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년기 이후 비만 억제 처방
중년 이후 갱년기에 접어들면서
나타나는 비만을 억제하려면
비타민-D와 칼슘을 복용 해 가면 된다
이는 하버드 의대를 비롯하여 무려 40 개 의과 대학 연구팀이
갱년기 지난 36,282 명의 여인 50-79)을 대상으로 하여
7년간 이중 맹검 비교 임상을 통해 밝혀낸 결과이며
미국 내과 학회지 (Archieve of Internal Medicine) 를 통해 발표된 것이다
골다공증 예방
비만 억제 양수 겹장
Vitamin-D 400 IU 와
Calcium 1,000mg 을 매일 복용하는 것은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필수적 표준 처방이다
이 처방을 그대로 복용해가면 비만을 막을 수 있다
비만 억제 원리
비타민-D 와 칼슘은 비만 억제에 필요한
두 가지 작용을 발휘한다
하나는 과잉의 지방 세포를 분해한다
하나는 새로운 지방 세포 생성을 억제한다
체중 감소보다는 비만 억제
비만자의 채중을 감소시키는 감소량은
평균 1-2kg 정도다
그러나 정상 체중자들에게
비만을 억제해준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효과인 것이다
신비의 비타미-D
비타민-D의 효과는 실로 다양하다
골다공증 예방 목적으로
노인의 근력 강화 목적으로
월경전증후군 예방 목적으로
항암 목적으로
건선 치료 목적으로
결핵 치료 목적 등으로 효과를 과시하고 있다
이 같은 다양한 작용들은
비타민-D 가 유전자 (klotho) 에 작용하여
칼슘이 작용하는 수용체를 만들어 낸다는 데 있다
칼슘은 세포 내에서 극미량으로 모든 대사를 유지시킨다
칼슘 농도가 약간만 많아도 세포는 죽는다
칼슘 농도가 약간만 적어도 세포는 활성을 잃는다
골다공증 예방도
비만 예방도 모두가 칼슘의 극미량 조절로 이루어지며
비타민-D 가 유전자 Klotho m를 통해 칼슘을 미세 조절한다
[근거]
May 14, 2007 Arichievs of Internal Miedicine Vol. 167 No. 9, 893-902
Vitin D Supplementation and the Risk of Postmenopausal Weight Gain,
Bette Caan, DrPH, Division of Research, Kaiser Permanente Medical
Care Program,:
Brigham and Women┖s Hospital,
University at
University of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University of Pittsburgh, University of Tennessee Health Science Center, University of Texas Health Science Center, University of Wisconsin,
'건강 > 약사(처방)의약품 & 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신경통에 잘 듣는 복합 처방 (0) | 2010.10.23 |
---|---|
[스크랩] 단백뇨 발생원리와 1차 선택약 스테로이드의 작용원리 (0) | 2010.10.23 |
[스크랩] 비타민 B5란? (0) | 2010.10.23 |
[스크랩] 야뇨증에 관하여.. (0) | 2010.10.23 |
[스크랩] 덧붙여서...복합엘시500 은.... (0) | 2010.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