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복약지도(key)-카페

폐경기- 산부인과

왕초롱이 2011. 7. 1. 11:00

▣▣  Menopause

 

. 서론

 

 1. 폐경의 정의

 (1) The permanent cessation of menses for 1 year with the decline in estrogen secretion

       resulting from the loss of follicular function .

 (2) 조기 폐경: 40 미만의 여성에서 폐경이 도래하는 경우를 조기 폐경이라고 지칭한다.

 (3) 수술적 폐경

 

 2. 폐경의 의미

  (1)   40 이상의 여성에서 월경이 최소 1 이상 소멸한 경우 난소 기능의 쇠퇴로 인하여 수태 불능 시기로의 전환.

         폐경과 갱년기의 차이는....

       폐경 : 난소의 난포 수효의 감소-->  난포 정상 성장 지연--> 여성 호르몬의 생성 감소.

                  40세 이상의 여성에서 월경이 최소 1년이상 소멸한 경우를 지칭한다.

      갱년기  ;  난소 기능의 저하로 인하여 폐경에 이르기 2–10 전부터 ..월경주기가 비정상적으로 불규칙 

                        , 폐경이후의 년간의 기간까지를 포함하여 지칭한다.

 

  (2) 폐경 시기는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종족 영양 상태에 따라 달라질 있다.

      폐경에 이르는 평균 연령은 51세 입니다. .

 

  (3) 결과적으로  난소기능의 쇠퇴--> 수태 불능의 양이지만 여성 호르몬 생성은 된다. 

  (4) 폐경기에 문제가 되는 질환에는?

      심근경색증 뇌졸증 등의 심혈관 질환과  골다공증이 있다.

        폐경기 전후의 여성에서 성기능장애, 요실금, 우울증, 청력 손실, 근관절 이상, 기억력 감퇴 등이 있다.

 

 3. Perimenopausal phases

    폐경 , 후의 기간을 말함.  폐경 주기는 대략, 40 이후에 폐경까지 7 정도의 기간이 소요된다.  

   폐경 이행기(menopausal transition)시의 가장 중요한 증상은 불규칙한 월경이다.

   perimenopausal uterine bleeding 의 원인에 대한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 

   ☞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 폴립, 점막하 자궁근종, 혹은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 주폐경기에서의 혈중 estradiol 농도의 생리적인 변화로 인한 경우

 

 4. 폐경의 진단

   폐경의 상황은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무월경으로 안면 홍조 등의 자각 증상이 있는 40 이후의 여성에서

   serum FSH 농도가 40 IU/L이상인 경우에 진단할 있다.    

 

   Essentials of Diagnosis

  §  Cessation of menses due to aging or to bilateral oophorectomy.

  §  Elevation of FSH and LH levels

  §  Hot flushes and night sweats (in 80% of women)

  §  Decreased vaginal lubrication; thinned vaginal mucosa with or without dyspareunia.

 

  5. Postmenopausal period

    폐경후 여성에서는 혈중 estradiol 농도의 감소로 인한 에스트로겐 결핍 상황이 만성적으로 지속된다.

   따라서,  호르몬대체요법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 폐경기의 여성 호르몬 변화

 

 1. Estrogen

  (1) 폐경후 난소에서 estrone, estradiol 소량이 생성되며

       난소 기능의 저하 이후에도 가임기의 50-300 pg/ml보다는 적지만 100 pg/ml까지 있을 있다. 

  (2) Androstenedione 난소와 부신에서 생산되며 일차적으로 근육과 지방 조직에서 estrogen으로 된다. 

       비만 여성:  혈중 estrogen 농도의 증가로 인한 unopposed estrogen 자궁내막암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있다.

       마른 여성 :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 감소로 골밀도의 감소가 가속화될 있다.

 

  2. Progesterone

   폐경 이후에 프로게스테론의 생성은 중단된다.

