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복약지도(key)-카페

피부과- 구조 , 노화 , 남성화장품과 피부관리 , 여드름, 피부 세안

왕초롱이 2011. 7. 8. 12:26

▣▣ 신체의 최대 기관 정중동(靜中動)의 피부

 

 피부는 총 면적 1.5~2.0 평방 미터 ㅡ 총 중량이 체중의 16% 해당 (약 4㎏) 하는 신체 기관이다.

저장 온도조절, 피지에 의한 방수 효과, 비타민 D 제조...뛰어난 신축성 내구성에 의한 물리적 충격을 흡수한다.

자외선, 화학적 독소, 세균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신체 자극을 받아들이며 감정을 표출하는 감성의 거울이다.

 

 

피부 구조 ...출처 :http://www.seumi.com


  피부의 조직학적 구조는

  표층부터 표피(Epiermis), 진피(Dermis), 피하(Hypodermis) 3개 층과

  기름샘, 땀샘, 모발, 손발톱 등 그 부속기관으로 구성되며 각 층은 다시 기능에 따라 세분된다.

   ** 표피는 평균 0.1mm의 두께를 보인다.

   ** 가장 얇은 눈꺼풀 표피는 0.04mm, 손발바닥이 1.6 mm 정도로 가장 두껍다.

   ** 진피는 표피의 약 20배 가량의 두께로 등(背部) 3~4mm로 가장 두껍다.

   ## 진피는 표재성 유두 진피(Papillary dermis)와 심층부의 망상 진피(Reticular dermis)로 나뉜다.

        유두 진피층은 망상 진피층 보다 얇고 혈관, 탄력섬유, 콜라젠 섬유, 망상 섬유(Reticular fiber)를 포함한다.

        망상 진피에는 더 큰 혈관들이 탄력섬유 및 콜라젠 섬유와 뒤얽혀 있고 콜라젠 섬유가 묶음을 이루어 나란히 주행한다.

        섬유모 세포 (Fibroblast)는 유두 진피 안에서 탄력소와 콜라젠을 만들어 낸다.

 

                                            피부 구조                                                    표피층

 

 

                                              

    1.  표피(Epiermis )
   표피는 15~20겹의 세포층으로 구성된다. 표피층의 주역은 단연 각질형성 세포(Keratinocyte).

   표피는 기저층, 유극층, 과립층, 각질층 등으로 나뉜다.

   각질층은 죽은 세포들로 구성돼 있는 피부의 최외각층. 투명층은 손발바닥처럼 각질층이 두꺼운 부위에만 존재한다.

   기저층(basal layer)은 기저막과 붙어있는 단층의 입방형 세포층이며 표피의 가장 밑바닥을 이룬다.

   기저층은 왕성한 세포분열의 현장이다. 각질 형성세포(90%), 멜라닌 생성세포(8%), 촉감을 감지하는 세포 등이 있다

  1)
표피의 주역, 각질 형성 세포(Keratinocyte)
-

      각질세포에서 생산되는 케라틴(keratin) 단백질은 피부의 껍질을 덮어 피부를 보호한다.

      피부 표피의 죽은 최외각 각질 피부층이 각질층(Keratinous layer)이다.

      각질 세포의 수명은 약 28일이다. 기저층에서 피부 세포가 생성되며, 각질층은 탈락된다.

 

  2) 표피 기저층...멜라닌 형성세포(Melanocyte) -

      표피 기저층에는 멜라닌 형성 세포(Melanocyte)도 있다.

      이 세포는 인접해 있는 각질세포에게 멜라닌 과립을 이입(移入)해 피부 색깔을 나타낸다.

      기저층 세포 10개에 멜라닌 형성 세포 1개의 비율로 존재한다.

      햇빛에 노출되면 멜라닌 생산을 자극하고, 멜라닌은 자외선을 미리 흡수해 자외선에 의한 DNA 손상을  차단한다.

 

  3) 랑게르한스 세포(Langerhans cell) -

      골수에서 유래한 강력한 항원 전달세포이며 질병이나 손상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면역세포다.

      피부내 침투한 세균을  T 임파구에 인계한 다음 주위 임파절에서 죽는 자기 희생형 세포다.

 

  4) 머켈 세포(Merkel's Cells) - 주로 표피와 구강 점막의 기저 세포층에 위치한다.

       피부에 가해진 압력이나 접촉, 극에 반응하는 감각 또는 기계적 수용체(sensory, mechanical receptor).

 

 2. 진피(Dermis)
     표피보다 15~40배 두꺼운 진피에는 여러 종류의 세포가 산재한다.

     진피의 일차적 기능은 표피를 떠받치고 영양분 공급으로 표피를 유지시키는 것.

     또 수분을 저장하고 체온조절 및 감각수용체로 기능하며 표피와 협력해 피부를 재생한다.

     표피의 바로 아래층이 유두진피(Papillary dermis), 깊은 부위가 망상진피(Reticular dermis).

     표피와 진피의 경계면은 평판(平板)형이 아니라 계란판()형이다.

     진피가 표피쪽으로 함입해 들어간 돌기 부위가 진피 유두(Dermal Papilla).

     이는 표피와 진피 사이의 산소, 영양소, 노폐물 교환 면적을 극대화하고 표피-진피 경계 부위를 강화시키기 위한 것.

     진피는 1)~4) 로 구성된다.

     1)진피세포

     2)섬유성 물질(콜라젠 섬유와 탄력 섬유 등)

     3)표피 부속 기관(땀샘, 기름샘, 손발톱, 털 등)

     4)상기 구조물에 필수적인 인프라 시설(신경, 혈관, 임파관) 등등

 

     진피는 겔(gel) 상태의 무형(無形)기질(ground substance)에 유형(有形)의 진피 세포, 섬유성 물질들이 묻혀있다.

     진피를 구성하는 세포- 섬유모세포(Fibroblast) , 대식세포(macrophage), 비만세포(mast cell) 등이 존재한다.

                    염증(자극)이 생기면 임파구와 형질세포 또는 혈액에서 기원한 백혈구가 지원병력으로 진피에 집결한다.

    섬유성 물질은 콜라젠 섬유와 탄력섬유 등이며, 피부라는 건축물의 골격을 구성한다.

    콜라젠 섬유는 피부에 강도를 부여하고 탄력섬유는 신장성과 탄성을 주는 구조 단백질이다.

 

   1) 진피의 세포 -

        섬유모세포(Fibroblast)  : 콜라젠, 엘라스틴 등 섬유성 단백질 과  GaG 등 세포외 기질을 만드는 진피의 주세포

        면역세포인 대식세포(Macrophage), 염증 반응의 화학적 매개체의 저장소로 알려진 비만세포,

        항체 형성에 관여하는 형질 세포(Plasma cell)로 존재한다.               

 

          

 

   2) 진피의 섬유성 단백질 -

       세포 기질내의 콜라젠과 엘라스틴은 섬유성 단백질로 진피를 지지(支持)해 주고 탄력성을 제공한다.

       콜라젠 섬유는 피부에 지구력을 주고 엘라스틴 섬유는 피부의 탄력성에 기여한다.

 

    가)교원 섬유(Collagen fiber) -

        섬유모세포(Fibroblast) 3가지 아미노산으로 콜라젠을 제조하며,

        콜라젠 섬유는 피부에 인장강도(引張强度 ; Tensile strength)를 제공한다.

        콜라젠은 글라이신(Glycine), 프롤린(Proline), 하이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 등이

       삼중 나선 ( Triple helix  ) 으로 꼬여있고, 각 체인은 1400개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

       하이드록시프롤린은 콜라젠의 안정성에 중요한 물질이며 프롤린에서 만들어진다.

       프롤린에서 하이드독시프롤린이 생성되려면 비타민C가 필요하다.

        결국 비타민C가 부족하면 콜라젠 합성에 문제가 생겨 조직의 수복(修復) 장애를 초래한다.                                                 

                                

    나)탄력 섬유(Elastic fiber) - 탄력섬유는 피부 탄력성의 주역 단백질이다.

         콜라젠과 엘라스틴의 구조적 차이는 하이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 ()에 있다.

         콜라젠은 글라이신,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이 Triple helix  구조-견고성(firmness), 피부의 지주(支柱)

         엘라스틴은 콜라젠에 비해 하이드록시프롤린의 양이 적어 견고성 보다는 탄력성을 부여한다.

 

   3) 진피의 기질 -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 ECM)은 세포와 세포 사의의 빈 공간을 채워주는 물질이다.

       Extracellular matrix 는 주로 섬유모 세포에서 만들어져 세포 밖으로 내보내며

       모든 영양소와 대사 폐기물은 이 세포외 공간을 통해 운반, 대사된다.

