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약사(처방)의약품 & 제품
[스크랩] Re:라리암 복용법
왕초롱이
2011. 3. 13. 08:56
1정 중
주성분 : 염산 메플로퀸………………………….274.09mg
( 메플로퀸으로서 250.0mg )
백색 또는 회백색의 원형 정제입니다.
이 약은 다음의 무석, 적혈구내 낭포형 사람 말라리아 원충에 대해 효과를 나타냅니다 : Plasmodium falciparum, P. vivax, P. malariae, P. ovale. 또한 이 약은 chloroquine, proguanil, pyrimethamine, pyrimethamine-sulfonamide 복합체 등 다른 항말라리아제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는 말라리아 원충에 대해서도 효과적입니다. 메플로퀸에 대한 P. falciparum의 내성은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메플로퀸과 halofantrine 사이의 교차 내성이 관찰된 바 있습니다.
흡수
정맥 주사 제형이 없기 때문에 메플로퀸의 경구 생체이용율 절대치는 측정할 수가 없습니다. 경구용 액제와 비교한 정제 제형의 생체이용울은 85% 이상이었습니다. 음식과 함께 복용하면 흡수 속도와 흡수율이 증가하여 생체이용율이 약 40% 가량 증가하게 됩니다. 이 약정 단회 용량 투여시 6-24시간(평균 약 17시간) 후에 혈장 농도가 최고치에 도달합니다. μg/L 단위의 최고혈장농도는 대략 mg 단위의 투여약물 투여 용량치와 일치합니다. (예를 들어, 1000mg 단회 투여시 최고혈장농도는 약 1000μg/L). 250mg을 1주, 1회씩 투여하면, 7-10주 후에 항상상태의 최고 혈중농도 1000-2000μg/L에 도달합니다.
분포
건강한 성인에서의 겉보기 분포용적은 약 20L/kg으로 조직분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메플로퀸은 말라리아 원충이 기생하고 있는 적혈구내에 축적될 수 있으며, 적혈구-혈장농도비는 약 2입니다. 단백결합율은 약 98%입니다. 임상경험에 의하면 메플로퀸의 최소 억제 혈장 농도는 600μg/L였습니다. 메플로퀸은 태반을 통과하며, 미량이 모유로 분비됩니다.('임신 수유부' 항 참조)
대사
인체에서는 두 종류의 대사체가 확인되었습니다. 주 대사체인 2, 8-bis-trifluoromethyl-4-quinoline carboxylic acid는 P. falciparum에 대한 활성이 없습니다.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단회 경구투여시 2-4시간 후부터 carboxylic acid 대사체가 혈장에서 측정되었습니다. 이 대사체의 최고혈장 농도는 메플로퀸보다 50% 가량 더 높으며, 2주 후에 도달하였습니다. 그 이후에는 주 대사체와 메플로퀸의 혈장 농도가 비슷한 속도로 감소하였습니다. 주 대사체의 혈장농도 - 시간 곡선하 면적(AUC)은 메플로퀸에서 보다 3-5배 높았습니다. 다른 대사체인 알코올 대사체 등은 아주 미량만이 존재하였습니다.
배설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15개 연구에서 메플로퀸의 평균 배설 반감기는 2-4주로, 평균 약 3주였습니다. 대사는 주로 간장에서 이루어지며 총 청소율은 약 30mL/분입니다. 메플로퀸은 주로 담즙과 대변을 통해 배설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지원자에서 미대사 메플로퀸과 주 대사체의 요중 배설량은 각각 투여량의 9% 및 4% 가량이었습니다. 다른 대사체의 요중 농도는 측정할 수 없었습니다.
특수 임상상태에서의 약물동력학
소아와 노인 : 메플로퀸의 약물동력학에서 연령에 따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투여 약물 중 소량만이 신장으로 배설되기 때문에 신부전 환자에 대한 약물동력학 연구는 실시하지 않았습니다 임신은 메플로퀸의 약물동력학에 임상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급성 말라리아에서는 메플로퀸의 약물동력학이 변화될 수 있습니다. 여러 인종간의 약물동력학적 차이가 관찰되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원충의 감수성과 숙주의 면역상태에 비해, 인종에 따른 약물동력학적인 차이는 별로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장기간 예방 요법 시에도 메플로퀸의 배설 반감기는 변화하지 않았습니다.
말라리아의 치료 및 예방
치료
말라리아, 특히 다른 항말리아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P. falciparum 원충에 의해 발생한 경우 경구 치료제로 이 약을 투여합니다.
