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CLA 작용기전 ^^
CLA란?
Conjugated linoleic acid(이하 CLA)는 1987년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의 Dr. Pariza 연구팀에 의하여
밝혀진 항 돌연변이 물질로서 fried ground beef 에서 항암활성을 검색하던 중 우연히 분리되어진 이래 꾸준히
연구되어져 온 물질로서, 그 이후 여러 가지 낙농식품이나 반추동물의 육질에도 함유 되어져 있는 것으로 밝혀져
서구사회에서 주식으로 이용되어져 온 유, 육류가 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아 건강에 좋지 않다는
기존의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었던 서구사회에 큰 관심사로 등장하게 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다.
CLA는 반추동물이 섭취하는 linoleic acid로 부터 반추미생물에 의하여 합성되는 중간 대사산물로서
천연식품에 극히 미량존재하기 때문에 현재는 주로 이를 유기합성법에 의해 생산하여 연구 또는 각종 제품개발에
이용하고 있다.
그 생리 활성에 대하여 이미 200 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되었고, 항산화, 항암, 항동맥경화, 면역증진, 체지방 감소
등에 대한 효과가 이미 입증 되어진 바 있다
- CLA의 주요효과
Diet and Body Composition
이미 오래전에 CLA가 mouse의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즉, CLA는 mouse에서 hormone sensitive lipase와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의 활성을 증가시켜 체지방을 감소시키고 lean body mass (근육질)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CLA는 사람이 매일 1~3g 섭취시 3개월 후 체중이 평균 2.5kg,
체지방이 15~20% 감소되는 효과도 있음이 실험으로 밝혀졌다.
현재 미국, 유럽 및 일본에 다이어트나 체지방 감소, 근육강화와 관련된 CLA 제품이 봇물을 이루고 있으며
최근들어서는 식품첨가물 형태의 제품이 새로이 개발 출시되고 있다.
CLA의 이성질체 중 다이어트와 관련된 이성질체는 trans-10, cis-12이다.
항암 효과
CLA을 발견한 계기가 바로 햄버거용 소고기에 포함된 항암물질을 Scanning 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CLA는 여러가지 유발인자로 인한 암에 대해 항암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CLA는 지방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rat의 mammary carcinogenesis에 관한 연구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어 이들 암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제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동물실험과 더불어 human cancer cell을 이용하여 CLA의 항암효과를 구명하는 연구에서도 최근 괄목할 만한 결과들이 보고가 되고 있다.
CLA의 이성질체들 중 항암과 관련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은 cis-9, trans-11이다.
당뇨병에 대한 효능
당뇨병에 걸린 쥐로 실험한 결과 CLA가 glucose에 대한 내성을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었고
insulin의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또한 CLA는 지방조직에서 PPARγ를 활성화하여 aP2 mRNA의 수준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CLA가 insulin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이유 중의 일부는 PPARγ를 활성화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였고,
CLA가 당뇨병의 치료와 예방에 주요한 물질로 사용될 것으로 추정하였다.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CLA는 토끼의 혈중 LDL cholesterol과 HDL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과 HDL cholesterol의 비에 있어서
유의성 있는 축적 감소 효과를 보였다.
또한 CLA를 동물실험 했을 때 대동맥 경화증 발생이 억제된다는 보고가 있다.
* CLA 섭취가 건강과 체 조성에 미치는 효과
동물실험 결과 CLA는 암 예방, 죽상경화증 및 당뇨병 예방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CLA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또한 면역 강화 작용은 물론 체지방은 줄이면서 단백질량을 증가시켜 체 조성에도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최근에 많은 일반인 및 관련 연구자들의 조명을 받고 있는 지방산으로
인터넷 웹 사이트 및 건강식품점에서 체중 조절 및 근육강화 목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실시된 많은 연구는 주로 동물실험의 결과이며 사람에 대한 실험결과는 아직도 제한적이다.
현재 건강식품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은
리놀레산 함량이 높은 해바라기유 및 홍화유에 가성소다 등의 알칼리를 반응시켜서 제조한 제품으로서
cis-9, trans-11 CLA isomer 및 trans-10, cis-12 CLA isomer의 비율은 약 1:1이고
총 지방산 조성 중 CLA 함량은 60~75%의 제품이다.
복용 시 사람에 따라서 간과 비장 무게 증가 및 비대증이 나타나므로 주의가 필요하고
한편으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기도 하다.
또한 제품에는 바로 언급한 2가지의 생리 활성형 CLA 외에
Trans형의 비활성형으로 추측되는 이성체가 약 3~5% 함유되고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서구인의 경우 천연 합성된 CLA의 하루 섭취량은 150~350mg의 범위이고
동물실험 쥐에게 급여한 인공 합성된 CLA는 평균적으로 3g/day로 급여 시 다양한 효과를 나타냈으나
급여되는 양은 상당히 높은 경향이 있다.
다른 연구에서는 유산균 등의 발효물 내에 함유돼 있는 천연 합성된 CLA의 경우는
약 650mg/day 섭취로도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이런 발효제품에는 인공합성 CLA제품에 함유된 Trans형의 비활성형 이성체도 거의 없는 장점도 있다.
물론 인공합성 CLA제품의 추가 정제로 Trans형의 비활성형 이성체를 제거할 수도 있겠으나
그 이상으로 가격이 상승될 것이다.
<출처 :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04>
*PPAR-감마 에 대한 첨언
PPAR-알파 가 작동하는 경우는 지방산이 주요 에너지원인 상태를 의미한다.
당은 이용이 잘 되질 않는 상태이며, 마치 인슐린이 작용하지 못해서 대사에너지가 지방산
위주로 진행됨을 알려주는 것이다. 당연 당은 올라갈 것이고, 오히려 세포들은 당을 끌여들여 사용하지 못한다.
PPAR-감마 가 작동하는 경우라면 알파의 경우와는 반대의 상태이다.
당이 잘 이용되도록 하며, 지방산의 분해를 줄이는 쪽으로,
지방세포, 간, 근육세포등이 혈중의 당을 잘 끌여들여 이용하는 상태이고
따라서 혈당이 낮아지는 쪽으로 진행된다.
한 예로 글리타존 계열의 당뇨약들은 이 PPAR-감마 의 아고니스트이다.
리셉터 감마에 결합해서 혈당을 낮추는 것이다.
(ㅠ.ㅠ PPAR-감마와 알파 리셉터 작용관련해서 설명이 쉽고 간결하게 하지 못한것 같습니다.
좀더 매끄럽게 누가 답글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