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노화성 시력 감소에 약효가 입증된 처방
노화성 시력 감소에 약효가 입증된 처방
약이 전혀 없었던 노화성 시력 감퇴에 대하여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비타민 3 성분 복합 처방이
확실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1) B12 -------1mg/1일 1회
(2) 엽산 ------2.5mg/1일 1회
(3) B6--------60mg/1일 1회
이는 하버드 의대 연구팀이
40세 이상의 여성 보건 전문인 5,442명을 대상으로 하여
8년간 무작위 이중 맹검 비교 임상을 통해 입증한 것이며
미국 내과 학회 학술지 최신호를 통해 발표하였다
[그림] 망막 혈관을 파괴하는 악질 아미노산 Homocystein의 생성 과정과
이 생성을 억제해 주는 B6, B12, 엽산의 작용점
[그림 ] Drusen : 지질 축적 상태 Hemorrhage : 출혈 Atrophy:퇴화
경증 중증 모든 증상에 현저하게 효과를 발휘
노화성 시력 저하가 없는 40세 이상 보건 전문인 (여인)을
약효 투약군과 위약 투약군으로 나누어 임상을 실시했다
아래 그래프에서처럼
복용 1년이 지나서부터 효과가 나타났다
해를 거듭할수록
경증 증상과 중증 증상 발생자의 차이가
계속 누적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C. 임상 이후 최초로 발생한 증상 병태 |
증상 분포 |
발생 위험율 감소 효과 |
Drusen 만 발생 (지질 축적 상태) |
19% |
34%-41% |
망막층 변질 (RPE) |
18% | |
지질 축적과 망막 변질 |
19% | |
부분적 망막 퇴화 |
2% | |
삼출성 (혈관 신생) |
17% | |
시력(Visual acuity) 20/30 이하 상태가 나타난 때를 기준으로 막막 관련 모든 병태를 엄밀 진단함 |
[그림] A: 확실하게 진단된 망막 황반 퇴화증 발생자 비교
B: 매우 중증인 망막 황반 퇴화증 발생자 비교
C: 발병자들의 증상 분류
나이 적을수록 더 현저한 효과
나이 |
위약군의 증상 발생율을 1이라 할 때 투약군의 발병율 |
40-54 |
0.00 |
55-64 |
0,42 |
65세 이상 |
0.67 |
시력(Visual acuity) 20/30 이하 상태가 나타난 때를 기준으로 막막 관련 모든 병태를 엄밀 진단함 |
담배 피우는 자에게 더 현저한 효과
담배 |
위약군의 증상 발생율을 1이라 할 때 투약군의 발병율 |
현재 피운다 |
0.32 |
과거에 피웠다 |
0.61 |
원래 안 피운다 |
0.66 |
시력(Visual acuity) 20/30 이하 상태가 나타난 때를 기준으로 막막 관련 모든 병태를 엄밀 진단함 |
[그림] Macular(황반): 망막 중 시신경이 가장 많이 집중: 이곳이 상하면 낫기 힘듦
매일 음주자에게 더 현저한 효과
음주 |
위약군의 증상 발생율을 1이라 할 때 투약군의 발병율 |
매일 음주 |
0.45 |
일주 한 번 |
1.33 |
거의 안 함 |
0.50 |
시력(Visual acuity) 20/30 이하 상태가 나타난 때를 기준으로 막막 관련 모든 병태를 엄밀 진단함 |
비만자일수록 더 현저한 효과
비만도(BMI) |
위약군의 증상 발생율을 1이라 할 때 투약군의 발병율 |
25이하 |
0.63 |
25-30 |
0.62 |
30이상 |
0.53 |
시력(Visual acuity) 20/30 이하 상태가 나타난 때를 기준으로 막막 관련 모든 병태를 엄밀 진단함 |
[그림] Homocystein 이 혈관벽을 상하게 한 곳에 지질이 축적
혈압이 높은 자일수록 더 현저한 효과
혈압 |
위약군의 증상 발생율을 1이라 할 때 투약군의 발병율 |
고혈압자 |
0.5 |
정상 혈압자 |
1.2 |
시력(Visual acuity) 20/30 이하 상태가 나타난 때를 기준으로 막막 관련 모든 병태를 엄밀 진단함 |
고지혈증자일수록 더 현저한 효과
지질 |
위약군의 증상 발생율을 1이라 할 때 투약군의 발병율 |
고지혈증 |
0.59 |
정상 지질 |
0.7 |
시력(Visual acuity) 20/30 이하 상태가 나타난 때를 기준으로 막막 관련 모든 병태를 엄밀 진단함 |
당뇨병자는 효과가 매우 크다
당뇨병 |
위약군의 증상 발생율을 1이라 할 때 투약군의 발병율 |
당뇨병자 |
0.14 |
정상인 자 |
0.65 |
시력(Visual acuity) 20/30 이하 상태가 나타난 때를 기준으로 막막 관련 모든 병태를 엄밀 진단함 |