P. vivax 말라리아, 복합 말라리아 치료에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방
이 약은 말라리아 발병지역, 특히 다른 항말라리아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P. falciparum 원충에 의한 감염의 위험이 높은 지역을 여행하려고 하는 사람들에게 권장됩니다.
대기치료
말라리아 감염이 의심되나 즉각적인 의료 처치를 받을 수 없는 여행자에게 응급 대기 치료의 약제로서 이 약을 처방합니다.
메플로퀸은 쓰고, 약간의 얼얼한 맛이 납니다. 식후 1컵 이상의 물과 함께 그대로 삼켜 복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어린이나 정제를 그대로 삼키기 어려운 환자는, 정제를 분쇄하여 소량의 물, 우유 등 음료수에 섞어 복용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 요법
* 총 치료용량을 2 - 3회로 나누어 (즉, 3+1, 3+2, 3+2+1정) 6 - 8시간마다 복용하면 이상반응의 발생율과 정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생후 3개월 이하 또는 체중 5kg 미만의 유아에 대해서는 이 약의 치료 경험이 부족합니다.
*** 고체중 환자에 있어서 총량으로 6정을 초과하여 사용한 경험이 없습니다.
이 약 복용 후 30분 이내에 구토를 한 환자에게는 해당 권장량을 전량 다시 투여합니다. 투약 후 30 - 60분내에 구토를 일으킨 경우에는 절반용량을 추가로 투여합니다. P. vivax 말라리아 치료 후에는 간에 있는 원충을 제거하기 위해 8-아미노퀴놀론 유도체 (프리마퀸 등)를 투여하는 재발방지요법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이 약에 의한 완전 치료과정을 마친 후 48 - 72시간내에 호전되지 않으면, 대체치료방법을 강구하여야 합니다. 이 약 예방 요법 중에 말리리아가 발병한 경우, 담당의사가 어떤 항말라리아제로 치료할 지를 신중히 평가 해야 합니다.
중증의 급성 말라리아 환자의 경우 초회치료과정으로서 2 - 3일 이상 동안 퀴닌을 정맥주사한 다음 이 약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퀴닌 최종 투여 후 12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이 약을 투여하면, 두 약물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이상반응을 상당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다제 내성 말라리아 발생 지역에서는 가능하면, 아르테미시닌이나 그 유도체로 초기 치료를 한 후 이 약을 투여할 수도 있습니다.
예방 요법
이 약 예방 요법의 권장 용량은 1주 1회, 1회 5mg/kg입니다.
즉각적인 의료처치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 대기 치료약제로서 이 약을 투여할 수도 있습니다. 자가요법은 약 15mg/kg 용량에서 시작합니다 ; 체중 45kg 이상인 환자는 초기 용량으로 이 약 3정을 복용합니다.
24시간 이내에 전문적인 의료처치를 받을 수 없는 상태로서 중증 이상반응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6 - 8시간 후에 총 치료용량의 2차분(45kg 이상인 경우 2정)을 복용합니다. 체중 60kg 이상인 환자는 2차분 복용 후 6 - 8시간에 추가로 1정을 더 복용합니다 (치료 요법의 권장 용량 참조).
자가 치료를 한 환자 자신이 완전히 회복된 것처럼 느낀다 하더라도, 기회가 닿는대로 진료를 받도록 권고합니다.
밀폐용기에 습기를 피하여, 35℃ 이하 보관
이 약정 250mg.............................8정
주성분 : 염산 메플로퀸………………………….274.09mg
( 메플로퀸으로서 250.0mg )
정맥 주사 제형이 없기 때문에 메플로퀸의 경구 생체이용율 절대치는 측정할 수가 없습니다. 경구용 액제와 비교한 정제 제형의 생체이용울은 85% 이상이었습니다. 음식과 함께 복용하면 흡수 속도와 흡수율이 증가하여 생체이용율이 약 40% 가량 증가하게 됩니다. 이 약정 단회 용량 투여시 6-24시간(평균 약 17시간) 후에 혈장 농도가 최고치에 도달합니다. μg/L 단위의 최고혈장농도는 대략 mg 단위의 투여약물 투여 용량치와 일치합니다. (예를 들어, 1000mg 단회 투여시 최고혈장농도는 약 1000μg/L). 250mg을 1주, 1회씩 투여하면, 7-10주 후에 항상상태의 최고 혈중농도 1000-2000μg/L에 도달합니다.
