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약물 부작용인가 아닌가 판단방법
약물 부작용인가 아닌가 판단방법
이는 미국 Medscape 임상의 보수교육 자료로 제공된 내용이다.
전문인의 일차적 마음 가짐
1) 약은 어떤 이유에서든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2) 안전하게 사용하고 있던 환자에게서도 동일한 약으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3) 우선 약물 부작용 여부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의심되는 약물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부작용 검사 질문서를 내 놓고 점수를 계산해 본다
의심되는 약물 A 에 대한 부작용 질문서 | ||||
질문 |
Yes |
No |
모름 |
점수 |
1. 전에도 동일한 부작용을 보고 하신 경험이 있습니까? |
+1 |
0 |
0 |
|
2. 전에 경험하신 경우는 약 A 를 복용한 후 발생했습니까? |
+2 |
-1 |
0 |
|
3. 약 A 를 중단 후 증상이 개선되거나 해독제로 개선되었습니까? |
+1 |
0 |
0 |
|
4. 약 A를 다시 복용하면 똑같은 부작용이 나타났습니까? |
+2 |
-1 |
0 |
|
5. 약 A 와 다른 약이나 보건 식품 등을 복용했을 때 동일한 부작용이 나타난 일이 있었습니까? |
-1 |
+2 |
0 |
|
6. 전문의가 주는 위약을 복용해도 부작용이 나타난 일이 있습니까? |
-1 |
+1 |
0 |
|
7. 부작용 발생시 약물의 혈중농도를 측정하여 과잉 농도가 나타났었던 적이 있습니까? |
+1 |
0 |
0 |
|
8. 약을 증가시키면 증상이 더 악화하고 약 용량을 감소시키면
증상이 감소됩니까? |
+1 |
0 |
0 |
|
9. 약물 A 와 유사한 약물을 복용했을 때에도 유사한 부작용이 있었습니까? |
+1 |
0 |
0 |
|
10. 약물 부작용이라는 사실을 입증할 만한 근거가 있습니까? |
+1 |
0 |
0 |
|
합계 |
|
|
|
|
판정: 10점-9점--------확실한 약물 부작용 8점 -5점--------거의 부작용이라 볼 수 있음
4 점- 1점 -------부작용 가능성은 있으나 다른 이유를 찾아 볼 것임
| ||||
[근거]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1981;30:239-245 A method for estimating the probability of adverse drug reactions. |
부작용이 의심될 때 전문의의 대화
1) 최근 발생한 감기 등 신규 질환여부를 질문한다
2) 4-8주 전부터 투약한 모든 약을 검토한다 (처방약, 대중약 등)
3) 피부 부작용은 대체로 1주 내 발생하므로 발생 시기를 묻는다
4) 우선 최근 약부터 검토한다
앨러지 체질 검토법
(1)
(2) 음식
(3) 접촉물
(4) 광 과민성 반응 여부를 질문한다
전문인들간의 견해 차이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관절염을 합병한 환자가 약물 부작용 같은 증상을 나타내었을 때
이를 보는 전문인들 간의 견해는 매우 다르다
4가지 약을 모두 동시 복용하고 있는 55세의 여인환자가 복용하던 당뇨병 약을 다른 당뇨병 약으로 바꾸었을 때
다음과 같은 증상 악화를 호소해 왔다
무릎 통증이 더 심해지고 부어 오르고 발적이 나타났다
Resident 의사는 새로운 당뇨병 약의 부작용이라고 생각한다
Resident 약사는 약물 상호 반응적 부작용이라고 생각 한다
간호사는 나이 때문이라고 생각 한다. 과연 어떤 판단이 옳을까?
대중의 생각은 더 다르다
만약 약을 먹고 부작용이 나타나면 약 때문이 아니라 직전에 먹은 음식물이나 최근에 사용한 화장품 등을 생각한다
만약 약으로 부작용이 나타났다고 하면 그것은 약을 안주고 왜 독을 주었느냐는 식으로 처방자를 맹공하기 시작한다
approval_process.jpg
부작용 있는 약은 왜 허가하나
모든 약은 근본적으로 약물 자체에 의한 독작용이 있다
원인 모르게 나타나는 부작용도 있다
식약청은 약의 독작용과 부작용을 최소화한 약을 허가하지만
허가한 약의 독작용과 부작용이 없는 약은 없다
그래도 약을 허가 한것은 부작용을 각오 하고서도 약으로 도움이 된다면 처방하라는 의미이다
8%가 부작용으로 입원
미국의 경우 응급 입원의 8%가 약물 부작용이다
입원 환자의 7%가 입원중의 처방으로 심한 부작용을 경험한다
입원환자 1,000명중 3명이 부작용으로 사망한다
용량 문제
용량을 증가 시킴으로써 나타난 부작용은 약물 자체가 지닌 약리학적 독작용이므로 용량을 검사해보면
판정할 수가 있다
복합 처방시의 부작용
복합 처방약 복용 중 한가지 약을 변경시킴으로서 나타난 부작용은 약물 상호작용인 경우가 많다
복합처방은 수시간 차이를 두고 복용하는 경우가 있고 어느 것을 먼저 복용해야 할 약이 있다
이는 두 약물이 동시에 유입되었을 경우 서로가 필요로 하는 대사 효소를 방해 하여
부작용이 증대하거나 약효가 감소할 수 았기 때문이다.
정제를 쪼개는 처방
정제를 쪼개면 약효가 없어지는 약들은 매우 많다
정제는 결코 쪼개거나 갈면 안 된다
Posted Feb 12 2008 The Medscape Journal Allergy &
Clinical ImmunologyLCME Conferences ; Experts & Viewpoints
How Can I Recognize an Adverse Drug Event?
William N. Kelly, PharmD, President, William N. Kelly Consulting,
Inc.,
A method for estimating the probability of adverse drug reactions.
Clin Pharmacol Ther. 1981;30:239-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