순환기 질환 병력 없던 자가 효과가 더 크다
순환기질환 |
위약군의 증상 발생율을 1이라 할 때 투약군의 발병율 |
과거 병력자 |
0.64 |
과거 병력 없음 |
0.45 |
시력(Visual acuity) 20/30 이하 상태가 나타난 때를 기준으로 막막 관련 모든 병태를 엄밀 진단함 |
여성 호르몬제 사용자는 효과가 약간 덜하다
여성 호르몬 요법 |
위약군의 증상 발생율을 1이라 할 때 투약군의 발병율 |
복용자 |
0.6 |
사용치 않음 |
0.57 |
시력(Visual acuity) 20/30 이하 상태가 나타난 때를 기준으로 막막 관련 모든 병태를 엄밀 진단함 |
종합비타민 복용치 않는 자가 효과가 더 크다
종합 비타민 |
위약군의 증상 발생율을 1이라 할 때 투약군의 발병율 |
복용 중인 자 |
0.72 |
복용 안하는자 |
0.56 |
시력(Visual acuity) 20/30 이하 상태가 나타난 때를 기준으로 막막 관련 모든 병태를 엄밀 진단함 |
[그림] 악질 아미노산 Homcystein이 혈관벽을 상처내고 지질이 축적되면서
염증 유발성 면역계 Cytokine이 염증을 유발
아스피린 복용자가 더 현저한 효과
아스피린 |
위약군의 증상 발생율을 1이라 할 때 투약군의 발병율 |
복용 자 |
0.51 |
복용 안하는자 |
0.91 |
시력(Visual acuity) 20/30 이하 상태가 나타난 때를 기준으로 막막 관련 모든 병태를 엄밀 진단함 |
시력이 저하되는 원인
나이 들어갈수록 망막(retina)이 퇴화한다
황반은 시신경이 집중된 곳이다
이 곳에 쌓이는 지질 (Drusen)이 과산화 지질로 변질하면서
유해 산소를 유리시켜 망막을 파괴하게 된다
[그림] 오른쪽: 초기 단계의 노화성 시력 장애 : 망막층에 지질이 쌓이고 시신경 배열 교란
또한 망막층(RPE)에 연결된 미세혈관벽이
유해 아미노산인 Homocystein에 의해
계속적인 상처를 입게 된다
이 상처 난 곳에 지질이 쌓이면서 동맥이 경화된다
이로서 망막 혈류가 중단되어 망막이 파괴된다
이러한 병태를 노화성 망막 황반 퇴행증(AMD)이라 한다
(AMD: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그림] 악질 아미노산 Homcystein이 혈관을 상해
복합 처방이 약효를 발휘하는 이유
엽산과 B12와 B6는
망막에 대하여 두 가지 약리 작용을 발휘하기 때문이라고
하버드 발표팀은 설명하고 있다
[그림] 악질 아미노산 Homcystein의 병태 유발 과정
하나는 망막 미세 혈관에 대한
Homocysteine 억제 작용이다
이는 심장 등 큰 혈관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작용이지만
망막 등 미세 혈관에서는 충분한 homocysteine 억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이 복합 처방은 homocystein 억제 작용 이외에
망막의 유해 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작용을 발휘한다
뿐만 아니라 이 복합 처방은
고단위 투여로서 신경계 조직을 재생시키는 작용을 한다
특히 면역계 염증 유발 cytokine에 대한
B12 의 조절 작용은 최근에 계속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약리적 논리보다도
임상 효과가 확실하게 입증되었다는 것이 중요하다
[근거]
Arch Intern Med. 2009; Feb 169(4):335-341.
Folic Acid, Pyridoxine, and Cyanocobalamin Combination Treatment
And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Women;
The Women's Antioxidant and Folic Acid Cardiovascular Study;
Divisions of Preventive Medicine (Drs Christen, Glynn, Albert,
And Manson) and Cardiovascular Medicine (Dr Albert),
Department of Medicin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Dr Glynn) and Epidemiology (Dr Manson),
Harvard
And National Eye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