분포
건강한 성인에서의 겉보기 분포용적은 약 20L/kg으로 조직분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메플로퀸은 말라리아 원충이 기생하고 있는 적혈구내에 축적될 수 있으며, 적혈구-혈장농도비는 약 2입니다. 단백결합율은 약 98%입니다. 임상경험에 의하면 메플로퀸의 최소 억제 혈장 농도는 600μg/L였습니다. 메플로퀸은 태반을 통과하며, 미량이 모유로 분비됩니다.('임신 수유부' 항 참조)
대사
인체에서는 두 종류의 대사체가 확인되었습니다. 주 대사체인 2, 8-bis-trifluoromethyl-4-quinoline carboxylic acid는 P. falciparum에 대한 활성이 없습니다.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단회 경구투여시 2-4시간 후부터 carboxylic acid 대사체가 혈장에서 측정되었습니다. 이 대사체의 최고혈장 농도는 메플로퀸보다 50% 가량 더 높으며, 2주 후에 도달하였습니다. 그 이후에는 주 대사체와 메플로퀸의 혈장 농도가 비슷한 속도로 감소하였습니다. 주 대사체의 혈장농도 - 시간 곡선하 면적(AUC)은 메플로퀸에서 보다 3-5배 높았습니다. 다른 대사체인 알코올 대사체 등은 아주 미량만이 존재하였습니다.
배설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15개 연구에서 메플로퀸의 평균 배설 반감기는 2-4주로, 평균 약 3주였습니다. 대사는 주로 간장에서 이루어지며 총 청소율은 약 30mL/분입니다. 메플로퀸은 주로 담즙과 대변을 통해 배설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지원자에서 미대사 메플로퀸과 주 대사체의 요중 배설량은 각각 투여량의 9% 및 4% 가량이었습니다. 다른 대사체의 요중 농도는 측정할 수 없었습니다.
특수 임상상태에서의 약물동력학
소아와 노인 : 메플로퀸의 약물동력학에서 연령에 따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투여 약물 중 소량만이 신장으로 배설되기 때문에 신부전 환자에 대한 약물동력학 연구는 실시하지 않았습니다 임신은 메플로퀸의 약물동력학에 임상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급성 말라리아에서는 메플로퀸의 약물동력학이 변화될 수 있습니다. 여러 인종간의 약물동력학적 차이가 관찰되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원충의 감수성과 숙주의 면역상태에 비해, 인종에 따른 약물동력학적인 차이는 별로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장기간 예방 요법 시에도 메플로퀸의 배설 반감기는 변화하지 않았습니다.
치료
말라리아, 특히 다른 항말리아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P. falciparum 원충에 의해 발생한 경우 경구 치료제로 이 약을 투여합니다.
P. vivax 말라리아, 복합 말라리아 치료에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방
이 약은 말라리아 발병지역, 특히 다른 항말라리아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P. falciparum 원충에 의한 감염의 위험이 높은 지역을 여행하려고 하는 사람들에게 권장됩니다.
대기치료
말라리아 감염이 의심되나 즉각적인 의료 처치를 받을 수 없는 여행자에게 응급 대기 치료의 약제로서 이 약을 처방합니다.
치료 요법
- 비면역 환자 : 메플로퀸의 권장 총 치료 용량은 20 - 25mg/kg입니다. 따라서 체중 45kg 이상의 비면역 환자는 메플로퀸으로서 1250 - 1500mg(5 - 6정)을 복용합니다.
- 부분면역환자 : 메플로퀸의 권장 총 치료용량은 15mg/kg이다. 따라서 체중 45kg이상의 부분 면역 환자는 750 - 1000mg (3 - 4정)을 복용하여야 합니다.
치료 | 비면역환자 | 부분면역환자 |
<20kg** | 1/4정 / 2.5 - 3kg 1정 / 10 - 12kg |
1/4정 / 4kg 1정 / 16kg |
20 - 30kg | 2 - 3정 | 1 1/2 - 2정 |
30 - 45kg | 3 - 4정 | 2 - 3정 |
45 - 60kg | 5정 | 3정 |
>60kg*** | 6정 | 4정 |
* 총 치료용량을 2 - 3회로 나누어 (즉, 3+1, 3+2, 3+2+1정) 6 - 8시간마다 복용하면 이상반응의 발생율과 정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생후 3개월 이하 또는 체중 5kg 미만의 유아에 대해서는 이 약의 치료 경험이 부족합니다.