   따라서 혈중의 에스트로겐이 자궁내막을 자극하여

   폐경기 여성에서 자궁내막증식증 혹은 자궁내막암에 대한 위험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3. Androgen

  (1) 폐경 여성에서 난소는 circulating androstenedione 50%, testosterone 25% 생성한다.

  (2) 폐경 이후에 난소 부신에서의 androgen 생성이 감소하게 되어

       난소는 androstenedione  의 20%, testosterone 40% 생성하게 된다. .   

 

 . Patient concerns about menopause

 

 1. Loss of childbearing capacity: 가임기에서 해방, 조용한 변화(Silent Passage, 게일 쉬이)

 2. Loss of youth: 2 성인기

 3. Skin changes: 폐경 이후의 급속한 피부 노화에 대한 두려움 vs. 중년

 4. Changes in mood and behavior

    (1) 우울증 : 폐경 여성의 20% 우울증으로 의료진을 찾게 된다.

    (2) anxiety and irritability

    (3) decreased libido or sexual satisfaction 

 

 . Postmenopausal uterine bleeding

 

 1. 원인

   대부분 무배란성임

   감별 진단 : 임신, 자궁내막증식증

   폐경 자궁내막암 빈도는 0.1 %/, abnormal uterine bleeding 있는 여성은 10%.

 

 2. 평가

abnormal uterine bleeding 있는 perimenopausal women 암을 배제하기 위하여 자궁내막 검사를 해야 한다.

 (1) Vaginal ultrasonography: 자궁내막 두께가 5 mm 이하인 경우에는 자궁내막증식증 암의 발생 위험이 극히 적다.

 (2) Endometrial sampling

 (3) Dilation and curettage

 (4) Hysteroscopy with uterine curettage 

 

 3. 치료

 

 (1) Hormonal therapy

 1) Oral contraceptives: 피임, 규칙적인 월경, 에스트로겐 결핍과 연관된 증상 치료  

     폐경까지 경구피임약의 사용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인자가 아니다.

     경구피임약을 사용하기 전에 위험 인자-

     hypertension, hypercholesterolemia, cigarette smoking, previous thromboembolic disorders,

     cerebral vascular disease, or coronary artery disease – 확인

    경구피임약의 에스트로겐의 용량은 폐경기 사용량의 4배다.

 

 2) Cyclic progestins

     MPA (medtroxyprogesterone acetate 10mg/day for 10days each month

 

 (2) Surgical therapy

    1) Dilation and Curettage

    2) Hysterectomy

    3) Endometrial ablation

 

 . 폐경

 

 1. 에스트로겐 결핍의 진단

 

 (1) Estradiol

      Absolute estradiol level should not be the deciding factor when considering HRT.

 

(2) FSH

   1) The most consistent finding in the menopausal transition is an elevation of serum FSH levels

FSH on cycle day #3

임상적 의미

5-10 IU/L

Normally functioning ovaries

10-25 IU/L

Relative ovarian resistance consistent with menopausal transition

>40 IU/L

c/w complete cessation of ovarian function

  2) Ovarian function can wax and wane over several years, and levels can fluctuate.

      Women with amenorrhea and FSH > 40 IU/L may resume menstruating for a short time in the future

     and occasionally may achieve pregnancy. 

 

  (3) LH: less value than FSH, E2

 

 2. 증상

 

 (1) Amenorrhea, Cessation of menstruation

   1) Menstrual cycles generally become irregular as menopause approaches.

   2) Anovular cycles occur more often, with irregular cycle length and occasional menorrhagia.

   3) Menstrual flow usually diminishes in amount owing to decreased estrogen secretion,

       resulting in less  abundant endometrial growth.

  4) Finally, cycles become longer, with missed periods or episodes of  spotting only.

  When no bleeding has occurred for 1 year, the menopausal transition can be said to have  occurred.

  Any bleeding after this time warrants investigation by endometrial curettage or aspiration to rule out

  endometrial cancer.

 

 (2) Hot Flashes, Hot Flushes: 1-3 minutes, 5-10 times

   1) Hot flushes (feelings of intense heat over the trunk and face, with flushing of the skin and sweating)

       occur in 80% of women as a result of the   decrease in ovarian hormones.

