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키나시아의 植物記]
에키나시아는 생약으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식물은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현재 약용되는 것은 3종이 있다.
Echinacea purpurea(U.)Moench,
E. angustifoliaDC.,
E. pallida(Nutt.)Nutt.
이들은 각각 뿌리, 전초, 신선한 재료로 압착즙, 신선한 꽃의 추출물(압착추출물)등이 제제화되어 거래된다.
이 생약은 미국 동북부는 물론이고 미국 전역에 자생하고 캐나다 남부지역에까지 자생 분포한다.
본시 미국의 원주민들에 의해 전통적으로 쓰여져 온 名藥에 속하는 것으로 전승되어 왔다.
일부 미국의 민속생약학자들은 만능약이라고 까지 상찬한 바가 있다.
이 식물은 국화과특유의 花冠을 갖고 있으며 花色은 적자색, 담황백색,
때로는 흰꽃에 붉은 반점을 가질 수도 있다.
개화가 되어 수일이 지나면 꽃잎이 쳐져서 원추형을 이루기 때문에 cone flower라고 이름 지었다.
學名은 “바다 장난꾸러기”또는 고슴도치의 라틴名 Echina에서 由來한다.
우리나라에는 이들과 더불어 淡黃白色의 꽃에 엷은 분홍색을 띤 꽃 잎을 갖는 E.pallida가 있는데 잘 자라며 월동도 잘 되어 그 生産性이 지목되고 있다.
[에키나시아 應用의 歷史]
이미 서술한 것처럼 에키나시아는 아메리카 인디안의 傳承的 名藥이다.
에키나시아 製劑가 사람들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서 科學的에는 이르지 못했어도 그 수요도가 급증하기 시작한 것은 1800년대 후반기의 일인데
이때서부터 1900年代 초까지 소위 미국 시장의 Top-selling의 허브로 성장했고
2003년 1月의 통계에 따르면 Food supplement의 mass market에서 은행, 마늘과 더불어 백중지세에 있다.
그러니까 Top-three의 높은 시장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에키나시아의 전통과 그시장성에서 볼때 그 제제의 개발은 매우 늦은 셈이다.
1800년에서 1900년대에 이르는 사이에 에키나시아 제제의 제조, 판매에는 起源植物의 同定이 이루어지지 않고 E.angustifolia와 E.pallida의 혼합물로 만든
소위 “Kansus snake root"라는 商品名으로 交易되었었다.
사실상 이두 主生藥은 생약학적으로 立證이 된 것은 1996년 이후의 일이다.
사실 미국땅에서 원료가 생산되고 제품도 개발 됐지만 이것에 대한 科學的, 藥學的인 증명은 독일의 연구진과 개발자에 의해 이루어진 것은 아이러닉한 역사적인 事實이다.
실제에 있어서 化學的인 접근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1988년 Rudolf Bauer, Hildebart Wagner등의
뮨헨大 學의 연구진에 의해 植物藥學的인 연구가 正軌에 오르게 된 것이다.
에키나시아의 제제의 제조와 그 응용은 대단히 오랜 역사를 갖고 있지만 그 제제의 과학화의 과정이 시작되는 것은 위에서 언급한 바 1988년 전후의 이야기가 된다.
이때까지의 실용성은 감기, 독감 등의 예방과 치료의 實利가 있어 이용되어 왔고 여러 가지 논란도 있었지만
상부기도 질환의 실제적인 응용이 전승되어 왔다.
1992년 독일의 Commission E는 E. purpurea의 根과 허브(주로 지상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에키나시아의 “치료적 이점”이 있음을 밝혔고 감기와 유행성독감에 효과 있음을 밝히게 된다. (Br ning 등 1992)이 지음
R. Bauer 등이 약학·생물학적 연구를 체계화에 대해서
① 제제원료의 식물학적기원의 同定 ② 제제의 제조 ③제조方式에 대해서 체계적인 연구를 이룩해서
(in vivo 시험까지 합쳐진 연구) E. purpurea에서 Eechinacinⓡ를 개발하게 된다.
또 E. pallida의 根, E. Angustiforia 등에 대해 cellimmun system 에 대해서의 연구도 진행된다.