*** 고체중 환자에 있어서 총량으로 6정을 초과하여 사용한 경험이 없습니다.
이 약 복용 후 30분 이내에 구토를 한 환자에게는 해당 권장량을 전량 다시 투여합니다. 투약 후 30 - 60분내에 구토를 일으킨 경우에는 절반용량을 추가로 투여합니다. P. vivax 말라리아 치료 후에는 간에 있는 원충을 제거하기 위해 8-아미노퀴놀론 유도체 (프리마퀸 등)를 투여하는 재발방지요법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이 약에 의한 완전 치료과정을 마친 후 48 - 72시간내에 호전되지 않으면, 대체치료방법을 강구하여야 합니다. 이 약 예방 요법 중에 말리리아가 발병한 경우, 담당의사가 어떤 항말라리아제로 치료할 지를 신중히 평가 해야 합니다.
중증의 급성 말라리아 환자의 경우 초회치료과정으로서 2 - 3일 이상 동안 퀴닌을 정맥주사한 다음 이 약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퀴닌 최종 투여 후 12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이 약을 투여하면, 두 약물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이상반응을 상당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다제 내성 말라리아 발생 지역에서는 가능하면, 아르테미시닌이나 그 유도체로 초기 치료를 한 후 이 약을 투여할 수도 있습니다.
예방 요법
이 약 예방 요법의 권장 용량은 1주 1회, 1회 5mg/kg입니다.
- 말라리아 발병 가능 지역으로 출발하기 최소 1주일 전에 초회 용량을 복용합니다.
- 최소 1주일 전 복용이 불가능한 경우 용량을 증가시켜 투여할 수도 있습니다 : 체중 45kg 이상 성인의 경우, 3일간 1일 1회 1정씩(메플로퀸 250mg) 투여하고, 다음 1주 간격으로 1회 1정씩 투여합니다.
- 여행자가 다른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출발 2 - 3주 전부터 예방 요법을 시작하여 약물을 함께 복용하였을 때 내약성이 양호한 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45kg 이상 성인 및 소아
메플로퀸 250mg (이 약 1정)을 1주일에 1회 투여합니다.
- 45kg 미만 성인 및 소아
1주 단위 용량을 체중에 비례하여 감소시킵니다.
30 - 45kg : 3/4정
20 -30kg : 1/2정
20kg 이하 : 1/4정
생후 3개월 미만이거나 체중 5kg 미만인 유아에 대해서는 이 약 사용경험이 부족합니다.
즉각적인 의료처치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 대기 치료약제로서 이 약을 투여할 수도 있습니다. 자가요법은 약 15mg/kg 용량에서 시작합니다 ; 체중 45kg 이상인 환자는 초기 용량으로 이 약 3정을 복용합니다.
24시간 이내에 전문적인 의료처치를 받을 수 없는 상태로서 중증 이상반응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6 - 8시간 후에 총 치료용량의 2차분(45kg 이상인 경우 2정)을 복용합니다. 체중 60kg 이상인 환자는 2차분 복용 후 6 - 8시간에 추가로 1정을 더 복용합니다 (치료 요법의 권장 용량 참조).
자가 치료를 한 환자 자신이 완전히 회복된 것처럼 느낀다 하더라도, 기회가 닿는대로 진료를 받도록 권고합니다.
-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마십시오.
- 이 약이나 관련 약물 (퀴닌, 퀴니딘 등)에 과민성이 있는 사람
- 정신병이나 경련의 기왕력이 있는 사람에게는 예방요법으로 이 약을 투여하지 않습니다.
- 신부전이나 심한 간손상 환자에게는 예방요법으로 이 약을 투여하지 않습니다.
- 할로판트린을 투여받고 있는 환자
- 이 약이나 관련 약물 (퀴닌, 퀴니딘 등)에 과민성이 있는 사람
- 이상반응
급성 말라리아에 투여하는 용량에서 이 약 투여에 따른 이상반응은 질병 자체의 증상과 잘 구분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약 예방 요법시 가장 일반적인 이상반응인 오심, 구토, 어지럼증은 일반적으로 그 정도가 경미하고, 장기간 사용하면 혈장 중 약물농도는 증가하지만 이상반응은 경감됩니다. 여러가지 항말라리아제를 복용한 여행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에서, 이 약 복용군의 22%가 이상반응을 일으킨 것으로 보고된 바 있습니다 (클로로퀸 복용군과 비슷한 비율). 메플로퀸은 반감기가 길기때문에 최종 약물투여 후 수주까지 이상반응이 지속되거나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상반응 발생시에는 투약을 중지하고 의사의 지도하에 다른 대체약으로 바꿔야 합니다.