       엘라스틴은 탄력성을,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 HA)을 위시한 GAG(Glycosaminoglycan)은 수분을 끌어들여 보습 유지함.

       특히 히알루론산은 콜라젠 및 엘라스틴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피부의 구조적 틀을 형성한다.

 

      진피기질(Ground substance)은 무색 투명한 겔상()이다.

      이 겔상 기질 안에 진피 세포와 섬유성 단백질이 매몰돼 있다.

      기질의 주성분은 당단백질 종류인 PG(Proteoglycan)이며 중심(core) 단백질에 GAG이 결합된 물질이다.

       GAG은 이당류(Disaccharide)가 반복되면서 형성된 기다란 다당류 사슬이며 GAG은 각각 주된 이당류를 갖고 있다.

       GAG은 점성이 높고 압축성이 낮아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고 세균 침투를 막아주는 차단벽 역할과

      세포의 구조적 통합성을 형성해 주고 세포 이동을 도와준다.

       GAG은 성장 인자와 결합해 진피세포를 섬유 성분과 연결시켜 세포의 증식, 분화, 재생,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

       히알루론산, dermatan sulfate, chondroitin sulfate, heparan sulfate keratan sulfate 등이 중요한 GAG이다.

       GAG은 대부분 중심(core) 단백질과 연결돼 proteoglycan을 형성하며

       중심(Core) 단백질과 수직 방향으로 결합해 브러시(brush) 형태의 구조를 취한다.

       GAG와 중심(core) 단백질을 연결해주는 철사줄 같은 물질은 Trisaccharide.

       진피의 가장 풍부한 GAG은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은 기질 안에서 세포간 구조를 안정시키며 기질을 액상화(液狀化)한다.

       히알루론산은 독특한 성질이 있다

       다른 종류의 GAG와는 달리 Sulfate를 내포하지도 않고 비공유 결합 형태로 PG와 연결되어 콜라젠 및 엘라스틴과 결합한다.

       히알루론산은 대량의 수분을 유인(moisture retention)하여 자신의 부피보다 1천배 정도의 수분을 함유--> 피부 보습 유지

       또 세포외 기질은 히알루론산(HA), 콜라젠 및 엘라스틴과 결합한 sulfated GAG로 구성되며

       GAG에 의해 다량의 수분이 세포외 기질에 보류된다.

       엘라스틴은 물에 잠겨 있지 않으면 건조해지고 쉽게 파괴돼 주름을 만든다.

 


                

             

   4) 진피 혈관 -

        진피에는 혈관이 풍부하다. 표피는 진피를 통해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 받는다.

        진피 내 혈관의 수축 및 확장은 체온 조절에 중요한 기전이다. 온도가 올라가면 혈관이 확장돼 얼굴 색깔이 붉어진다.

       진피의 혈관은 1) ~3) 으로 구성된다.

         1) 표재성 혈관총(Superficial plexus, Subpapillary plexus) :  유두 진피와 망상 진피의 경계부에 위치

         2) 심부 혈관총(Deep plexus)    망상 진피 하부에 존재

         3) 연락 혈관(Communicating vessel)   : 1)과  2) 를 연결한다. 

       혈관총은 세동맥과 세정맥으로 이뤄지며 피부 표면과 평행하게 흐르고,

       연락 혈관은 피하지방의 중격에 위치한 동맥에서 기원해 정맥으로 돌아가며 피부 표면과 수직으로 배열된다.

       표재성 혈관총에서 나온 개개의 모세혈관 고리는 진피 유두부까지 뻗어있다.

       개개의 모세혈관 고리는 물론 피부의 혈관총은 문합이 잘 발달돼 있어 어느 한 곳이 막히더라고

       다른 길로 혈류가 우회하도록 돼 있고 특히 진피 상부와 모피지 단위 및 한선 주위에는 문합이 잘 발달돼 있다.

 

   3. 피하층 ....피부와 내부 조직을 부착시키는 접착제 같다.

      피하는 주로 지방층으로 이뤄지며 지방세포들의 평탄한 층으로 조성된다.

      진피에서 뻗어나온 다양한 섬유들이 지방층을 통과해 아래쪽의 근육과 혈관에 부착된다

      일단의 지방세포는 주로 콜라젠 섬유로 된 칸막이에 의해 분리돼 있다.

      피하의 미세한 신경 종말- 층판소체(層板小體 : Pacinian corpuscles) 가 있어 외부에서 가해진 압력을 감지한다.

 

  4. 표피 부속 기관

     피부에는 땀샘(sweat gland), 털이 자라나는 모낭(hair follicle) 존재한다.

     모낭에는 피지선(sebaceous gland)이 연결돼 있다.

     피지선의 주된 역할은 피부 표면에 오일을 분비해 마찰 손상을 완화시키고 피부가 거칠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1) 피지선(Sebaceous gland) - 피지선은 모낭에 부착돼 있다.

      아주 미세한 관을 통해 피지(sebum)를 모낭으로 보내고

      모낭의 개구부를 통해 밖으로 분비해 피부 표면에 기름막을 형성한다.

 

   2) (Hair) - 손발바닥, 입술, 손가락 관절 부위, 성기 일부를 제외한 신체의 모든 부위에 존재한다.

       모근 세포가 증식하면서 털이 길어진다. 털 세포의 주성분은 케라틴 단백질이다.

       털의 케라틴은 피부 각질층의 케라틴과 달리 매우 단단하기 때문에 경성 케라틴(hard keratin)이라고 한다.

 

   3) 땀샘(Sweat gland)

     A) 에크린(Eccrine) 땀샘:

         기저부가 둘둘 말려있는 기다란 관상 구조이며 얼굴, 손발바닥에 에크린 땀샘이 많이 분포해 있다.

         땀샘의 주기능은 체온 조절이다. 땀의 분비는 땀샘에 분포한 신경 말단을 통해 조절된다

         육체 운동, 따뜻한 날씨, , 감정적 스트레스는 땀샘을 자극한다.

         땀은 주로 수분으로 이루어지며 소량의 염분을 포함한다.

     B) 아포크린(Apocrine) 땀샘:

         주로 겨드랑이, 성기, 유두 주변에 국소적으로 분포한다. 외이도와 눈꺼풀에도 비슷한 땀샘이 존재한다.

         아포크린 땀샘은 크기가 크고 더 말려있다. 출생시에 존재하나 성인이 돼야 분비하기 시작한다.

         인간을 제외한 포유 동물에서는 성적 유인을 위해 독특한 취향을 만든다.

         원래 냄새가 없지만 세균에 의해 유기물질이 파괴되면 역겨운 냄새가 난다.

                                

          

 

  

  ▣▣ 피부 노화 ( Skin aging )
    
1) 달력(생활) 노화Chronological aging

      2) 햇볕 노화(Photo-aging).................... 2 가지로 나뉜다.

 

      1) 달력 노화(Chronological aging)
        나이를 먹어가면서 신체 다른 장기의 퇴행성 변화와 함께 일어나는

          피부의 구조적, 기능적, 대사적 후퇴에 의한 변화를 말한다.

 

      ##  노화된 피부는

가)    건조해지고 얇아진다 피부의 가장 바깥 층의 수분이 점점 줄어들어 건조해지는 것이다.

        젊은 피부는 3-4주마다 스스로 새로워지지만 늙은 피부는 4-6주마다 갱신된다.

나)    피부의 골격을 이루는 콜라젠 생산이 줄어들어  잔주름(Fine Wrinkles)이 생긴다 

       특히 눈가, 이마와 노출부위에 먼저 나타난다.

       얼굴 표정 주름이 더 깊어지고 눈꺼풀, , , 팔 위에 주름이 쳐지고 늘어진다.

다)    이상 혈관 출현: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는 수많은 작은 혈관에 이상이 생긴다.

                                특히 코와 뺨에 있는 혈관이 눈에 띈다.

라)    노인 반점(Age Spots):

       햇볕에 노출된 부위에 있는 색소 세포 숫자가 감소하여 피부 표면에 이상 색소 병변이 생긴다. .

마)    피부 종양: 피부 면역계 기능이 감소되어 양성 및 악성 피부 종양의 빈도가 증가한다. 

 

   ## 피부 노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1)
콜라젠 생성을 증가시키고

     2) 피부에 분포하는 작은 혈관벽을 강화시켜

     3) 신진 대사를 증가시켜 산소 및 영양 공급 및 독성 물질의 제거가 원활해야 하고

     4) 피부의 면역 기능을 보강시켜 피부 종양의 발생을 방지하며

     5) 활성 산소에 의한 피부 손상을 막아주는 것이다.

 

   2) 광노화(Photo-aging)
      Chronological aging
과 별도의 과정이며

      주로 피부의 콜라젠 및 엘라스틴 섬유의 파괴에 의해 진행된다.