  2) Hot flushes can begin before the cessation of menses.

      An increase in pulsatile release of GnRH from the hypothalamus is believed to trigger the hot flushes

      by affecting the adjacent temperature-regulating area of the brain.

  3) Hot flushes are more severe in women who undergo surgical menopause.

  4) Flushing is more pronounced late in the day, during hot weather,

     after ingestion of hot foods or drinks, or during periods of tension.

  5) Occurring at night, they often cause sweating and insomnia and result in fatigue on the following day.

 

 (3) Sleep disturbances

 

 3. Long-term health problem associated with the menopause

 

 (1) Vaginal and urinary tract changes

   1) Vaginal tissue and the tissues of the urethra and bladder base are known to be estrogen sensitive. 

   2) With decreased estrogen secretion, thinning of the vaginal mucosa and

     decreased vaginal lubrication occur and may lead to dyspareunia. The introitus decreases in diameter.

  Continued sexual activity will help prevent tissue shrinkage.

  3) Vaginal dryness, recurrent vaginal infections

  4) Urinary symptoms: dysuria, urgency,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s, genuin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5) reversible with estrogen therapy 

 

  (2) CNS

     Difficulty concentrating and loss of short-term memory

     HRT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 ??

 

  (3) Cardiovascular disease

     HRT – cardioprotective ?? 

 

  (4) Osteoporosis

       Osteoporosis may occur as a late sequela of menopause.

     1) Pathophysiology 

 

    ※※ 골다공증에 대한 위험 인자

    표 요약할 것

   

  a. Age

     골소실율 : 폐경전 - < 1%/, 폐경후 – 5%/

 

  b. Hereditary

      흑인 < 동양인 < 백인, 가족력

 

  c. Estrogen status

    For women not taking HRT, bone loss after menopause is accelerated to a rate of  3-5% /year.

    This loss is most rapid during the first 5 years after menopause, when up to 20 % of the surgery

 

  d. Dietary calcium 

     ET 사용시 1000 mg/day

 

  e. Others: physical activity, avoidance of cigarette smoking

 

  2) Methods of detection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 Hormone Replacement Therapy

 

  (1) 폐경기 관리

 

   1)   여성호르몬 보충요법

      심장질환의 증가는 폐경기 이후의 급격한 여성호르몬의 감소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는 여성호르몬 보충요법이 필요하다.

 

  2)  주기적인 건강진단 섭생을 통한 질환의 조기진단 예방

      성인병의 진단과 암의 조기 진단을 위한 일반적인 건강진단. 유방진찰,

      주기적인  부인과 진찰과 금연 식이요법, 운동 등의 건전한 생활방식이 중요하다.

 

  3) 기존 질환의 치료 치아관리                      

 

  (2) HRT의 적응증과 금기증

    표 요약할 것

 

   (3) Benefits

      1) Hot flashes

      2) Osteoporosis

      3) Cardiovascular disease

 

   (4) Potential health risks

      1) breast cancer

 

     2) endometrial cancer

 

        ET 단독 사용시 자궁내막암이 4-7 증가, 프로제스틴 투영시 대부분 예방됨

    3) gallbladder disease

        장기적인 에스트로젠 보충요법에 의한 담석증 발병의 증가는 모름

    4) thrombophlebitis

        이 금기증에 대한 개념도 현재 변화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에스트로젠 보충요법에 의한 혈전증의 위험도는 극히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hypertensions

      에스트로젠 보충요법은 혈압을 감소시키며

      장기적인 여성 호르몬 보충에 따른 고혈압의 발생위험도는 극히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Side Effects:

       vaginal bleeding, breast tenderness, mood changes, weight gain and water retention

 

 ( 5) HRT Regimens

   1) 에스트로겐 제제

     a.. 경구 에스트로젠 제제

      : 자연 에스트로겐의 투여가 바람직하며

       접합에스트로겐 제제인 푸레마린을 1 0.625 ~ 1.25 mg 매월 1 일부터 25일까지 25 - 30 일간 투여하며

       황체호르몬 제제로는 푸로베라를 2.5 - 10 mg/day  12 – 30 일간 투여하게 된다.