- 가장 많이 보고되는 이상반응 : 오심, 구토, 현기나 현훈, 방향감각 상실, 두통, 졸음, 수면장애 (불면, 비정상적인 꿈), 연변이나 설사, 복통
- 발생 빈도가 낮은 이상반응
- 중추 말초 신경계 : 감각, 운동 신경병증 (지각이상, 근육의 진전, 운동장애 등), 공황발작, 공격, 청각장애, 비정상적 근육운동, 운동실조, 매우 드물게 자살충동(약물투여와의 인과관계는 증명되지 않았습니다), 경련, 시각장애, 이명, 전정관 장애, 불안, 불안정, 기분저하, 건망증, 혼란, 환각, 정신병성 또는 편집병성 반응, 매우 드물게 뇌장애
- 심혈관계 : 순환장애 (저혈압, 고혈압, 홍조, 실신), 빈맥이나 심계항진, 서맥, 불규칙적인 맥박, 기외수축, 흉통, 기타 일과성의 심전도 변화, 매우 드물게 AV 차단
- 피부 : 발진, 피진, 홍반, 담마진, 탈모, 부종, 다형홍반(erythema multiforme), 소양증, 모발손상, 매우 드물게 대형 홍반 또는 Stevens-Johnson 증후군
- 근골격계 : 근육약화, 근육경련, 근육통, 관절통
- 전신증상 : 무력증, 권태감, 피로, 발열, 오한, 식욕저하, 발한, 소화불량, 호흡곤란.
- 중추 말초 신경계 : 감각, 운동 신경병증 (지각이상, 근육의 진전, 운동장애 등), 공황발작, 공격, 청각장애, 비정상적 근육운동, 운동실조, 매우 드물게 자살충동(약물투여와의 인과관계는 증명되지 않았습니다), 경련, 시각장애, 이명, 전정관 장애, 불안, 불안정, 기분저하, 건망증, 혼란, 환각, 정신병성 또는 편집병성 반응, 매우 드물게 뇌장애
- 시험관내, 생체내 연구에서 G6PD 결핍과 관련된 용혈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 가장 많이 보고되는 이상반응 : 오심, 구토, 현기나 현훈, 방향감각 상실, 두통, 졸음, 수면장애 (불면, 비정상적인 꿈), 연변이나 설사, 복통
- 일반적 주의
- 간질 환자는 이 약 투여시 경련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질 환자에게는 의학적으로 꼭 이 약물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한하여, 치료요법으로만 처방해야 합니다 ('상호작용' 참조).
- 간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메플로퀸 소실이 연장되어 혈장농도가 상승될 수 있습니다. QTc 간격이 치명적으로 길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할로판트린을 이 약 투여와 병행하거나 또는 이 약 투여 후 연이어 투여해서는 안됩니다. 할로판트린 투여 후에 이 약을 사용한 예에 대한 데이타는 없습니다.
- 현기증, 균형감각 상실 등 다른 중추, 말초신경계 이상을 나타내는 환자는, 주의를 요하는 활동이나 미세한 기계조작시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 예방 요법시 급성 불안, 우울, 불안정, 착란이 일어나면 투여를 중지해야 합니다.
- 치료요법 및 예방 요법 중 일과성 심전도 변화가 관찰되었으므로 심전도 장애가 있는 환자 및 심장질환 환자에서는 이 약을 주의하여 복용해야 합니다.
- 효과적인 말라리아 치료 후에도 재감염 또는 재발이 발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무시해서는 안됩니다.
- 대부분의 약물처럼 가벼운 피부발진부터 과민성까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피부발진이 생기는 경우에는 사용을 중단하고 의사와 상의하여야 합니다. 메플로퀸의 반감기가 길기 때문에 치료의 조기중단이 특히 중요합니다.
- 간질 환자는 이 약 투여시 경련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질 환자에게는 의학적으로 꼭 이 약물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한하여, 치료요법으로만 처방해야 합니다 ('상호작용' 참조).