      형성된 주름의 양은 유전적 요인도 관여하지만 노출된 광선의 양에 영향을 받는다.

      자외선은 Tanning, Wrinklling, Melanoma의 원인이 되는 UVA

      일광 화상 및 basal cell & squamous cell carcinoma의 원인이 되는 UVB가 모두 관여한다.

      자외선은 단백질 분해 효소의 생성을 증가시켜 진피 아래층의 콜라젠과 결체조직을 파괴하여 더욱 피부를 손상시킨다. .

      Photoaging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SPF 30, PA +++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고 자외선을 가급적 피한다.

 

       SPF & PA 

  자외선 차단 크림의 자외선 차단 지수
   1
) SPF 15당 1시간 차단효과 지속
          예) SPF=90 일 때는 6시간 유지

     2) SPF는 UVB ( 단파장) 차단 지수이다  ▷ SPF= 30 이상일 것

     3) UVA ( 장파장 )에는 PA로 표시한다 : +/++/+++( "+" 한개를 SPF 15 정도 환산) 

     ★ 자외선 차단제 선택 : SPF= 30  & PA +++ 이상의 차단제를 선택할 것 

        SPF 15-20 : 일상 생활에 사용
        SPF 20-50 : 야외 활동 및 레포츠,여름철에 사용한다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해서는 사계절 내내 사용을 권장하는 추세이다


       * Gel 형태: Acne Oily Skin에 사용
       * Cream 형태: Make up할 때, 노화피부나 건성피부에 사용
       *  골프 칠 때는 SPF 90 짜리를 3시간 마다 바르는 것이 좋다.

          그러나 흔히 화장 때문에 한번만 바르는 경향이 있다.

          필링 후에는  SPF 50 이상,  PA +++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한다

 

   ## 주름은 어떻게 생기는가?
     피부는 30일 마다 탈락과 재생을 반복하는 세포로 구성된다. 윗층이 표피 그 아래층이 진피다

     35-45세 시기에는 세포 회전율과 재생률이 점진적으로 완만해진다.
   

     표피-진피 접합 부위의 편평화 때문에 표피와 진피 사이의 양분 교환 면적이 줄어든다.

     표피로의 영양분 공급 감소--> 표피 세포의 신진대사가 느려진다. -->

     세포 약화 초래 및 활성 산소 증가 ( 세포 대사의 부산물)--> 유리기에 의한 세포 손상-->피부 암종양 발생

     
     콜라젠 IV VII에 의해 표피와 진피가 접합된다.

     표피-진피 접합부위로의 영양 공급 감소-->  콜라젠 형성을 위한 촉진인자 -  혈류 순환이 감소-->

     콜라겐 부족-->  피부의 노화 촉진에 의해 영양 공급이 더욱 나빠진다.


     노화 피부는 더 많은 엘라스틴을 함유하여 콜라젠 결핍에 의한 빈 공간에 엘라스틴으로 채우게 된다.

     엘라스틴은  절편화되고 석회 침착 되며 과다한 지질을 함유하게 된다.
     콜라젠 지주가 결핍되어 피부 두께가 감소한 것 외에도 노화 피부는 탄력성이 부족해지고 덥수룩해진다.

     노화 과정 및 주름의 출현은 콜라젠의 감소로 초래된다.

     45세 이후 연령층의 clinical phase가 되면 더욱 촉진되다 50세 쯤이면 주름이 없는 여성은 거의 드물다.

     다만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 콜라젠(Collagen)
      콜라젠은 주요 신체 단백질이다. 콜라젠은 19가지 형태가 있고 신체 총 단백질의 약 20%를 차지한다.

      피부 구조를 지지해주는 중요한 역할 외에도 세포 외 기질(Extracelluar matrix)의 주요 성분이다.
      콜라젠은 Proline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며 프롤린은 아미노산의 1/3 정도를 차지한다.

      삼중 나선형 구조(triple helix)로 밧줄 형태의 구조를 하고 있으며

      단백질 다발간에 서로 직각으로 inter-fiber에 의해 cross-linkage되어 있다.

      콜라젠 망의 공간 배열은

       Proteoglycan Glycoaminoglycan(GAGs)이라고 하는 지지 macromolecule의 존재에 달려있다

      콜라젠은 GAGs보다 더 좋은 지주 구조이다.

       GAGs Water-saturated gel이며 수용성 분자, 호르몬, 펩타이드, 이온 등이 GAG를 순환한다.
      노화 과정 중에 콜라젠량의 감소는 더 약한 GAGs에 의해 점진적으로 대체 된다.

      콜라젠 양의 감소-->  GAGs에 의한 콜라겐의 대체 ( 아직은 탱탱한 편..)-->  노화 진행-->

      Gel은 지지력이 약하므로 늘어지고, 세포 대사 및  분열이 위협을 받는다.

      게다가 수분 섭취량이 불충분하면 콜라젠망 간의 연결이 붕괴되어 탈수 환경에 그물 끝이 열려져 있게 된다.
 

   ※ 섬유아 세포(Fibroblast)
     Fibroblast
는 피부과적 그물망 내에 있는 세포이다.

      조직의 수축, 조직 골격 건축, fibrogenesis 등 수많은 기전에 관여하는 기본적인 벽돌에 해당한다. .

      상피세포의 분화에도 역할을 하여 콜라젠을 만들어 낸다. 

      외상 등 급성 손상이나 가령, 스트레스, 산화 손상 등 만성적으로 조직이 손상되면 섬유아 세포는

      자신의 페노타입(눈에 보이는 생물의 형태)을 변화시키는 독특한 능력을 가지고 있어

      곧 myofibroblast가 되어 적극적으로 수리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상처를 받게 되면 육아조직을 형성하여 상처의 수축을 증강시키고 GAGs와 같은 결체 조직내의 macromolecule을 합성한다.
      노화되면 조직내의 fibroblast는 많은 콜라젠을 생산하지 못한다. 

      그러나 fibroblast가 조직에서 격리되어 TGFb등의 내인성 자극 인자에게 노출된 후에는 상당량의 콜라젠 특히 type I 콜라젠을 생산한다.

      Type I 콜라젠은 재건되는 건강 피부에 압도적으로 많이 존재한다.

      건강한 DEI에는 콜라젠 IV VII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을 상기하라.

 

     콜라젠 생성 자극
       섬유아 세포를 자극하여 콜라젠 및 GAG를 다량 만들어내게 하면 노화 피부를 회춘시킬 수 있다.

       주름이 없어지고 피부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피부 관리 영역에서 현재 많이 연구되고 있는 과제이다.

       현재 두 가지 접근 방식이 대두되고 있다.

      1)
성장 호르몬 분비를 증가시키는 중앙 호르몬체계를 자극한다

          성장 호르몬은 섬유아 세포에서 더 많은 콜라젠을 생산시키는 master 호르몬이다.

      2) 얼굴이나 목 등 신체의 특정 부위를 자극하여 더 많은 콜라젠을 생산하게 한다.

           이 특정 부위를 Secretagogue라고 하는 영양물질에 국소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자극하는 것이다. 

 

 ▣▣ 남성화장품과 피부관리

 1) 남성피부의 특징
 가).주름이 깊고 두껍다

   남자피부는 여성의 피부에 비해 24%정도 두껍다.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젠이 콜라젠 합성을 왕성하게 하고 수분 함유량은 1/3정도다.

    일단 주름이 생기면 깊은 주름과 표피가 얇아지는 속도가 더 빠르다.

나) 피지분비가 왕성하다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작용으로 피지 분비가 많은 만큼 피부 트러블이 많은 편이다. 

     피지에 의해 박테리아와 각종세균에 노출되어 여드름과 모낭염이 많고 피부가 칙칙해지며 색소 침착의 원인이 된다

 다) 면도로 인한 피부의 손상
     면도에 의한 턱 부위의 각질 제거, 상처-->
세균 침투 용이, 피부 저항력이 감소--> 염증 및 2차적 피부 트러블 

 라) 남자 피부의 수분 함유량은 술과 담배로 더욱 감소한다
    각질층의 적정 수분 함유량은 15-25%이다.

     10%이하가 되면 잔주름 및 피부 노화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흡연은 피부 각질층 수분 감소와 니코틴에 의한 말초혈관 수축으로 혈액순환과 산소공급을 감소시키고

     진피층 콜라젠을 파괴시켜 피부 노화가 3-5배나 빨리 진행된다.
     음주 또한 체내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각질층의 각화현상을 유발시켜 피부가 건조해지고 거칠어진다.

     음주에 의한 수분 손실량을 보충하려면 음주량의 10 배 가까운 물을 마셔야 피부보습 효과가 생긴다

 마) 자외선과 스트레스로 피부가 칙칙하고 검다

      자외선 차단제를 번거롭게 여겨 사용이 적다.
  