(Ba ‥uer 1996)
또 수종의 活性成分(物質), 多糖類, 배당체 등에 대한 연구는 물론이고 체계적인 臨床실험이 진행되어
면역活性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
이때 에키나시아의 추출물에 대한 연구도 아울러 진행된다.(Melchar 등 1994)
한편 에키나시아의 추출물에 대한 면역증강효능(immunomodulatory effect)가 있다는 것도 H.wagner가
그 基調에 대해서 보고가 있다.(1997)
注射型 에키나시아제제는 E.purpurea의 지상부에서 만들어졌고 제제로는 Maduas AG에서 Echinacinⓡ이 개발되고
에키나시아의 混合제제는 Schaper & Bru ‥mmer(독 일)에서 Echirixinⓡ가 개발된다.
한편 아메리카에서는 캘리포니아 대학의 Irvine Medical 센터 See 등이(1997) E. purpurea에서 얻어진 물질에 대한 세포면역기능 검사에서 人蔘과의 효능을 비교함에 있어
①단핵세포 ②만성피로 ③선천성면역에 대한 연구결과 유효성을 인정했고 세포면역 低下에 대한 유효성도 아울러 인정하게 되었다.
결국 인터류킨 유사效果가 있으며 그로해서 면역기능을 비교적 경미하게 활성화시킨다고 하였는데
이는Ba‥uer와wagner의 업적에서 시작된 이어진 연구가 된다.
또 이들은 消炎효과에 대해서도 발표하였다.
아메리카의 제품 Echinagartⓡ에 대해서는 이미 1996년에 Hoheisel등에 의해 120명에 대한 검사에서
감기의 유관질환에 에키나시아 제제 Echingartⓡ의 초기투여(질환 발생초기)가
가장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도 보고되어 있다.
한편 스웨덴에는 그들이 개발한 에키나시아 제제 Echinaforcerⓡ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 환자의 증상개선효과가 68%에 이른다고 하였다. (1984~1995)
한편 Athletes Berg등은 Echnacinⓡ에 대한 실 험에서 싸이토카인 IL-6 soluble interleukin-2 receptor
(SIL-2R)가 관여하는 면역기능에 관여하여 血淸에서 양성적인 증가에 기여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각종 에키나시아의 化學成分]
에키나시아 제제 개발에 실용되는 생약은 모두에 기술한 바 3종이 있다.
이들 생약의 混合比는 제품에 따라 고정적인 것은 아니나 E. angustiforia root가 50%, E. purpurearoot가 25%, E. purpurea herb가 25%의 경우가 많고
또 여기에 타임( Thymus vulgaris), 페파민트를 配合하는 경우가 많다.
成分은 E. angustiforia의 지상부에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isochlorogenic acid, cicholic acid
등이 있으며 에키나시아에 공통된 성분으로는
①flavonoids, ②alkamionides, ③에키나시아에 관하여 ①flavonoids, ②alkamionides, ③ 다당류, ④정유
등이 있고 根도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지상부와 대동소이하다.
E. pallida의 지상부에는 caffetannic acid 외 에 페놀산계 물질은 E. angustiforia의 경우와 유사하다.
프라보노이드에는 루틴이 많고 알카마이드화합물이 있고 정유는 0.1%내외이다.
이들에 대한 연구는 B a ‥uer(1998)와 Liersch(1993), Leung & Foster(1996)등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E. pallida는 pale flowered echinacea 또는 pale purple cone flower라고 하며 뿌리가 많이 이용된다 .
카페인산유도체가 많아 主로 echinaco-side(0.7~1.0%)이고 다음이 isochlero-genic acid이며 그 외에도 카페인산, 크로르겐산 등이 있고 후자는 특히 항피로적인 기능도 갖는다.
정유는 0.2~2.0%가 있는데 이들 딴 식물에는 드문 특수성분 중의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기타 폴리아세티렌化合物이 있고 기타 다당류 糖蛋白등이 함유된다.
Echinacea purpurea Herb
이 생약은 cone flower, purple cone flower 라하고 뿌리와 더불어 제제원료가 된다.