 

    b. 경피적 에스트로젠 제제

      : 간문맥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순환계에 접근할 있기 때문에 질환이 있는 여성에서의 사용에 유용하며 

        매주 2 3 - 4  주간 피부에 붙일 있는 베타디올 팻취제제 혹은 에스트라덤 팻취를 사용할 있으며

        리저보아형태의 팻취는 사용 여성의 15 - 30 %에서 피부 발진 혹은 소양증이 나타나는 것이 단점이었으나

        최근 매트릭스형태의 도입으로 이러한 단점은 해소되었다

        또한 최근에 1 요법의 클리마라  팻취제제의 도입으로

        폐경 환자에서의 여성호르몬 보충요법의 순응도를 증진시킬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 에스트로젠의 질좌제

   d. 기타 제제:  피부에 바르는 gel , subcutaneous pellet

                  

Types of estrogen

Generic name

Trade name

Regimen

Conjugated equine estrogens

Premarin

0.625 mg oral daily

Estropipate

Ogen

0.625 mg oral daily

Micronized 17-β estradiol valerate

Climaval

2 mg oral daily

17-β estradiol transdermal patch

Estraderm

0.05 mg four times daily

17-β estradiol implant

Riselle

25 mg every 6 months

17-β estradiol percutaneous gel

Estrogen, Divigel

1.0 mg topically daily

 

      에스트로젠 제제를 비경구제제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로는

      개인적인 선호도, 경구 제제의 투여에 따른 부작용, 간질환, 혈액응고질환이 있는 경우와

      경구 제제로는 혈관운동성 폐경 증상의 조절이 완전하지 않은 경우이다.    

 

   2) 황체호르몬 제제

      MPA(Medroxyprogesterone acetate, Provera) 2.5–10 mg/day

      Norethindrone acetate 2.5-5 mg/day

      Micronized progesterone 100-300 mg/day 

   3) HRT 약물 투여 방법

    ** 에스트로겐 단독요법

        에스트로겐 제제를 매월 25-30일간 복용.  

        자궁적출술을 받은 환자에서는 에스트로겐 제제만을 투여하게 된다.

 

     **  에스트로겐-황체호르몬 순차요법

       푸레마린 0.625 mg/ x  25일간 +  푸로베라 5-10 mg/x  12 - 14 일간

       자궁적출술을 받지 않은 여성에는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암을 예방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약물 복용 13 일부터 25 일까지의 12 - 14일간은 황체호르몬 제제인 MPA 등을 투여하게 된다. 

 

 에스트로젠-황체호르몬 순차요법

1                            14                     25            30

푸레마린 0.625 mg/

푸로베라   5-10 mg/

 

 

l 에스트로겐-황체호르몬 지속요법

푸레마린 0.625 mg/ x  25-30일간 +  푸로베라 2.5 mg/x  25-30일간

 

  에스트로젠-황체호르몬 지속요법

1                             14                     25            30

푸레마린 0.625 mg/

푸로베라     2.5 mg/

 

  4)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SERM)

     SERM제제는 폐경 증상을 완화하는 작용은 없으나 여성 호르몬 보충 요법 제제의 장점을 갖고 있는 약제.

     폐경 증상이 없는 폐경 여성에서 여성 호르몬 보충 요법 제제로 사용되면서 유방암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킬 있는 좋은 약제다.

     혈중 지질의 개선에 따른 심혈관 보호 작용도 기대되며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 목적으로 사용할 있다.  

  5) Testosterone

     성욕 소실의 경우 사용

 

 (6) Patient Monitoring   

  1)  여성 호르몬 제제에 의한 혈압의 상승

      여성호르몬 보충 요법을 환자의 5 ~ 8%에서 치료 개시 직후에 에스트로젠 보충요법에 대하여

     과민반응(idiosyncratic  reaction)으로 인하여 갑작스러운 혈압의 상승이 있는 경우가 있을 있다.