) 남자 피부노화의 최대 원인은 사우나와 뜨거운 샤워다
       음주 후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사우나 사용은 몸 속의 수분을 빼앗고 천연 보습막을 파괴하여

       피부의 탄력 저하와 피부 건조 증상, 습진, 가려움증을 유발하고 심해지면 건성 습진으로 발전한다.

       자극으로 인한 각질층이 손상되면 2-3주 동안 보습제를 사용하고 자극을 최소화한다

  2, 남자 피부 타입과 케어 방법

   남성은 남성호르몬에 의해 피지 분비는 많지만 수분 보유량은 여성의 1/3 정도다.

   또한, 면도 後, 알콜이 함유된 스킨은 피부를 자극하기 쉬우므로 삼간다.

   건성, 지성, 복합성, 민감성 타입으로 분리/관리하는 care 가 필요하다.

 

  3. 남성 피부 관리 방법

  A) 세안 ; 세안은 이중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피지  과잉 분비--> 큰 모공 內, 피지와 먼지, 노폐물 침투--> 염증 및 피부 트러블 빈번--> 색소 침착 야기

     세안할 때,  피부 타입에 따라 세안 제품을 구별해야 한다. 

     크린싱 폼 제품은 보습과 피부 노폐물을 제거해주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크린싱 제품을 사용한다.

     세안은 피부 관리의 절반이라고 할 만큼 중요한 기초 피부 관리 단계이다.

  - 1차 세안 단계 : 먼지,노폐물 제거하기
     유성 성분( 피지와 같은) 이 함유된 크린싱 제품으로 1차적으로 닦아낸다.

  - 2차 세안 단계 ; 수성 세안
      1차 유성 세안 후, 크린싱 비누나 크린싱 폼과 물로 세안하는 단계다.
      수성 세안 때에는 미지근한 물과 클린싱 폼을 손바닥에서 비벼 충분히 거품을 낸 다음

      얼굴에 맛사지 하듯 문지른 후 미지근한 물로 충분히 헹군다 이때 손바닥으로 물을 튕기듯이 헹구는 방식도 있다.

      마지막으로 차가운 물로 다시 헹구어 준다. 모공수축과 피부에 탄력을 주기 위한 마무리 세안 단계다.

  * 크린싱 제품은?
     크린싱 제품 또한 피부 타입에 따라 선택해야 된다

     1) 건성 피부- 크린싱 오일 제품
     2) 지성 피부- 크린싱 워터,크린싱 로션
     3) 민감 피부, 아토피 피부- 트러블이 없는 크린싱 제품

      1차 유성 세안 제품—크림싱 밀크, 크린싱 로션, 크린싱 크림 등의 제품으로 판매된다
      2차 수성 세안 제품--크린싱폼, 크린싱 워시, 크린싱 파우더 등의 제품으로 판매된다.

 

  B) 세안 후 토너(스킨), 애프터 쉐이브 스킨, 영양 화장수 사용
      세안 후에는 피지막 보호를 위해 수분과 유분 공급으로 피부의 유, 수분 균형을 맞추는 단계이다.

       피부 자극을 주는 알코올 함유 스킨이 아닌 보습 성분이 함유된 스킨을 사용한다.

       단 피지가 많은 지성 피부는 아스트린젠트(수렴 화장수)제품을 사용한다

  C) 로션, 에센스, 크림, 자외선 차단 크림
      기초화장품 바르는 순서 ; 스킨-> 로션 -> 에센스 -> 수분 크림-> 영양 크림

     - 건성 피부:         스킨-에센스 + 로션-자외선 차단 크림
      - 심한 건성 피부: 스킨-에센스 + 크림-자외선크림
      - 지성 피부 :        스킨-에센스-자외선 차단 크림

    * 에센스: 피부에 영양을 준다. 피부 개선과 노화를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다.

                  비타민 A. E, C, K 등 분리된 제품의 기능은 세포 재생, 미백, 혈관 튼튼,  피부 탄력 기능 有

    * 로션:   수분과 영양 유액의 제품으로 피부의 보습막과 영양, 유연성 등의 기능이 있다
    * 자외선 차단 크림: 자외선은 여러 가지 피부 트러블 및 질병, 피부 노화를 유발한다.

                                 자외선차단지수가 표시되어 있는데 이 지수는 높을수록 자외선 차단률이 높다.

 D) 남성 피부에 중요한 얼굴 면도
   1) 수성 면도: 피부에 자극이 적고 솜털까지 깨끗이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상처를 낼 수 있고 면도날의 교체와 물기가 남아 있는 면도기 관리가 중요하다.

                      면도하기 전 스팀 타올이나 수분 증기로 피부의 모공을 열어주면 피부손상과 자극을 줄일 수 있다
   2) 건성 면도: 피부가 메마른 상태에서 면도를 하기 때문에 면도한 피부에 붉음증이나 따가움을 유발 할 수 있다.

                      건성 면도로 인한 줅음증,따가움을 줄일려면, 가볍게 세안하거나 스팀 타올로  피부의 모공을 열어주자. 

                      

  * 수성, 건성 면도 후에는 면도부위가 건조하고 각질층 손상으로 각질이 일어나며 피부 부위가 당기는 증상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보습, 모공수축, 살균을 위해 스킨과 애프터 쉐이브로션, 에센스를 충분히 도포하자.

 E) 마사지와 팩으로피부 건강을.....
      마사지는 피부청결, 혈액 순환, 피부 탄력 증가시키기 위해 마사지크림을 이용하여 관리하는 방법이다.

      깨끗한 세안 --> 마사지 크림 50원 동전 크기 량만큼 덜어낸다.-->  3분 동안  마사지 한다.--> 티슈로 지워낸다.

      -->  스팀 타올로 닦고 냉 타올로 마무리 한다.

     

      팩은 마사지로 청결하고 각질이 제거된 피부에  영양과 미백, 탄력, 수분을 피부에 공급해 준다.

      시트팩. 크림팩.천연팩, 모델링팩 등으로 피부 타입에 맞는 팩을 선택한다. 

      팩의 종류
    - 필 오프(Peel off) 타입 : 건조시킨 후 떼어내는 타입이다.

                                           주로 모공 크린싱, 피지 흡착, 피부 청정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 워시 오프(Wash off) 타입 : 물로 씻어내는 타입으로 영양공급, 보습, 미백 기능이 있다
    - 시트(Sheet) 타입 :  붙였다 떼어내는 방식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의 제품이 있다.

 

 

 ▣▣ 피부관리에 따른 제품의 선택방법

   * 자신에게 특유한 피부의 문제점이나 피부 트러블에 따른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각 브랜드의 특징과 기능을 알아 본다.
   * 남성 제품의 향은 다른 사람에게 향수만큼 중요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화장품 선택 시에는
      반드시 샘플의 향을 테스트 한 후 구입한다
   * 애프터 쉐이브(After shave) 브랜드 명은 면도용 제품으로 보습이나 영양보다는

      면도 후에 자극 받은 피부를 진정 살균하는 알코올 성분이 함유된 제품이다.

      스킨을 바른 후 따갑거나 화끈거리는 것은 알코올 성분 때문이다.

      그러므로 애프터 쉐이브 제품 사용 후에는 로션, 에센스을 반드시 사용해야 보습,영양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 외용제(Preparation for external use)
  1)
활성 성분(Active ingredient )

  2) 기제(Base; Vehicle)

  3) 보조, 첨가물(Additional, Auxiliary substance)

 1)
활성 성분(Active ingredient)
   항생제, 항진균제, Retinoic acid 알파히드록시산(Alpha-hydroxy acid)등 노화 지연 성분,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과 같은 미백제가 주성분이다.

 
2) 기제( Base; Vehicle)
    활성 기능 성분을 피부로 전달하는 물질이며 지방 기제, 물 또는 수용성 용액이다
.
    분말을 이용하여 연고, 크림, 에멀젼, 용액, 파우더, 페이스트,

    현탁액(Suspension; 용액내에 콜로이드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형태), 로션을 만든다
   
1) 보습 효과      2) 진정(Soothing) 또는 냉각(Cooling) 효과등 부가 기능이 있다

 3)
보조, 첨가물(Additional/auxiliary substance)
    방향제, 향료, 염료, 방부제 등이다

 

   지방 기제(Fatty Base)

  통상적으로 서로 다른 여러가지의 지방 기제를 섞어 원하는 성질의 제품을 만든다

   1) 활성 성분과 섞어 피부 침투를 돕는다

   2) 기름막(Oily film)을 조성하여 피부에서 증발되는 수분량을 감소시켜 보습 정도를 증가시킨다

    가장 흔한 미네랄 소스는 정제된 원유(Crude oil)

    상온에서 액체 형태를 이루는 오일(oil), 반고체 형태를 이루는 지방(fat), 고체 형태를 이루는 왁스(wax)가 있다
    화장품 업체는 이들의 물리적 성질을 변화시켜 사용한다.