신선한 재료를 쓰되 開花期에 수집한다.
성분으로는 주로 cichoric acid(1.2~3.1%)로 되어 있고 기타 카페인산, 크로르겐산이 함께 들어 있고,
alkamide(0.001~0.03%)를 함유하며 isomeric dodecae-2E, 4E, 8Z, 10E/Z tetraenoic acid isobutyl amide가
그 주체이며 수용성 다당류로는 PS-Ⅰ와 PS-Ⅱ가 함유된다.
프라보노이드는 0.48% 함유되고 주로 퀼세틴, 캄페롤타이프의 것으로 rutoside등이 함유된다.
정유는 0.08~0.32%이고 borneol유도체들이 함유된다.
Echinaciae purpurea root
미국에선 purple cone flower로 불리우고 약용의 주체의 하나로 인정되고 있다.
phenolic 성분으로서는 caffeic acid 유도체 0.6~2.1%로서 주체는 치코린산이고 크로르겐산,
카페인산, 후다루산이 함유되어 있어 동속식물 중에서 페놀산성분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다.
알카민은 0.01~0.04%가 들어있고 그 성분의 유형은 여타의 echinacea 식물과 유사하다.
polyacetylene 유도체와 多糖類가 있고 glycop-rotein이 있고 0.2% 내외의 정유를 함유한다.
應用
동물실험에서 탄소배출시험이 양성이어서 對肝 效果가 있고 뿌리 추출물은 phagocytotic 효과도 있는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또 화농성 상처, 농양성 부스럼, 무통성 하지괴양, 포진, 감기, 독감, 상부기도 염증 등에 응용되고
감기의 예방에는 그 사용의 빈도가 높다.
WHO도 이 계통 제제에 대한 응용범위의 記述이 점증하고 있다.
1999년 이후 WHO는 呼吸器疾患은 물론이고 尿道系의 질환에도 그 응용이 시사되고 있다.
그 외에도 인후염의 supportive therapy에도 그 응용이 권장되고 있다.
독일의 공인약으로 吸入劑가 권장되고 있다.
내병성의 강화의 효과도 있다 했고 上部氣道질환에의 응용은 1994년 이후의 권장사항으로 알려지고 있다.
독일의 Commission E는 E. purpurea의 각종제제가 (내복. 주사)면역증강의 기능 있는 것도 인정되고 있다.
이들 echinacea 제제들의 대중적인 응용의 擴大는 1880년 아메리카에서 여러가지 감염증이 유행했을 때
이들 제제가 대량으로 생산되고 실용된 것을 시작으로 해서
1920년대에 이르러서는 그 응용의 活性期를 맞게 된 것을 볼 때
오늘날의 이들 제제의 응용을 이해할 수가 있다.
副作用과 禁忌;
보고된 바에 따르면 內用이나 外用에 있어서의 부작용에 대한 보고는 찾아볼 수 없다.
비경구투여의 경우 투여량에 따라 단기간의 발열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드문 예이지만 국소 투여에 의해 알러지가 나타날 수도 있다.
임신기, 授乳期에 있어서의 각별한 주의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禁忌로서는 폐결핵환자, Leukosis, collagenesis 등 진행성 체계적 질환에는
그 응용을 제한한다는 권고가 있다.
최근의 보고에서는 이들 제제들이 감기처리에 있어서 효과가 떨어진다는 보고가 있다.
이것은 제제 제조에 있어서 원료생약의 unrefind condition과 그 배합에 있어서 Echinacea 원료 외에
Thymus vulgaris, Menthae folium 등을 混合함으로 오는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Burret BP 등 ;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2;137(12)939]
'건강 > 약사(처방)의약품 & 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야뇨증에 관하여.. (0) | 2010.10.23 |
---|---|
[스크랩] 덧붙여서...복합엘시500 은.... (0) | 2010.10.07 |
[스크랩] Re:스테로이드제 오래복용한사람 부작용막아줄... (0) | 2010.10.07 |
[스크랩] 술(에탄올)로 인한 간손상의 기전들^^(스트라이어 생화학 6판에서) (0) | 2010.10.07 |
도움이 되는 책 (0) | 2010.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