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외용제품(사용법) 및 藥 보관법

[스크랩] Re:환자분께 소독약 종류별로 차이점 어떻게 설명드리나요?

왕초롱이 2011. 5. 16. 11:34

1.알콜소독제 - 주로 손이나 피부, 의료기구 소독에 사용합니다.

                   ( 예-  외과에서  피부 찢어졌을때 막 들이붓고 나서 봉합//.)

2.과산화수소  - 딱지가 있거나 농이 있지 않으면서,  

                        창상이나 찰과상등 상처가 났을때 소독효과를 거품으로 확인할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거품을 반드시 닦아냅니다.

                                    금속종류 소독엔 사용하지 않는게 좋습니다.(예- 귀걸이 착용한채 소독하면 금속부식됩니다)

                                    저장시 흔들거나 그러면 효과가 감소됩니다..

3.요오드제제 - 살균력은 강하지만 1차소독제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바르고 오래 놔두면 약하게 화상입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피부가 노랗게 되는거 -burn)

4.포비돈 요오드제제 - 세균, 바이러스 진균등 모든 감염에 사용할수 있으며 피부나 점막을 자극하지 않는 장점이 있고

                                 마른 후에도 소독효과가 지속됩니다.

                              (예- 외과에서 봉합후  소독 마무리.

                                     화상의 살균소독이나 궤양 농양의 살균소독, 질 세정제로도 사용.)

 

제가 알고 있는 바는 대강 이렇습니다만....

저는

"손같은거 따기 전에 바늘소독같은건 알콜로 하고..

고름같은게 있는 부위 소독은  포비돈 요오드로 소독해주시고...

넘어져서 흙같은게 묻은경우 잘 씻고  과산화수소를 쓰시는게 좋겠습니다..

물론 셋중 하나만 사신다면 포비돈 요오드제제가 젤 두루두루 쓰시겠지요."

라고 할것같습니다.

 

근데....귀뚫고 소독은 역시 알콜이 좋겠죠?

알콜을 과하게 쓰면 오히려 상처치유가 오래걸린다고도 하고....!!

 

 

 

 

 

 

출처 : 약사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
글쓴이 : 쉿조용 원글보기
메모 : 소독약 종류별로 차이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