 

  동물에서 추출한 지방 기제..(fatty base)는 피부의 노화 방지 효과는 없다.

   1) 라놀린(Lanolin)

       양의 피지선에서 분비된 유성물질로 보습제로 사용된다.

       순수한 형태의 라놀린은 노란색을 띤 회색이며 끈적거리며 특징적인 냄새가 난다.

       라놀린은 사람의 피지성분과 비슷하여 피부에 발라도 거의 자극이 없다. 하지만 피부 과민 반응이 발생하기도 한다


   2)
양모 알코올(Wool alcohols)

      양털에서 추출한다.

      Wool alcohol은 라놀린보다 더 많은 알코올성 기름 성분을 함유하여 더 많은 수분을 지닌 물질로 변화할 수 있다.

   3)경랍(鯨蠟,Spermaceti)

      고래에서 추출한 유성물질이다. 고래 포획이 금지되어 미국에서는 합성 경랍을 사용한다
     

  식물에서 추출한 지방 기제:  식물성 기름(Plant oils)

     올리브, 참깨, 땅콩, 옥수수, 해바라기, 콩류, 코카 버터에서 추출한다.

     동물성 fatty base와 효과면에서 대동소이. 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 함유량은 화장품으로 사용할 때 아무런 차이 없다.

 

  미네랄에서 추출한 지방 기제

     파라핀 기름이며 원유 정제품이다.
     파라핀에서 추출한 물질은 액체, 반고형, 고체로 존재한다.
원래의 노란 색깔을 화학적으로 표백해서 사용한다

     피부에서 수분 증발을 방지하고 피부 자극이 거의 없다. 그러나 불유쾌한 유성(油性) 느낌이 있다.   

 

  ▲ 연고(Ointment)

    지방기제에 소량의 수분을 가하면 반 고형 상태가 되는데 이를 연고라고 한다.

      수분량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cream 이 된다.
      연고는 지방 기제로 구성되며 반 고형의 경도를 가진다.

      지방 기제는 연고 내 활성 성분의 피부 침투력이 좋다. 따라서 항생제나 스테로이드 등 여러 가지 약품을 연고 형태로 만든다.
      바세린(Petroleum jelly) 등 전형적인 연고는 미네랄에서 유래한 지방 기제 제품이다.

      활성이 없고(inert), 수분에 저항하기 때문에 피부에 밀폐층을 형성한다.

      미네랄에서 유래한 지방 제형은 다른 제형과 비교하여 피부 보호 효과가 우수하고 쉽게 씻겨내리지 않는다.

     라놀린, 유세린(Eucerin)등의 지방 물질을 기제로 한 제품은 물을 함유할 수 있다
.

     오일에 물을 첨가하는 것은 미용적으로 더 바람직한 효과를 보일 뿐 아니라 덜 끈적거리며 촉감이 좋고 사용하기 쉽다.

 ## 물과 물을 함유한 수용성 용액 (Aqueous Solutions) 
  ▲
 화장품 및 의료용 제품의 기제

  

    화장품에 흔히 사용하는 액체는 물이다.

    물은 그 자체로는 사용되지 않지만 약물이나 기타 활성 성분은 물에 녹아 용액을 만든다

    피부의 냉각 효과와 건조 효과도 있다. 수분은 피부 표면에서 증발하여 냉각 효과를 보인다. 

    수분이 증발하면서 피부 표층의 수분을 추가로 끄집어 가기 때문에 피부를 물에 자주 적시는 것은 건조 효과와 같다.

    따라서 염증으로 젖은 피부 질환 부위는 물로 자주 적셔 준다.

 

  알코올.... 기제로한 용액을 팅크제(Tincture)라고 한다.

    알코올은 물보다 더 빨리 증발되어 더 강력한 냉각 효과가 있고 일부 세균을 멸균하는 작용이 있다.

    그러나 알코올 농도가 높을수록 피부에 대한 자극 정도가 커진다.


 ## 파우더(Powders); 의약품 및 화장품 기제

     조잡한 입자가 없는 파우더를 사용하며 한가지 이상의 고형 성분으로 만든다.

     보통 습기 차기 쉽고 마찰이 많은 피부 주름(사타구니) 등  마찰을 최소화하고 

     과량의 습기를 흡수하기 위해 주로 건강한 피부에 사용한다. 

     피부의 결함 부위를 감추기 위해 화장품 제조에도 사용한다.

 

  ▲ 파우더로 사용되는 물질 
   
영유아의 경우, 순수한 파우더는 피하는 것이 좋다.

      파우더를 바를 때 공기 중에 퍼진 미세한 입자를 흡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  산화아연(Zinc oxide): 은폐 또는 보호 성질이 있다.
나)
이산화 티타늄(Titanium dioxide): 자외선에 대한 보호 작용이 있다. 자외선 차단제의 주요 성분이다
.
다)  
활석(Talc): Magnesium polysilicate다. 불활성 물질이며 마찰을 방지한다

                     상업용 제품에는 산화 아연이나 규산 알미늄(aluminum silicate)등의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라)  칼라민(Calmamine) : 산화 아연과 소량의 산화철(Iron oxide)이 혼합되어 있다.

                                         피부에 진정 효과(Soothing effect)가 있고 소양증을 감소시킨다
마)  전분(Starch):  액체를 흡수하여 피부에 과다한 수분을 제거할 때 사용한다

 

 

 ##  기제의 조합(지방 기제, 물 또는 수용성 액체, 파우더)

    1) 지방 기제 + 수분 기제 => 액상 에멀젼(유탁액) 또는 크림

    2)  파우더 + 수분 => 현탁액(Suspension)

    3) 지방 기제 + 파우더 => 페이스트 (paste : 풀 형태의 연고 )

 

         

                     서로 다른 기제를 조합하여 여러가지 제품을 만들어낸다.

 

  1) 지방기제와 수분의 조합
     물과 오일의 혼합

      물과 기름을 함께 섞으면 오일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오일이 물의 표면에 뜬다. 비중이 물보다 작기 때문이다.

      기름을 물에 녹인 용액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오일 방울을 물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는 가능하다.
      물과 기름의 혼합물을 유탁액(Emulsion)이라고 한다. 그러나 혼합을 중단하면 다시 물위로 기름이 뜬다.

      기름을 물에 균일하게 혼합 시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화제(Emulsifier)라는 물질이 필요하다.

      유화제는 유탁액을 안정화 시킨다.

 

 
   * 액상 유탁액 ( liquid emulsion )- 수분이 오일보다 많다.

   * 크림( cream ) - 오일이 수분보다 많다.

   * 연고 ( ointment ) - 오일이 더 많고 수분이 미량이어서 반고형 상태다.

 

    화장품에는 많은 크림 타입이 있다.

   각각 특별한 목적에 사용되며 서로 다름 이름으로 광고한다

 

Vanishing cream      ............daytime cream

Night creams         ..............Nourishing cream

Cleansing creams    

Moisturizing creams   ...........  Humectants

Foundation creams

Cold creams

Eye creams

 
     바니싱크림(Vanishing creams)... 연고와 비교하면 밀폐 효과는 미미하다
 

보통 주간 크림(Daytime cream)으로 사용한다.

자외선 차단제나 여러 가지 의약품(항생제 등), 또는 retinoic acid 등의 활성 성분을 크림에 첨가한다.

배니싱 크림의 이점은 ?

피부 표면에서 얇고 투명한 필름을 나타냄, 수분( 냉각효과 발현) 함유, 水性- 씻기 쉽다.

    약간의 오일 성분- 약간의 보습 작용도 있다.

 

야간 크림(Night creams)... 밀폐성 (오일 함량 차이) :  연고> night cream > vanishing cream

야간 크림은 피부 투과하는 여러 물질을 함유하기에 영양 크림(Nourishing cream)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피부 투과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피부에 수시간 잔류해야 한다.

따라서 영양크림(nourishing cream)은 밤에, 주로 취침 전에 바른다.

유성 때문에 흘러내리지 않고 편리하다

 

클린싱 크림(Cleansing creams): 다른 곳에서 설명
     

 보습 크림(Moisturizing creams)
 밀폐 효과(Occlusive effect ; 피부 표면에 비 투과성 차단벽을 만들어내는 효과)

        Humectants(습윤제: 수분을 흡수하는
    
     
파운데이션 크림(Foundation creams).. 보습 크림( 냉각제 포함-수분 함유)
      외선 차단 크림을 함유하는 경우가 많다. 피부 보습과 함께 햇볕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파운데이션 크림은 얼굴을 스무스하고 균일한 색깔로 만들어 피부 결함을 감추어 준다.
     
