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도표식 복약지도

[스크랩] 요 Bilirubin(빌리루빈)

왕초롱이 2011. 7. 18. 18:29

요 Bilirubin(빌리루빈)


1. 일반적 의의 :

간·담도질환의 진단에 기본이 되는 중요한 검사로, 신체검사 중의 일상뇨 검사로 황달의 조기발견, 황달의 감별, 간염의 조기발견, 전염성 간염의 관리에 응용됩니다.

 

정상치 음성 (-)

 

이상치를 보이는 주요 질환
요 빌리루빈과 요 유로빌리노겐을 함께 검사하면 황달을 감별할 수 있습니다. 빌리루빈이 증가하여 피부, 점막에 노랗게 착색된 상태가 황달입니다. 보통은 혈중 빌리루빈이 2∼3mg/dL 이상으로 증가된 경우에 안구결막이 황색으로 염색되어 황달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요 빌리루빈이 증가하는 질병의 예로는 담석증, 담도암,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경변 등이 있습니다.


2. 빌리루빈이란 :

빌리루빈은 담즙산, 인지질, 담즙산염, 콜레스테롤, 칼슘, 무기전해질 등을 함유하는 담즙의 한 색소성분입니다. 약 85%의 빌리루빈은 수명이 다 된 적혈구 혈색소 부분의 햄(heme)으로부터 간, 내장, 골수에서 생성됩니다. 나머지 15%는 사이토크롬(Cytochromes), 미오글로빈(Myoglobin), 골수의 조혈 부진 등으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3. 이상치와 의심되는 질환 :

양성을 보일 때는 우선적으로 폐색성황달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간실질장애나 체질성황달 등에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요 중에 빌리루빈이 나타납니다. 빌리루빈이 양성일 때는 동시에 요 유로빌리노겐 검사도 해야 합니다.
소변에서 유로빌리노겐과 빌리루빈의 2가지 검사를 통해 황달을 다음 표와 같이 감별할 수 있습니다.

 

유로빌리노겐과 빌리루빈 검사에 의한 황달의 구별
  유로빌리노겐 빌리루빈
폐색성황달(담석증,담도암) - ++
간세포성황달(간염,간경변) ++ ++
용혈성황달 ++ -

 

본 검사가 양성인 경우에는 심각한 질병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문의에게 진찰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이상치에 대한 대책 :

요 빌리루빈이 음성이더라도 간·담도 질환을 부정할 수는 없으므로, 다른 이상 징후가 보일 때는 정확한 진단과 감별을 위해 일반혈액검사, 혈액상, CRP, 간염 바이러스, 간기능검사, 췌장기능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 종양 표지자(marker)검사, 복부초음파검사, CT검사, 담낭조영검사 등도 시행합니다. 

[출처] 요 Bilirubin(빌리루빈)|작성자 전문의

 

 

1. 일반적 의의
1.황달의 종류를 진단하는 결정적인 검사

A. 정상치

  • 총 빌리루빈 : 0.2∼1.2mg/dL
  • 직접 빌리루빈 : 0.4mg/dL 이하
  • 간접 빌리루빈 : 0.6mg/dL 이하


2.이상치를 보이는 질환

  • 심한 증가 : 급성간염, 원발성 간암, 전이성 간암, 담도암, 간경변, 신생아 황달, 용혈성 황달
  • 부분적 증가 : 만성간염, 간경변, 약제성 간경변, 췌장암, 중증 신부전


3.빌리루빈이란

  • 빌리루빈은 적혈구중의 헤모글로빈(혈색소)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색소입니다.

    적혈구는 수명이 있어서 매일 소량이 파괴되는데 그때 헤모글로빈은 헴과 글로빈으로 분해됩니다. 그런 다음 헴은 효소의 작용으로 빌리루빈으로 변하고 글로빈은 조직단백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렇게 생긴 간접 빌리루빈을 단백결합 빌리루빈이라고 합니다. 간접 빌리루빈은 다시 간에서 효소의 작용을 받아 직접 빌리루빈(포합형 빌리루빈)으로 되고 담도로 배설됩니다. 간접 빌리루빈과 직접 빌리루빈을 합하여 총 빌리루빈이라고 합니다.

    빌리루빈 검사에서는 총 빌리루빈과 직접 빌리루빈 농도를 측정하여 그것의 차이로 간접 빌리루빈을 구합니다.
    황달에 걸리면 몸이 황색으로 되는 것은 빌리루빈 색소가 혈중에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혈중
    빌리루빈을 측정하는 것은 간기능검사에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
2. 정상치와 변동 범위
빌리루빈의 정상치는 총 빌리루빈이 0.2∼1.2mg/dL, 직접 빌리루빈은 0.4mg/dL이하, 간접 빌리루빈은 0.6mg/dL 이하입니다.


    =============================
    3. 빌리루빈이 고농도를 보이는 주요 질환
    1.간접형 고빌리루빈혈증

    • 용혈성빈혈, 대량내출혈, 체질성황달, 폐경색, 패혈증, 갑상선기능저하증, 유효 간내혈류량의 감소 등
    • 직접형 고빌리루빈혈증
      체질성황달,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경변, 급성 간내담즙울체증, 임신성 담즙울체증, 담도통과장애(암, 담석, 담낭염)


    =============================
    4. 이상치와 의심되는 질환

    • 2.0mg/dL 이상으로 황달 : 빌리루빈의 측정은 황달이 있을 때 그것이 폐색성인가 용혈성인가 또는 어느 정도의 질환인가를 알기 위한 중요한 검사입니다.

    • 신생아 특유의 생리적황달, 적혈구 파괴에 의한 용혈성황달, 간 그 자체의 장애로 인한 간실질성황달, 담도폐색에 의한 폐색성황달 등으로 분류하여 황달의 원인을 고려합니다.

    • 고농도인 경우, 빌리루빈 형 : 적혈구가 파괴되어 용혈이 생기면 간접형 고빌리루빈혈증
    • 담관·담도계가 막힌 경우에는 직접형 고빌리루빈혈증


    =============================
    5. 이상치에 대한 대책
    다른 검사 결과와 종합하여 병상을 파악하고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급성간부전의
    처치, 혈액투석, 간외 담즙울체에 대한 긴급조치 등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출처 : 약사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
    글쓴이 : 갈매나무 원글보기
    메모 : 요 Bilirubin(빌리루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