 

 

 

단백뇨 진단

 

 

정상 상태

미세단백뇨

단백 뇨

(임상 증상 인정)

총단백질

24시간 검사

300mg 이하

 

300mg 이상

 

수시검사

20mg/dL 이하

 

30mg/dL 이상

알부민

24시간  검사

30mg 이하

30-300mg

300mg 이상

 

수시검사

3mg/dL 이하

3mg/dL  이상

 

 

 



 

 

단백뇨는

 

염증성 병태이든

 

비염증성 병태이든

 

무려 50여 가지의 병태에서 나타난다

 

 

 

 

 

 

 

 

 

 

 

 

빈도 높은 소아의 빈뇨증상으로부터

 

비만 체질인 자

 

심장병이 있는 자

 

당뇨병자

 

대사증후군도

 

단백뇨는 중요한 진단 기준이 된다

 

 

 

 

[그림]  신장 이식 부위

 

 

 

 

단백뇨는 무조건 치료해야 한다

 

원인에 관계없이 터진 논두렁의 물고부터 막아 버려야 한다

 

콩팥의 여과기인 사구체는

 

단백질을 결코 여과 시켜서는 안되는 곳이다

 

 

 

[그림] 여과기 사구체(glomerula) 가 양쪽에 1 백만개 존재

          한개가 완전 망가지고 남은 한개가 70% 가지 망가저도 생을 유지 할수 잇다

 

 

 

 

어떻게 해서 단백질이 빠져 나가게 되는가에 대한

 

원리가 밝혀진 것은

 

2006년 영국 신장 연구팀에 의해서였으며

 

아울러 Dexamethasone 같은 Steroid  

 

1차 선택약임이 저명한 전문지(Kidney)를 통해 발표한 바있다

 

 

 

 

 

 

 

 

  

[그림] 염증이 없이 나타난 단백뇨도 부종으로 악화

 

 

이 연구는 임상 응용학적 실험 결과를 겸한

 

매우 중대한 기초 과학적 발견이므로

 

종합의학의 저명한 전문지 ┖NEJM┖는 최신호를 통해

 

단백뇨 병태와 Steroid 요법의 중요성을 발표한 것이다

 

 

 

 

 

 

 

 

 

단백뇨 치료 용량

 

 

 

 

단백질이 새어 나가는 사구체 세포를

 

다시 아물게 하고 재생시키는 데 유효한

 

Steroid 투약 최적량은 다음과 같다

 

 

 

1 1회 량 4-6

dexamethasone.

IV  3 mg

경구용 가

Methylprednisolone

IV  1gm

Prednisolone

IV  1gm

 

 

 

 

 

[그림] 1: 사구체 중의 족발 세포 (정상 상태)

2 망가지고 이시는 상애

3. 망가져 버린 상태;

 

 

 

 

 

 

 

 

[그림] Podcyte  라는 족발 세포가 세포 간격을 막아

         단백질 같은 거대 분자의 여과를 막고 잇다

  

 

 

 

 

단백질 통과 시키는 세포

 

 

족발세포 (Podocyte) “

 

 

 

 

 

여과 기능을 수행하는 사구체 조직 중에는

 

족발세포 (Podocyte)라 불리는 세포가 있다

 

이 세포가 망가지면 세포들 사이 사이가 느슨해 지면서

 

틈새가 크게 벌어지고 단백질이 빠져 나가게 된다

 

 

 

 

 

[그림] Podiocyte 이 최외각에서  단백질 유출을 막는다

 

 

 

 

 

 

이 세포(Podocyte)를 다시 재생 시켜주면

 

여과기 망이 다시 쬬여 들어

 

단백뇨가 살아지고 콩팥 여과 기능이 정상화 된다

 

 

 

 

 

 

 

 

 

 

 

 

Steroid

 

Podocyte 의 직접적 구세주

 

 

 

 

부신 피질 호르몬은 망가진 Podocyte 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세포를 재생시키는 구세주 이다

 

면역 계나 신경계나 기타 호르몬 게를 동원하는

 

간접 작용이 아니다

 

 

 

 

 

 

 

 

 

 

 

지금까지 의 오해

 

 

 

 

지금 까지는 면역성 병태로 발생한 사구체 염이든

 