    
      콜드 크림
(Cold cream).. 오일과 수분의 혼합물, 냉각 효과가 있다
      
진정한 유탁액(True emulsion)이 아니라 가성 유탁액 (Pseudo-emulsion)이다.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아서 안정적이지 않다. (냉각 효과 : 수분이 오일과 신속하게 분해 後, 증발됨)

        그래서 이름이 콜드크림(cold cream)이다.

        오일 성분은 세정( 더러운 입자 제거) 효과 와 보습 효과를 갖게 한다.

 올리브 오일, , 밀랍, 장미 꽃잎이 포함되어 특징적인 향을 지녔다
 콜드 크림에는 공통적으로 오일, 수분, 왁스 등이 포함되어 있다.

 

     아이크림(Eye cream)

      눈 주변의 섬세한 피부는 주로 저자극성(hypoallergenic ) 제품을 사용한다. 

       피부 자극이나 앨러지를 유발하는 향수 나 방부제를 사용하면 안 된다.


  2) 파우더와 수분의 조합(Suspension)

       염분과 설탕을 물에 녹이면 설탕과 소금 분자는 물에 균일하게 녹아 투명한 용액을 만든다.

       고형 물질을 녹이는 용매는 물일 수도 있고 알코올일 수도 있다

       용매가 알코올일 때 팅크제(tincture)라고 한다.


        모든 물질이 물에 녹을 수 없다.

        활석(talc) 입자는 물에 녹지 않아 액상 물질이 투명하지 않고 균일하지도 않다.

        이처럼 수용성 파우더와 물의 혼합물을 현탁액(suspension)이라고 한다.

        현탁액은 피부에 냉각 효과가 있다. 물이 증발하기 때문이다. 일단 물이 증발하면 파우더층이 피부에 남는다.
        따라서 현탁액은 사용 전에 파우더 입자가 용매內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반드시 흔들어서 사용한다.

 

 

 3) 파우더와 지방 기제의 조합(Paste)
     페이스트는 파우더와 지방 기제의 혼합물이다.

     지방 기제는 보통 바세린(Petroleum jelly ,Petrolatum)이다. 파우더는 흔히 20-50% 정도 함유되어 있다.

     페이스트는 연고보다  지방성분이 덜 하지만 지방 함량 때문에 밀폐성질보호성질 을 가진다.


      페이스트는 페이스트에 들어있는 파우더 때문에 약간의 수분 흡수성질이 있다. 그러나 연고는 수분 흡수 성질이 없다.

      페이스트의 주용도는 영유아의 기저귀 발진(diaper rash) 에 사용한다.

      페이스트는 하드’한 것과 소프트’한 것이 있다.

     소프트 할수록 지방 성분의 함량이 많고 파우더 양이 적어 진다.

      또한 하드 할수록 파우더가 많고 지방 함유량이 적어 수분 흡수량이 많아진다.

      페이스트는 흔히 미용목적보다는 치료 목적으로 사용한다

      이들 제품 중 일부는 알란토인(allantoin)이나 페루 발삼(향유;Peru balsam)을 함유하고 있어 진정 효과가 있다.

 

  4) 기타 조합

 

 ▲ (Gels)
       여러 종류의 화장품과 의료용 피부 제품의 기제로 사용된다.

       젤은 반 고형이며 비지방(脂肪)성의 무색, 투명한 물질이다.

       젤은 따뜻한 피부에 접촉하거나 피부에 비비면 증발하는 경향이 있다.

       젤의 성분:   젤은 용액이다. 용매는 물, 아세톤, 알코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이다.

       젤은 점도가 높을수록 피부에 잘 달라붙고 피부 표면에 더 오랫동안 머물 수 있다.

       크림은 농도를 짙게 하는 농축제(thickener)를 포함하지 않아

       지방기제의 함량이 많아야만 점도와 들러붙는 점착성(stickness)의 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소량의 지방 성분을 함유하면서 점도가 높은 제품을 원한다면 크림 대신 젤을 선택한다.

       지성 피부의 경우에 유성 물질을 원하지 않는다면 더욱 수분이 많은 제품을 선택한다.


  ▲ 로션(Lotions)

    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은 모두 액상 제제다

    로션은 파우더와 용액의 독특한 조합에다

    글리세린(glyerine)이나 글리세롤을 첨가하여 원하는 질감(texture)으로 만든 것이다.

    전형적인 예가 칼라민 로션(Calamine lotion)이다.

    칼라민(산화아연 + 소량의 산화철)은 약간의 글리세린( 적당한 질감과 보습 효과)으로 만든다.


  ▲ 파우더, 수분, 오일의 조합

       파우더, 수분, 오일을 모두 함유한 제품도 있다. 오일은 피부 건조를 방지한다. 

       ** 지방 +파우더 + 수분 --->  수성 페이스트(watery paste)도 있다.

 

  5) Preservats  ( 보존제)

     다빈도 보존제 : 보존제의 첨가는 적합한 기준이 있다.

     Benzoic acid, Benzyl alcohol, formaldehyde, Imidazolidinyl urea, Parabens, Quaternium 15.... 
       화장품이나 의료용 제품은 제조 과정에서 세균 감염의 찬스가 많다.

       제품에 수분이 많을수록 세균 및 곰팡이 감염의 위험이 높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세균이 증식하면 제품의 성질을 변화시킬 수 있고 또한 피부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 보존제의 첨가는 필요악이다(Necessary evil).

 

   ☞☞☞       보존제 :'부틸메록시디벤조일메탄'= 아보벤젠이라 불리는 이 성분은 자외선을 차단한다.

              그러나 이 성분이 햇빛을 만나면 악성 반응을 일으키는 발암 의심 물질로도 알려져 있다.

 

     2008년 10월 이후 '화장품 전성분 표시제'에 따라 국내 출시 화장품은 모든 성분을 표시하도록 되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클렌징 제품, 샴푸, 세안제, 바디클렌저에도 논란이 되는 물질이 들어 있다.

'소디움우릴설페이트(SLS) 등 화학계면활성제다.

미국 독성학 연구결과에 따르면 SLS는 피부를 통해 쉽게 흡수되며,

심장, 간, 폐, 그리고 뇌에 일정 수준을 유지하면서 체내에 5일 정도 머문다.

"이 연구는 SLS 같은 화학계면활성제가 인체에 축적되면 체내 유전자 변형을 일으킬 수 있고,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다 보면 암이나 만성적인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 또 "SLS는 열과 접촉하게 되면 독성물질인 염산과 황산을 뿜어낸다"며

따뜻한 물과 함께 화학계면활성제 SLS이 함유된 샴푸 등을 사용하지 말 것"을 권했다.

화학계면활성제는 피부에 끝까지 남아 자극을 줘 어떤 사람들한테는 피부 트러블을 일으킨다.

환경오염 유발물질이기도 하다. 거품이 자연 상태에서 분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코코넛오일로 만든 코코-베타인, 사탕수수로 만든 잔탄검,

옥수수나 감자전분에서 추출하는 라우릴글루코사이드 같은 천연계면활성제는 이런 부작용이 없다.

화장품, 세안용품에 쓰이는 화학성분은 화장품 제조업체가 노력을 기울이면 좀 더 이로운 성분으로 얼마든지 바꿀 수 있는 것들이다.

화장품 업체를 바꾸려면 소비자부터 바뀌어야 한다.

귀찮더라도 내 피부를 위해, 환경을 위해 성분을 보고 화장품을 고르자.

대부분의 화장품은 계면활성제, 방부제, 파라벤, 인공향료, 합성착색료등의 화학약품을 기본 성분으로 해서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미국 독성학 연구결과에 따르면  화학계면활성제(SLS, SLES)는 피부를 통해 쉽게 흡수되며 계면활성제가 인체에 축적되었을 경우 체내 유전자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다 보면 암이나 만성적인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비누, 샴푸에서 부터 스킨, 로션을 비롯한 기초 화장품에 포함된 유해성분은 한 병 기준으로 봤을 때는 기준치 이하로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7단계 이상의 화장을 매일 하는 경우에는 이야기가 달라지겠지요. 

화장품에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것은 정말 피할 수 없는 일일까요? 조금만 더 비용을 쓰고 시간을 투자하면 자연에서도 천연계면활성제 성분을 얻을 수 있습니다.  거품이 기존의 화장품보다 풍성하지는 않아도 자극이 적고 피부에 남지 않으며 식물성분이기 때문에 보습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일시적인 효과를 극대화하는 화학성분의 화장품보다는 무첨가 천연성분의 화장품이 피부의 자생력을 키워주어서 장기적으로 더 큰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화장품을 고르기 전에 먼저 인정해야 될 것은 기적의 화장품은 없다는 사실입니다. 자신의 피부에 맞는 안전한 화장품을 제대로 사용하는 것 이상의 화장법은 없을 것입니다. 환하게 빛나는 얼굴을 만드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은 비싼 화장품 보다는 자신만의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찾는 자신감과 전체적인 몸의 균형을 회복하는 건강한 생활이 아닐까요?