     혈압은 주기적으로 측정하도록 하여 고혈압의 상태가 지속될 때에는

     즉시 여성 호르몬 보충요법을 중단하도록 하며 치료 중단 시에는 혈압은 정상으로 복귀하게 된다.

 

  2) 일시적인 기능 장애

      여성 호르몬 보충요법 중에 기능의 장애가 있으므로

      특히 치료 개시 초기에는 주기적인 기능 검사를 한다.

  3) 극심한 두통, 시야장애, 흉부의 통증, 혈전증의 발병이 있을 시에는

      즉시 여성 호르몬 보충요법을 중단하도록 환자를 교육시켜야 한다.

 

  4) 유방 압통, 오심 체액 저류 현상은 일시적인 현상으로

       대개의 경우 치료 개시 1 - 3 개월 이내에 소멸된다는 사실도 환자에게 주지시켜야 한다.

 

   5) 여성 호르몬 보충요법을 시작한 이후에는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처방이 확립될 때까지는 4 - 6 주의 간격으로 추적 진료를 하며

      이후에는 3 - 6 개월에 한번씩 혹은 적어도 1 년에 번은 혈압측정, 유방암 부인과적인 이학적 검사 등 필수다.

      대변의 잠혈 반응검사, 혈중 콜레스테롤 혈중 TG 농도측정 자궁경부의 세포진 검사를 받도록 한다.

      특히 황체호르몬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치료 시작 전에 혈중 콜레스테롤의 분획검사를 하여야 하며

      추적 검사 시에 정기적으로 혈중 콜레스테롤의 분획검사를 반복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유방 엑스선검사는 환자의 연령 위험인자의 유무에 따라 검사 시기를 개별적으로 결정한다.

   7) 부정기 자궁출혈

       여성호르몬 보충요법 도중에 부정기 자궁출혈이 있으면서

       경질 초음파검사 상에 자궁내막의 두께가 5 mm 이상으로 자궁내막이 비후된 경우에는 

       자궁내막 조직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타당하다.   

   8) 여성 호르몬 보충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의 15 - 20 %에서는 치료에 불구하고 척추의 골밀도의 감소가 있다.

       여성호르몬 보충요법에 반응하지 않거나 fast loser여부를 규명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골밀도가 검사가 필요하다.

 

  (7) Nonhormonal Drugs

 

   1) Calcium 

   2) Vitamin D

   3) bisphosphonates, raloxifene, or hormone replacement therapy.

   4) energetic walking and exercise

 

 

 

▣▣ 폐경 여성

 

    난소의 노화로 나타나는 여성 호르몬 결핍 증후군이다.

   

  ## 폐경과 질 분비물(질염)
   여성 호르몬 결핍은  내외 생식기에 급격한 변화를 부른다.

    난소, 자궁이 위축되어 크기가 줄고 질, 요도 점막도 얇아지고 질 건조증-->

    탄력성, 유연성 감소,늘어난  질, 요도, 방광-->  요실금과 성교통-->  성교 반감 및 성욕이 위축됨.

    성교때마다....가렵고 따끔거리고 냉대하, 발적(發赤), 혈흔, 악취까지...  말이 아니다.

   

  ## 폐경과 방광 요도염
   요도 역시 상피 세포가 위축되어 작은 외상만으로도 쉽게 손상을 받고 방광염, 요도염의 빈도가 높아진다.

    오줌 눌 때 통증을 동반하고 오줌 누기가 어려워진다.

    배뇨 후에도 뒤끝이 시원하지 않는 잔뇨감등 여러 가지 배뇨 관련 증상이 나타난다.

 
  ## 폐경과 요실금
    여성호르몬의 결핍은 요도, 질뿐 아니라 방광과 자궁을 지지하는 골반 근육의 탄력성을 감소시켜

    방광이 아래로 처져 내려 방광 조절 기능이 떨어진다.