- 상호작용
- 이 약과 다른 관련약물 (퀴닌, 퀴니딘, 클로로퀸 등)을 병용 투여하면, 심전도상의 이상이 나타나고 경련 위험이 증가될 수도 있습니다 (용법 용량 : 치료 요법 참조). 메플로퀸 투여 후에 할로판트린을 사용하면 QTc 간격이 유의성 있게 연장된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그러나 메플로퀸 단독 투여시에는 임상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QTc 연장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 이론적으로는 심전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약물 (항부정맥제, -교감신경 차단제, 칼슘차단제, 항히스타민제, H1-차단제, 삼환계 항우울제, 페노치아진)과 병용투여시에도 QTc가 연장될 수 있지만, 임상적으로는 할로판트린만이 이 약과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유일한 약물인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라 이런 약물과의 병용투여를 금지하지는 않습니다.
- 항경련제 (예, 발프론산, 카르바마제핀, 페노바비탈, 페니토인)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에게 이 약을 병용 투여하면, 항경련제의 혈장 농도가 감소하여 경련 조절력이 저하될 수도 있습니다. 일부 환자의 경우에는 항경련제의 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 이 약을 경구 생 장티푸스 백신과 동시에 복용하면 면역 약독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약독화된 생세균을 이용한 백신 요법의 시행은 적어도 이 약 투여개시 3일 전에 완료해야 합니다.
- 그 밖의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다른 약물 특히 항응고제나 당뇨병 치료제를 병용투여하고 있는 여행자의 경우에는 출발 전에 미리 이 약의 효과를 확인해야 합니다.
- 이 약과 다른 관련약물 (퀴닌, 퀴니딘, 클로로퀸 등)을 병용 투여하면, 심전도상의 이상이 나타나고 경련 위험이 증가될 수도 있습니다 (용법 용량 : 치료 요법 참조). 메플로퀸 투여 후에 할로판트린을 사용하면 QTc 간격이 유의성 있게 연장된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그러나 메플로퀸 단독 투여시에는 임상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QTc 연장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 인체 치료 용량의 5 - 20배의 메플로퀸을 투여시, 마우스와 랫트에서는 최기형성이, 토끼에서는 태자독성이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실제 임상경험에서 이 약은 태자 독성이나 최기형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임신초기 (처음 3개월)에는 약물투여시의 유용성이 태아에 대한 위험 가능성을 상회하는 경우에만 이 약을 사용합니다. 가임기 여성이 말라리아 예방목적으로 이 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치료기간 및 최종 복용후 3개월 동안 신뢰할 수 있는 피임법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 메플로퀸은 모유로 분비되므로 이 약 복용중에는 수유를 중단해야 합니다.
- 인체 치료 용량의 5 - 20배의 메플로퀸을 투여시, 마우스와 랫트에서는 최기형성이, 토끼에서는 태자독성이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실제 임상경험에서 이 약은 태자 독성이나 최기형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임신초기 (처음 3개월)에는 약물투여시의 유용성이 태아에 대한 위험 가능성을 상회하는 경우에만 이 약을 사용합니다. 가임기 여성이 말라리아 예방목적으로 이 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치료기간 및 최종 복용후 3개월 동안 신뢰할 수 있는 피임법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 소아에 대한 투여
생후 3개월 미만 또는 체중 5kg 미만 유아에 대해서는 이 약 사용 경험이 부족합니다.
- 임상검사치에의 영향
트랜스아미나제의 일시적 상승, 백혈구 감소증 또는 백혈구 증가증, 혈소판 감소증
- 과량투여시의 처치
이 약을 과량 투여하면 이상반응에서 언급한 증상들이 더 심화될 수 있습니다. 과량투여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처치가 권장됩니다 : 구토를 유도하거나 적절한 위세척을 실시합니다. 적어도 24시간 동안 심장기능 (가능하면 심전도를 측정)과 신경정신 상태를 모니터합니다. 필요하면, 특히 심혈관계 장애를 보이면 대증 요법과 응급처치를 실시합니다.
-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 이 약은 수분에 민감하므로 복용시까지 본래 포장 속에 보관해야 합니다.
-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십시오.
-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 유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하십시오.
- 이 약은 수분에 민감하므로 복용시까지 본래 포장 속에 보관해야 합니다.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3동 946-1 글라스타워 5F Tel: 02-561-7200 Mail: webmaster@roche.co.kr Copyright 2004 Roche Korea Co., Ltd All Right Reserved |
출처 : 약사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
글쓴이 : 김성진(횟) 원글보기
메모 : 라리암 : 메플로퀸으로서 250.0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