        ##   대한민국 화장품의 비밀

             가장 피해야 할 10가지 화장품 성분
 

  • 미네랄오일(피부유연제) – 발암물질오염 가능성, 피부 호흡방해
  • 소디움라우릴황산염, 소디움라우레스황산염(계면활성제) – 발암성
  • 아보벤젠 또는 파르솔 1789,부틸메록시디벤조일메탄(자외선차단제) – 발암성
  • 옥시벤존 또는 벤조페논-3(유기계 자외선 차단제) – 신경독성, 발암성, 환경호르몬 의심
  • 이소프로필알코올 – 두통, 현기증, 암환자면역력저하
  • 파라벤(화학방부제) – 유방암유발 의심물질, 알레르기 유발
  • 페녹시에탄올(화학방부제) – 발암물질 오염가능성
  • 폴리엔틸렌글리콜(계면활성제) – 발암성, 간 및 콩팥기능장애유발
  • 합성착색료(황색4호, 적색219호, 황색 204호, 적색 202호등타르색소) – 알레르기유발, 발암성
  •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실리콘) – 피부호흡방해

       ** 화장품 올바른 보관 및 사용법 : 

         - 햇볕이나 고온에 노출을 피해  대개 차고 어둡고 건조한 장소에 보관한다.

         - 제품 사용 후 용기에 면봉이나 종이류를 넣어두지 않는다세균 감염의 주요 소스가 되기 때문이다.

         - 빈 용기에 옮겨 담지 말고 사용하던 제품과 신품을 섞지 않는다. 구제품이 신품을 감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색상과 냄새가 변한 화장품은 사용하지 않는다.( 유효기간이 명시된 제품만 사용한다. )

 

 


 

▣▣ 여드름

   여드름은 모낭 및 피지선의 염증 질환이다.

     사춘기의 호르몬 변화와 관련되어 12-14세에 발생한다.

     15-19세가 되면 더 심해진다. 20대 중반이면 점차 소실되어 개선된다. 그러나 40대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 모낭 및 피지선의 구조
    모낭: 가늘고 기다란 관상 구조이며 이곳에서 털이 자라 나온다.

            한 개의 모낭에 한 개 이상의 피지선이 붙어 있다. 

            피지가 직접 피부 표면으로 분비되지 않고 모낭으로 분비되어 피부 표면으로 나온다.

            전신에 피지선이 분포되어 있지만 손발바닥에는 없다.

            얼굴, 가슴 및 상배부의 피지선은 더 많고 깊어 여드름이 호발 한다.

 

 

 ## 여드름의 염증 병변 ?

    1)개방 면포(Open comedone; Blackheads)
     2)폐쇄 면포(Closed comedones ; Whiteheads)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Comedo의 복수 = Comedone)

   ☞ 면포는 여드름의 일차적 기본 병변이다.

      면포의 염증 양상이나 정도에 따라 병변이 변화한다
  
1) 구진(Papules): 직경 5 mm 정도 크기의 돌출 병변으로 핑크 또는 빨간 색깔이다
    2) 농포(Pustules): 고름을 포함한 병변이다.
    3) 결절(Nodules): 구진에 비해 염증성 종창이 피부 깊숙히 존재한다. 커지면 피부의 윤곽을 변화시켜 돌출 된다
    4) 낭종(Cyst): 액체나 반 고형 물질을 함유한다

 

     여드름의 일차 병변, 면포(Closed comedones 및 Open comedones)
    ◀
 모낭 세포의 숫자 증가는 모낭의 각질층을 증가시키고 피지선의 피지 생성이 많아진다.

         여드름 병인의 4 가지 요소는

        1) 피지 분비 증가

        2) 모낭 입구 과 각화에 의한 모공 폐쇄

        3) 세균 증식 (피지 풍부, 산소 결핍 상태)

        4) 염증 유발이다.

      

  1) 개방 면포(Blackheads)
       각질 물질과 피지 누적 때문에 모낭 개구부가 넓어진다.

         모공의 까만색은 모낭 개구부를 막고 있는 물질에 색소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2) 폐쇄 면포(Whitehead)
       모낭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다. 그 아래에 치밀한 각질 물질과 피지가 누적되어 있다.

         폐쇄 면포는 그 자체가 염증 병변이 아니다. 여드름에서 여러 가지 염증 병변을 유발하는 초기 병변이다.

 

    ※ 결절-낭종성 여드름(Nodulocystic acne)  :

                      염증성 결절(nodule)과 고름으로 채워진 낭종성 병변이다.

                      남성에게 흔하다. 결절은 견고하고 압통이 있으며 염증이 심화되면 붉은 자주색으로 변한다. 

 


  ## 식이(Diet)와 여드름 
     ▲ 여드름 증상을 악화시키는 물질에는?

         Iodides, Bromides, Glucocorticoid, Lithium 등 약물, 기름을 함유한 화합물(Oil-containing compound)

 

     1) 특정 음식에 대한 민감성
         대개 음식과 여드름은 무관하다.

         그러나 일부 환자는 특정음식을 섭취한 후 몇일 내에 여드름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여드름의 발현과 관련된 특정 음식이 감지되면 피해야 한다.
     2) 우유 제품과 여드름
        테크라싸이클린으로 치료한 여드름 환자는 우유 제품의 섭취를 피해야 한다.

        우유 제품을 섭취하면 TC 복용할 때까지 적어도 2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그러나 TC 복용하지 않은 여드름 환자는 우유 제품을 제한할 필요가 없다.

 

 ## 안면 세정 (Facial Cleansing)
    여드름은  피부 깊은 곳 즉 모낭과 피지선에서 초래되는 질환이다.

    여드름의 원인은 일차적으로 호르몬 변화이기 때문이다.

   

    세정으로 피지, 땀, 오물, 죽은 세포를 헹구어 제거하는 것은 몇 가지 긍정적 효과가 있다.

    세정시 주의할 점 ( 과도한 마찰 및 문지르기, 순한 비누 선택할 것- 자극에 의한 각질 생성을 막기 위해)

     ▷  모공 폐쇄를 감소시켜 모낭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 지성 피부에 오일을 바르면, 모공을 막는다.)

     ▷▷피부 표면의 세균을 제거하여 모낭으로 침투를 방지하기 때문이다.

          세균 감염을 방지하고 새로운 염증성 여드름 형성을 억제한다. 

          따라서 여드름 환자는 하루에 2-3번 세안을 권한다.

  비누 선택 : 순할 것 + 항균제 (여드름 원인균 억제) /Benzoyl peroxide 
  

 ##  햇볕과 여드름 
     햇볕은 피부 표면 및 모공에서 각질 및 피지 생산을 증가시켜 여드름을 악화시키기도 한다.

     일부 피부과 의사는 햇볕에 적당히 노출 시킨 후 얼굴을 조심스럽게 세정하라고 권유한다.

 

   요약하면
   1) 햇볕에 노출시키는 것은 점진적이며 적당해야 한다
   2) 햇볕에 노출 후 여드름이 악화되면 햇볕 노출을 금한다
   3) 햇볕에 노출시킨 후 피부를 조심스럽게 세정할 것을 권유한다
   4) 환자의 피부에 맞는 비 지성 자외선 차단제(non-oily sunscreen)를 사용해야 한다.

      일부 지성 보습제는 여드름을 악화시킨다.
   물론 상기의 원칙은 비염증성 여드름에 적용되는 사항이다.

   만일 활동성 염증 변변의 여드름일 때는 햇볕 노출을 피한다.

   왜냐하면 이들 병변은 흉터( 색소 침착 등등)를 만들면서 치유되기 때문이다.

 

 ## 화장품과 화장
    2가지 타입의 화장품은 여드름을 악화시킨다.
    1) 면포 형성 제제(Comedogenic preparation) : 면포 출현을 자극하는 물질함유 화장품

                                                                           Whitehead 및 Blackhead 모두 나타난다
    2) 여드름 형성 제제(Acnegenic preparation  )  : 과다한 유성 화장품 , 사용 2주일 내 농포 형성함
                                                                          피부 모공을 막아 피지 배출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여드름 환자 용 화장품에는 대개 수분이 많고 때로는 오일을 흡수하는 물질을 함유한다.
     여드름 치료용 크림에는 의약품과 착색제가 혼합되어 있어 이런 제제는 화장품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크림의 색깔과 피부 색깔을 매치 시켜 사용한다.