    기침하거나 뜀박질 할 때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오줌이 새 나오는

    긴장성 요실금을 방치해두면 점점 심해져 걸어 다닐 때도 오줌이 속옷을 적신다. 여생 동안 패드를 차는 여성도 있다.

    골반 근육이 지지하는 자궁이나 방광, 혹은 직장이 질 밖으로 빠져 나오기도 한다.

    따라서,정도에 따라 약물치료나 수술이 필요하다.  

 
  ## 폐경과 척추 골다공증
    골다공증은 폐경기 여성의 가장 중요한 증상이다.

    여성호르몬이 감소하면 골량이 감소하여 조그만 충격에도 골절이 일어난다.

    외형적으로 허리가 많이 휘는 곱추가 되기도 하고 신장(키)이 줄어들기도 한다.

    또한 척추 뼈가 약해지면 신경이 눌려 하지 통증과 감각 이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 기타 폐경 증상 

         ☞ 안면 홍조, 식은 땀, 차디찬 손발, 거친 피부, 처진 유방, 성교통, 두통, 근육통, 요실금, 방광염, 노인성 질염

              안면홍조 증상 : 얼굴, 목 부위가 갑자기 달아올라 붉어지면서 열감을 느끼고 식은땀을 흘린다.

         ☞ 안면홍조, 식은 땀, 과민 반응(신경질, 불안, 초조, 우울)과 심장 혈관계 질환 등은 대표적인 전신 증상이다.

             폐경 증상은 개인차가 있다. 짧으면 4-5일, 길면 10년 정도까지 지속하는 여성도 있다.

             정도가 심하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 폐경기를 즐겁게 넘기는 지혜

   1) 호르몬 대체요법 (ERT)

       호르몬대체요법이란 폐경기로 인하여 인체 내에서의 생성이 부족해진 호르몬을 보충시켜 주는 요법입니다.

       호르몬 대체요법은 생성이 불충분한 여성에게 신체내 호르몬을 폐경기 이전의 수치로 개선하여

       폐경기와 관련된 신체적,정신적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반면에 경구 피임약은 인체 내에서 충분히 생성되는 여성에게 호르몬을 더 투여하는 방법입니다. 

       

     ## 호르몬 대체요법의 기간
      오랜 시간이 걸리는 골다공증과 같이 장기간 치료를 목적으로 복용하는 여성이 있는 반면,

      폐경기 증상의 완화만을 위해 약제를 복용하는 여성도 있습니다.

      골다공증의 약제를 복용하는 동안은 예방이 되지만 복용을 중단하면 다시 진행이 되므로 장기간 복용해야 합니다.

  

     질위축성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체요법을 복용하는 여성도 마찬가집니다.

     호르몬대체요법이란 부족한 호르몬을 보충해 주는 역할만 할 뿐 호르몬의 생성을 촉진시키지는 못합니다.

 

    ## 호르몬대체요법의 종류
      * 프로게스테론 단독치료 : 갱년기 시 불규칙한 월경 치료

      * 에스트로겐 단독치료 : 자궁적출한 여성

      *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병용치료 :  에스트로겐 단독치료는 자궁내막암의 발생을  증가시키므로

                                         프로게스테론과의 병용치료가 대부분의 여성에 추천됩니다.

       주기적 치료 : 한달동안 여성의 인체 내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분비 싸이클과 같도록 조성된 제제를

                       주기적으로 복용,  폐경전 호르몬 분비상태와 유사한 상태로 만들어 규칙적인 출혈(menstration )

       연속치료 : 폐경이 지나서 주기적 소퇴성 출혈을 원하지 않는 여성에게 사용하는 치료로 월경을 수반하지 않습니다.

 

   ## 호르몬대체요법에서 투여요법

      * 경구제 : 가장 흔한 치료법입니다.

