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당뇨,심혈관&검진 & 암

[스크랩] 전성수 의약뉴스 - 고혈압 예방과 치료는 전해질 K를 올바로 알아야 한다

왕초롱이 2010. 10. 23. 20:33

고혈압 예방과 치료는

 

 

전해질 K를 올바로 알아야

 

 

 

 

 

 

전해질 K 를 올바로 이해하면


본태 성 고혈압을 예방 할 수가 있다

 

고혈압 약의 용량을 반감 시킬 수 있다

 

약을 중단할 수도 있다

 

 

 

 

 

 

의학계 최고의 전문지 NEJM (5 10일자)에 발표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짜게 먹어도

 

 

     K를 더 먹으면 된다

 

 

 

지금까지는 짜게 먹으면

 

혈압이 올라간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그러나 혈압을 올리는 것은

 

소금(Na)을 포타슘(K)보다

 

더 많이 먹기 때문이다

 


 

 

 

 

 

 

입맛에 맞추어 짜게 먹어도 된다

 

그러나 K는 그보다 더 먹으면 된다

 

 

 

 

 

 

 

이는 32개국 10,079명을 대상으로 하여

 

Na 섭취량과 혈압 상태를 조사해 본 결과 밝혀진 것이다

 

인간은 적어도 하루 Na50 - 100 mmol 이상은 섭취해야 한다



 

대상자:  10,079 32 개국

평균 Na 섭취량

170 mmol/day(NaCl 9, 9mg)

하루 100 mmol 이상 섭취자

혈압 정상

조사: International Study of Salt and Blood Pressure

 

 

 

 

 

 

 

 


우리는 얼마나 먹는가

 

 

 

고혈압에 걸리지 않으려면

 

K Na 보다 2배 이상은 먹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Na k보다 5배 이상 먹고 잇다

 

 

 

 

 

 

 

 

 

 

육류 즐기는 자

 

 

 

 

햄 속에 함유된 비율을 보라


Na
K보다 8배나 된다

 

 

K

Na

두 쪽 (57 gm)

4 mmol

32 mmol

 

1

8

 

 

 

가공 치킨 누들 속에 함유된 비율을 보라

 

 Na 함량이 K 보다 3 배나 된다

 

Chicken soup

K

Na

한 깡통

1.4 mmol

48 mmol

 

1

3

 

 

 

 

 

 

 

 

 

 

 

 

K 를 적게 먹으면

 

 

      왜 혈압이 오르는가

 

 

 

 

K 이온은 세포 내에 존재하는 전해질이다

 

세포내의 농도가 감소하면

 

세포 내 장력을 유지 할 목적으로

 

세포 밖에 있는 Na 을 세포 내로 끌어 드린다

 

 

 

 

이 때 Ca 이온이 동시에 세포 내로 유입된다

 

유입된 Ca 은 세포를 수축시킨다

 

해서 혈관 세포는 계속 수축하게 되어 혈압을 올린다

 

 

 

 

 

 

 

 

잘 살게 될수록

 

현재 인류의 25% 가 고혈압이다

 

2025년에는 60% 16억 인구가 고혈압자가 된다

 

잘 살게 될수록 육류를 즐기기 때문이다

 

 

 

보통 사람들

Na 섭취

K 섭취

하루 섭취량

100-400 mmol

30-70 mol

비율

Na를 K  보다  3-10배 더 먹고 있다

 

 

 

 

 

 

 

 

 

 

과일 야채를 즐기는 자

 

 

 

 

 

orange 에 함유된 비율을 보자

 

짜게 먹는 자에게 최적의 K 보충제이다

 

 

Orange

K

Na

한 개

6 mmol

0

 

무한대

 

 

 

 

살믄 땅콩 속에 함유된 비율을 보자

 

K 가 무려 Na 보다 30배나 된다

 

 

Boiled Peanut

K

Na

한 깡통

9.8 mmol

0.3 mmol

 

30

1

 

 

 

 

 

 

 

 

 

K를 많이 먹으면 왜 좋은가

 

K Na 보다 많을 때는

 

혈압이 정상화 된다

 

 

 

 

 

 

 

 

K 섭취 하루 60 mmol 이상

섭취 할 때 마다 혈압 강하 량

수축 기 혈압

4.4 mm Hg

확장 기 혈압

2.5 mm Hg

 

 

혈압 약 조절

81% 환자

용량을 반량 조절

38% 환자

약물 중단

 

 

혈전 형성이 억제된다

 

혈관 파괴가 방지된다

 

심장 비대가 억제된다

 

심장 마비 뇌졸중 발생이 감소한다

 

 

 

 

 

 

 

K 와 소금 감수 성은 반비례

 

 

 

 

정상인이나 고혈압 자나

 

짜게 먹을 때 혈압이 오르는 것을

 

소금 감수성(Sodium sensitivity)이라 한다

 

장상인에게 소금 감수성이 나타나면

 

고혈압의 전구 증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K 를 섭취하면

 

섭취량에 비례해서

 

소금 감수성이 사라진다

 