기타 원인으로 발생한 단백뇨 이던 간에

 

전문의 들은 이유를 모른 채 Steroid 를 처방 해 왔다

 

 

T- 임파구가 사구체에 모여 들어 사구체를 파괴 할 것이라 추축했다

 

Steroid 는 이 T- 임파 구를 모여들지 못하게 한다고 생각 해 온 것이다

 


 

 

 

 

 

 

 

 

 

Podocyte 이 망가지는 병태

 

 

 

 

 

상기 그림에서 처럼

 

어떤 외적 요인이 이 Podyte 세포에 가해져서

 

Snaptopodin 이라는 단백질에 인산기가 붙는 것을 방해하면

 

세포 골격 섬유(actin) 가 불 안정한 구조를 이루게 되어

 

족발 세포가  쬬여 들면서 세포 사이 사이 연결이  느슨하게 벌어진다

 

 


뿐만 아니라 C-Mip 라는 단백질이 증가하여

 

Actin 구조를 흥클어 놓으면서 상술한 바오같은 현상을 유발한다

 

 

그리고 결국  족발 세포는 사암하게 된다

 

 

Steeroid 이는이상과 같은 병태를 모조리 고처 줄 뿐아니라

 

새로룬 족발 세포를 재생 시킨다

 

 

 

 

 

 

 

 

 

 

[그림1] 족발 세포(Podocyte) 막에 출현한 Dexamethasone 수용체

 

 

 

 

 

 

 

Steroid 의 직접 작용

 

 

윗 그림에서처럼

 

족발 세포 막과 세포질 내와 핵 에 존제하는

 

Steroid 수용체에

 

Dexamethasone 같은 스테로이드가 결합하여

 

직접적으로 족발 세포를 재생 시킨다

 

 

 

 

 

 

 

 

 

 

 

[그림] Dexamethasone  을 족발세포에 가하여 배양하면

 재상 유전자 Nephrin 합성



 

세포 재생 유전자 합성을 증가

 

 

 

 

윗 그림에서 처럼

 

Steroid 는 족발 세포의 재상에 필요한

 

재생 유전자 nephrin 합성을 증가 시킨다

 

 

 

 

 

 

 

 

 

 

[그림] dexamethasone 는 족발 세포 구조 형성에 필요한 tubulin  증가

 

 

 

 

 

골격 형성에 필요한

 

 

단백질 튜부 관을 합성

 

 

 

 

 

 

 

 

윗 그립에서처럼

 

Steroid 는 족발 세포의 골격 구성과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 튜부관 (Tublin-a) 합성을 증가시켜 준다

 

 

 

 

 

[그림] dexamethasone 은 족발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는

 cyclin kinase 를 억제하는 유전자 p21의 발동을 억제한다

 

 

 

 

세포 분열 효소를 활성화

 

 

 

 

Steroid 는 족발 세포가 분열 하는 Cell cycle

 

가속화 시키는 효소 cyclin kinase 을 활성 화 시킨다

 

 

단백뇨가 발생하고 잇는 상태는

 

족발 세포가 망가진 병태이고

 

족발 세포가 분열 증식을 못하고 잇는 병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염색체 6번의 유전자 P21 발동하여

 

세포 분열을 촉진하는 Cyclin kinase 를 억제하고 잇는 상태이다

 

윗 그림에서처럼

 

Steroid 를 투약하면 유전자 P21 발동이 억제되어

 

Cyclin kinase 가 할성화되어 족발 세포가 재생한다

 

 

 

[근거]

2008 Dec. 4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ume 359

Number 23:2492-2494; Proteinuria and Immunity—an Overstated

Relationship?; Peter W. Mathieson, Ph.D.’ Ref: Kidney International

(2006) 70, 1038–1045; Direct effects of dexamethasone on human

Podocytes; C-Y Xing1,2, M A Saleem1, R J Coward1, L Ni1, I R Witherden1

and P W Mathieson11Academic Renal Unit, University of Bristol,

Southmead Hospital, Bristol, UK  E-mail: p.mathieson@bris.ac.uk

 

출처 : 베짱이의 글 모음
글쓴이 : 베짱이 원글보기
메모 : 스테로이드-단백뇨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