       * 주사제 : 근래에는 부작용때문에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 피하 이식법 : 피하에 호르몬을 심는 방법으로 효과는 1년에서 2년동안 지속됩니다.

       * 패취제  : 피부에 붙이는 방법으로 매 3~4일 혹은 일주일마다 새 패취제로 바꿔 주어야 합니다.(사진)   

       * 겔 : 피부에 바르는 겔 형태로 에스트로겐만 들어 있으므로 별도로 투여하여야 합니다.

       * 자궁내 장치(intra-uterine system) :

                  루프와 유사한 기구를 자궁내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5년동안 호르몬을 분비하게 할 수 있습니다.

       * 국소호르몬 치료 : 질건조증이나 가려움을 치료하기 위해 원하는 부위에 바르는 크림, 질정 형태의 치료제

         ◁◁ 경구제 이외의 방법은 위장장애나 간기능 장애가 있는 여성에게 바람직합니다.

 

   ## 호르몬대체요법의 부작용 
       가장 흔한 부작용의 예는 유방 팽만감, 두통, 다리저림이 있습니다.

      가끔 어지러움이나  메스꺼움 증상은 약제에 적응하는 치료 초기 3개월동안 나타났다가 소실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이 계속될 경우는 의사와 상담 하십시요.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치료방법이나 용량조절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으면 체중이 증가한다고 잘못 알려져 있다.

      호르몬 대체 요법에 의한 체중 증가는 균형된 식사요법과 충분한 운동요법이 가장 좋은 예방책입니다.

 

  ## 호르몬대체요법과 암 

      
부작용이 많다....다음 질환이 증가한다.

       premarin과 provera 병합 투여 요법에 유방암의 발생이 증가한다.

       ▷ 여성의 유방암 25%, 심장마비 등 심혈관계 사고 29%, 뇌졸중 41%, 폐동맥이 막히는 폐색전증 113% 증가

           대장암 37%, 자궁내막암 17%, 엉치뼈 골절 36% 감소자궁 내막염 등 유발한다.

           여성 호르몬 요법이 치매 위험도 높인다 ??( 반론도 많다.)

      

     ** 저용량의 여성 호르몬을 제한된 시기까지 투여하여

          삶의 질을 위협하는 제반 신체 증상에 의한 불편이나 고통을 경감시키는 것이 現 추세다.
          경구 복용제, 피부에 접착하는 패취형, 질 크림제, 근육 주사제, 피하 이식제 등의 다양한 제형이 있고,

          장단점과 용량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하여 본인의 증상에 맞는 방법과 약물 용량을 선택한다.

          호르몬 대체 요법 중에는

         1년에 한 번씩 정기적인 유방검사(유방촬영술,초음파)를 하면서 정기적인 추적 검사가 필요하다.

 

 

   2) 요실금
   정도가 경미할 때는 골반 근육 훈련과 호르몬 제제를 포함한 약물 요법만으로 증상이 호전된다.

      그러나 요실금 정도가 심할 때는 수술적 치료가 가장 바람직한 치료 방식이다.

      수술을 거부하거나 정도가 중증(重症)이 아니라면 전기 치료를 포함한 바이오 피이드백, 페사리 등의 비수술적 요법을 추천한다.

      加齡에 의해 방광염, 요도염이 빈발한다. 그러다 폐경이 되면 그 정도는 더욱 심해진다.

      세균 배양 검사 결과에 따라 항균제를 선택, 투여하고

      재발을 막기 위해 저용량 호르몬과 저용량 항생제를 지속적으로 권장하기도 한다.

      요실금의 원인은 누적된 손상이나 노화에 의한 골반근육의 약화이다.

      웃거나 기침, 재채기 할 때, 계단을 오를 때, 줄넘기 등 복압이 갑작스럽게 올라가는 조건에서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소변이 새나와 속옷을 적시는 현상이다.