 

 

 

 

 

 

소금 많이 먹어도 K 많이 섭취하면

 

항압제 량 감소시키고 혈압도 덜어진다

 

 

 

 

 

 

[그림]. 오늘날 고혈압 증가의 원인:

인간의 신장 기능은 Na 흡수 K 배설형 기능 이다. 이 기능은 Na을 적게 먹고

K, 를 많이 섭취했던 고대 원시 시 대의에 적합한 기능이다 오늘날 Na을 많이 섭취하고

K를 매우 적게 섭취하는 육식 시대는 맞지 않는 기능이다 그 결과 혈관 세포 내는

Na 농도가 증가하고 K 농도는 감소하여 혈압이 상승하고 합병증이 발생하고 있다

 

 

 

 

본태성 고혈압은

 

 

       신장에서 시작

 

 

 

 

오늘을 사는 우리 인간의 신장 기능은

 

원시인에 적합한 신장이다

 

 

 

 

 

 

 

신장은 Na 는 흡수하고

 

K 는 배설 하는 기능이기 때문이다

 

 

 

 

 

 

 

 

고대는 소금이 귀한 시대 였다

 

원시인은 K를 많이 섭취하고

 

Na는 적게 섭취하기 때문에

 

우리의 신장은 원시인에게 적합한 것이다

 

 

 

 

 

 

 

창조 인간의 식이는 야채와 과일이었다

 

해서 오늘의 신장도 전혀 변화된 것이 아니다
 

 

 

 

 

 

 

 

육류를 통해 소금을 많이 섭취하고

 

K 결핍 상태에 이른 오늘의 현대인에게

 

고혈압과 순환기 질환은

 

신장 기능 적응 불능증에 속하는 질병인 것이다

 

 

 

[그림] 고혈압자가 신장에서 Na 흡수가 더 증가하고 K 배설이 더 증가하는 원리:

          실선은 증가 촉진을 의미. 점선은 억제 감소를 의미.

          왼편: 정상인에게서의 신장 각 부위마다 Na 재흠수율.

          Na 흡수와 K배설에 영향 주는 인자들에 의해 Na재흡수가 촉진되고 K 배설이 촉진

 

 

 

 

K<<섭취는

 

 

      신장 기능과 합작

 

 

 

 

소금을 많이 먹는 것도 나쁘지만

 

K를 적게 먹기 때문에

 

신장이 소금을 더욱 많이 저류시킨다

 

 

 

 

 

 

 

 

K를 적게 먹는 것도 나쁘지만

 

K를 적게 먹기 때문에

 

신장이 K 를 더욱 많이 배설시켜 버린다

 

 

 

 

 

 

 

 

 

 

 

따라서 고혈압 자는 그 병태 자체가

 

신장에서 Na 를 증가 시키고

 

K를 감소시킨다는 병태를 지닌다

 

 

 

 

 

 

 

혈압과 비례하는

 

 

 

   Digitalis-like Factor

 

 

 

K를 적게 먹으면

 

부신과 뇌에서 Digitalis ?like-Factor가 분비된다

 

이 물질은 신장에서 Na 펌프 수를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빠져 나가야할 Na 재흡수량이 증가한다

 

신장에서의 Na 펌프 숫자는 혈압 증가와 비례한다

 

 

 

 

 

 

 

 

 

고혈압자의 신장 기능

 

 

 

 

신장에는 Na 를 재흡수 하는

 

여러 종류의 Na 흡수 통로가 있다(그림 참조)

 

 

 

 

 

 

 

소금을 많이 먹든 적게 먹든

 

고혈압 자는 이들 Na 흡수 통로가

 

활발하게 작동하고 있다

 

K를 적게 먹어 교감계가 흥분 해 있기 때문이다

 

 

 

 

 

 

 

 

 

 

K 적게 먹으면

 

 

       교감계를 흥분

 

 

 

 

 

Na 보다 K를 적게 섭취하면

 

세포 내가 산성화 된다

 

 

 

 

 

 

혈관 내피 세포가 산성화되면

 

교감계가 흥분하면서

 

Renin-Angiotensin-Aldosteron (RAA) 계가 작동한다

 

 

 

 

 

 

 

 

바로 이 RAA 효소들이

 

신장에서 Na 흡수하고 K를 배설한다

 

 

 

 

 

[그림] 고혈압자의 Na 고량섭취 K 소량섭취 시 동맥벽 압 증가 및 손상 원리:

           실선: 촉진 증가 점선: 억제 감소
            sodium pump 가 억제되고 Na Ca 교환 통로 (NCX1)가 자극 촉진 되면

           세포 내로 calcium 유입 되어 actin; myosin 작용을 유발하여 혈관을 수축.