 

     △ 연령 증가로 인한 자연적인 노쇠현상,

     △ 폐경기에 동반되는 호르몬의 변화가 초래한 골박 마루 근육의 약화,

     △ 임신이나 출산 또는 수술로 인한 신경 손상 때문에 방광과 요도를 지지하는 조직이 약화됨

        이런 상태에서는 방광과 요도가 한순간 급증한 복압을 이기지 못해 오줌이 새나오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방광이나 자궁이 질로 돌출되기도 한다. 이런 상태를 방광 탈줄증, 자궁 탈출증이라고 한다.  

    폐경기 여성의 요실금이나 방광탈출은 그 정도에 따라

    대증 요법, 약물요법, 전기치료, 근육훈련, 수술 등으로 치료한다.

    경증일 경우에는 여성호르몬의 투여와 요도를 수축시키는 약제와 병합한다.

    요실금의 새로운 치료형태로 정착된 골반근육 강화 훈련과 전기치료의 병합요법은 효과적이다.

    요도구를 막는 기구...

     ▷ 수술을 원치 않거나 수술 받을 수 없는 신체 조건일 때, 또는  여행이나 외출 시에만 요실금을 차단한다.

    방광이 너무 쳐져 있거나 자궁이나 직장, 방광이 질 외로 돌출 된 경우에는 수술이 불가피하다.

   수술 후에도 골반 근육 훈련으로 재발을 방지해야 한다.

 
  3) 숙성한 성교를 위해
      여성 호르몬 결핍--> 질 위축과 윤활액 부족으로 성교통 빈번--> 질 상피세포 손상, 염증, 질 분비물 증가

       -->   외음부 가려움증 심해짐............ 소위 "노인성 질염"을 불러들인다.-->  성교 반감과 성욕 저하. 
   ☞ 호르몬 요법과 염증 치료로 성 관계를 회복시키고 전기치료나 질 수축 훈련을 가미, 원활한 성 생활을 지향한다.

        여성 호르몬 크림의 국소 도포가 필수적이다.

 

      출산 후에는 질 주위 골반근육이 약화되어 질이 늘어나서 성 생활의 즐거움이 후퇴한다.

       ☞ 전기 치료와 골반 근육 훈련으로 질 주위 근육에 탄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출산 후의 젊은 여성들은 미리 골반근육 훈련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달에 한번 성생활을 하는 여성들보다

      한 달에 서너번 이상 성 관계를 나누는 여성이 성기 혈액순환 상태가 더 좋고 탄력성이 증대된다.

      성기 위축이 덜할 뿐 아니라 성감을 느끼는 감각 세포가 활성화되어 오랫동안 성감을 지킬 수 있다.

 

      질 위축과 질 윤활 부족에 의한 성기 건조증은 성교할 때 성교통은 물론 성기 손상을 받기 쉽다.

     이때 바세린은 금물이다. 염증의 근원이 되기 때문이다.

     질윤활제는

      -  pH 4.5를 넘지 않은 산성 제제로 수용성일 것.

      -  천연의 식물성 화학물질로 만들어진 제품일 것.......(페미라이드 에센스)이 바람직하다.

 
   4) 일반적인 폐경기의 관리
       △ 평소에 다량의 칼슘 함유 음식을 섭취한다. 골다공증 예방에 긍정적이기 때문이다.

         새우, 우유, 참깨, 정어리, 두부, 시금치 등이 대표적인 칼슘 식품이다. 
       △ 폐경 이후에는 특히 비만에 유념한다.

       △ 가벼운 운동을 규칙적으로 반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골다공증은 물론 제반 심혈관계 질환을 방지하고 정신건강과 성생활에도 엄청 도움이 된다.

          요실금 여성은 뛰는 운동보다는 수영, 자전거 타기 등이 좋다.

          요실금 여성은 특수한 골반 근육 훈련에 집중하면 일석 이조를 기대할 수 있다.

       인생의 1/3은 폐경 여성으로 살아가야 한다. 그것이 여인의 운명이다.

       여성 자신에게 조금만 배려하는 여유를 부린다면  폐경기라는 인생 숙성의 시기에

       성숙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