 

 

 

 

 

 

 

 

K 많이 섭취하면

 

 

    왜 혈압이 내리나

 

 

 

 

혈압을 유지하는 혈관의 탄력성은

 

K Na의 비율에 따라 좌우 된다

 

이를 Na-K 항상성 유지 기능이라 한다(homeostasis)

 

 

 

 

 

 

Na 를 K보다 많이 섭취하면


혈관을 이완 시켜주는 Nitric Oxidie 합성이 감소된다

 

이로 인해 고혈압 자는 산화 질소 합성을 길항하는

 

Dimethyl L-arginine 이라는 물질이 혈액 중에 증가한다

 

 

 

 

 

 

 

 

K Na 보다 약간만 더 섭취해도

 

생리적 혈관 확장 기능이 유연해진다

 

이는 K-통로가 열리고

 

이로 인해 혈관 벽의 Na 펌프가 작동하여

 

혈관 벽이 음극 상태로 과잉 분극 하여


 

세포 내 칼슘의 수축 작용을 중단시켜주기 때문이다

 

 

 

 

[그림] K의 혈관 이완작용 메커니즘: 실선: 촉진 증가 점선: 억제 감소

          Na 펌프가 작을 받아 작동하면 K-channels 이 열리고 혈관 내피세포 벽이

          음극으로 과분 극되어 (membrane potential [Vm] 은 더 음극으로 됨)

          극상태가 myoendothelial gap junctions 을 통해 혈관 근육 세포

          (vascular smooth-muscle cell)로 전달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세포 내 칼슘 수축 작용 감소

 

 

 

 

 

K >>> NA 섭취는

 

 

      순환기 병증을 감소

 

 

 

 

 

혈관벽의 전해질 상태를 정상화 시키면


지질 침착이나 혈전 형성의 병태가 사라진다

 

때문에 동맥 혈전 죽상 동맥경화를 예방한다

 

 

 

 

 

 

 

 

K 2형 당뇨병자의 인슐린 분비세포의 전해질 상태를

 

정상화 시켜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킨다

 

인슐린은 nitric oxidie 합성을 촉진시켜

 

혈관 이완 작용을 유연케 한다

 

 

 

 

 

 

 

 

K<<섭취 하는 자들에게서는

 

당 불내성을 발견할 수가 있다

 

 

 

 

 

 

 

 

 

뇌를 통해 작용

 

 

 

K 이온과 Na 이온 농도 균배는

 

뇌척수를 통해 뇌의 제 3실에서 감지된다

 

 

 

 

 

 

뇌 척수액 중 Na >>> K 이면 혈압이 상승한다

 

뇌 척수액 중 K >>>> Na 이면 혈압이 내려간다

 

 

 

 


 

[그림] Figure 5. K Na 중추 작용. 실선: 촉진 증가 점선: 억제 감소

         Panel A 정상 쥐: K 과량을 뇌척수수액에 주입하면 혈압을 내린다

          (부신피질 호르몬과 소금을 투여하면 상승하게 되는 혈압 상승을 억제)

         Panel B 정상 쥐:  K 소량 과 Na 과량을 주입하면 혈압이 상승한다

 

 

 

 

이는 그림에서와 같이

 

뇌척수액에 K Na 를 주입하여 실험한 결과이다

 

 

 


 

 

 

 

고 혈압 치료와 예방

 

 

고혈압을 예방하려는 자나

 

고혈압을 치료하는 자는

 

-K(potassium) Na(sodium) 보다 많이 섭취해야 한다

 


 

 

 

-K KCl 보다, K 이온 상태로 존재하는


 

 과일이나 야채가 이용률이 훨씬 높다

 

 

 

 

 

 

 

-쇠고기 한 점 취 할 때 마다

 

상추를 몇 장씩 겹 장해서 섭취해야 한다

 

 

 

 

 

-권장  

 

 

Na 섭취량/하루

K 섭취 량/하루

50 까지

3.8 g

 

4.7 g

51-70

3.2 g

71 이상

2.9 g

이상적 비율

Na : K ----> 1 : 2

 

 

 

-가공 식품은 가능한 한 피한다

 

 

-통상 요리하기 전 자연식 중에는

 

Na 12% 정도 함유되어 있다

 

요리하는 중 80%로 증가한다

 

그리고 나머지 20%

 

식탁에서 가미하고 잇다
  

가능한 한 가공식은 피한다

 

 

 

 

 

 

-Thiaizide 계 이뇨제는

 

Na 배설 작용도 있지만

 

혈관 저항성을 감소시켜 혈관 이완 작용을 하는 항암제이다

 

그러나 K 손실을 조장하므로

 

반드시 매일 K 보충을 준수해야 한다

 

 

 

 

[근거]

2007 may 10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Number 19

Volume 356: Page1966-1978;: Sodium and Potassium in

the Pathogenesis of Hypertension; Horacio J. Adrogue, M.D.

and Nicolaos E. Madias, M.D. etc; Department of Medicine, Baylor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Methodist Hospital;

Renal Section, Veterans Affairs Medical Centerall in Houston (H.J.A.);

Department of Medicine, Tuft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Division of Nephrology, Caritas St. Elizabeth┖s Medical Center in Boston

출처 : 베짱이의 글 모음
글쓴이 : 베짱이 원글보기
메모 : 전해질 k-Na,고혈압의 상호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