 

  ▶화장 전문가(Cosmetician)에 의한 여드름 치료
   1) 얼굴 세정
    2) 면포 내용물 압출
    3) 피부를 청결 유지방법 교육
      상기 방법과 더불어 약물 치료를 병행한다.
      면포를 열어 배출시키는 것은 면포에 염증이 생기거나 감염을 막기 위한 것이다.

 

    면포 치료 단계는
   1) 면포를 연화시키고
   2) 피부를 청결하게 하고 무균화시키며
   3) 면포 내용물을 압출하고
   4) 병소를 한층 더 세정한다

   가) 면포의 연화(softening)
           면포를 배출시키기 전에 연화시키는 것이 좋다. 이것은 retinoic acid를 함유한 크림으로 가능하다.

           크림을 매일 여드름 부위에 한달 동안 바른 후 화장 전문가가 치료를 시작한다.

           면포를 연화시키고 느슨하게 하는 방법은

           1)스팀 쏘이기(steaming)

           2) 치료 전 15분 동안 뜨거운 습포(hot, moist compress)

           3) 치료 전에 살리실산(salicylic acid)이나 sulfur salicylic acid 제제를 국소 도포하는 것이다.

   나) 피부의 청결 및 멸균(sterilizing) -  70% 알코올이나 기타 항균 용액을 사용한다

   다) 면포 내용물 압착
     1) 손가락 끝(finger tip)으로 짜내기

          핑거 팁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약한 알코올을 적신 얇은 면봉을 손가락 끝에 끼우고 손으로 면포를 압출한다.          

      2) 면포 압출기(comedone extractor)를 사용한다.

         면포 압출기는 모낭을 수직 방향으로 압축하여 모낭을 파열시킨다.

          확대경 하에서 밝은 조명 시야에서 시행한다

       .

     면포 내용물 압축 방법
  1) 개방형 면포(blackhead)
     수직 방향 압력으로 압출한다. 병변의 옆 주면을 하방으로 조심스럽게 누른다.

     만일 아무것도 나오지 않으면 다른 병변으로 옮겨 간 후에 반복한다.

     지방 물질이 면포 밖으로 스며 나오기 시작하면

     두 개의 반대방향 손가락으로 내용물이 모두 나올 때가지 몇 군대를 조심스럽게 눌러 짠다.

     압출된 물질은 면봉으로  닦아낸 다음 멸균 용액으로 다시 닦아 낸다.
  2) 폐쇄성 면포(whitehead)
      멸균 바늘로 면포 중심 부위를 뚫어준 다음 상기 방법으로 면포 내용물을 압출한다.
  3) 작은 농포 내용물(직경이 3 mm까지)

     : 중심부위를 뚫은 다음 상기 방법으로 압출한다. 크기가 큰 농포는 전문 의사에게 보낸다.
  4) 결절이나 낭종이 있을 때는 전문가에게 보낸다.
  5) 발적이 있는 붉은 구진은 손대지 않는다.

      만지거나 압출하거나 구멍을 뚫지 않는다.

       만일 구멍을 뚫게 되면(puncture) 모낭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을 뿐 아니라 피만 나온다.

       발적이 있는 구진을 만지면 조직 손상만 초래하여 나중에 흉터를 남길 수 있다.

       이 병변에서는 화농성 물질이나 지방 물질이 나오지 않는다.
  6) 치료 후에는 그 부위를 다시 알코올이나 기타 항균 용액으로 세정한다.

 

 

 

 

▣▣ 여드름의 과정에 맞춘 치료       

A)   경증의 여드름(Mild): 피부 표면 또는 피부 표면에 근접한 곳에 발생한다.

     제제:살리실린 산, 유황, 리조르시놀이 함유 제제 또는 retinoic acid, AHA, Azaleic acid 사용

경증 여드름의 치료 원칙은

1)    따뜻한 물과 자극성이 없는 비누 세안

2)    Benzoyl Peroxide 또는 살질산(Salicylic acid) 도포( 1~2 개월 간)

3)    상기 치료에 반응이 없으면 두 가지 이상의 복합 요법을 시행한다.

      예를 들면 국소항생제나 레티노이드 등을 함께 적용시킨다

 

B)   중등도 여드름(Moderate or Moderately severe acne): 안면 부위의 1/4 ~ 3/4을 침범한다.

 치료는 1) 면포 추출 

            2) 광학요법

            3) 약물 요법(국소 항균제, 국소 레티노이드, 경구항생제, 경구 피임약 등)

C)   심한 여드름(Severe Acne): 깊은 낭포, 염증, 광범위한 피부 손상, 반흔을 동반한다.

  치료는 1) 외과적 절제 및 배농

             2) 약물요법 ( 병변 내 부신 피질 호르몬 주입 , 이소트레티노인(Isotretinoin) , 경구 항생제, 경구 피임약 등)            

 

     여드름 치료 후 속발될 수 있는 반점(macule) PIH(염증 후 과색소 침착)의 일종으로

      이때는 면포를 생성하지 않는 자외선 차단제(Noncomedogenic sunscreen; SPF>15)를 도포해 준다.

 

 ## 여드름 치료제 

     

 

     A)   국소 도포제(각질 용해제)

 

   처음 사용하기 시작할 때 주의해야 한다.

   눈에 잘 띠지 않은 피부의 작은 부위에 먼저 도포하여 피부 자극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전체에 도포한다.

   서로 다른 제제를 병합할 경우 : 한 제제를 오전에 그리고 다른 제제를 저녁에 바르는 식이다.

1)    트레티노인(Tretinoin) 제제

   ▶스티바 A (0.025%)

      스티바 크림 (0.025/0.01/0.05/0/1%): 저 농도로 시작하며 취침 전 한번 도포한다

      모낭 입구를 막는 플러그(plug) 형성을 방지하여 면포 형성을 예방한다.

         처음 사용할 때는 피부가 붉어지고 각질이 일어나지만 수주가 경과하면 자극이 소실된다.

          Retinoic acid는 햇볕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밤에만 바른다.

         낮에는 retinoic acid를 바른 사람은 가급적 햇볕에 노출을 피하고 자외선 차단제를 함께 바른다.

          Retinoic acid는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어두운 피부를 밝게 해 준다(lightening).

 

 2)    Adapalene

      여드름 국소 도포제다. Retinoic acid와 유사하다. 젤(Gel) 제제로 0.1% 농도이다.

      경미하거나 중등도 여드름에 유효하다. 일부 항염 효과도 있다.

      부작용은 retinoic acid와 비슷- 피부 자극(부종, 건조 피부, 따끔 거림, 가려움증, 작열감)이 있을 수 있다.

      Adapalene 제제는 얇은 필름으로 바르고 취침 전 세안 후에 바른다.

3)    Differin gel 0.1%

4)    Azelaic acid (아젤리아 크림 )

     신체에서 생산된다. 항균, 항염 효과가 있고  피부의 색소 및 어두운 병변을 밝게 해준다.

     또한 모낭 내 세포의 대체율을 조절하여 각질 물질에 의한 모낭 폐쇄 및 면포 형성을 방지한다.

     이 제제는 염증성이나 비염증성 여드름 모두에 사용한다. 

5)    레오날 크림

6)   살리실산, 유황, 리조르시놀(Resorcinol)를 함유한 제제..keratolytic substance
각질층을 용해시켜 모공을 막고있는 물질을 제거한다.  약한 항염작용 있다.

        건조감을 유발하며 요즘은 사용을 거의 안 한다.

7)  알파 히드록시 산(Alpha-Hydroxy acids)
화학적 박피제(Chemical exfoliants)로서 저 농도 제제는 하루에 한번 내지 두 번 도포한다.

      피부 외층에 있는 죽은 세포와 퇴행성 세포 간의 유착을 약화시켜 모낭 막힘을 방지한다.

      경증 및 중등도 여드름에서 저농도의 AHA가 효과가 있다. 여드름 병변의 숫자다 줄어든다.  

B)   국소 항생제

 1)    Benzyl peroxide :

     세균 단백질을 산화시킴으로서 항균 작용을 하는 물질이다.

     일부 각질 용해 작용도 있다.   Benzoyl peroxide는 보통 2.5%, 5%, 10% 농도로 사용된다.

     건조 및 피부자극을 유발하므로 낮은 농도-->피부 자극이 없으면 점차 고농도로 옮겨간다.

-      벤작에이씨 겔(2.5/5/10%)

-      벤작에이씨겔 워시 로션(5/10%)

-      브레복실겔 4%

2)    클린다마이신 (Clindamycin)

-      아클리신 외 용액(하루 2)

3)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      에리솔액,   에리아크네, 에리젤 겔, 에이틴 겔 ,예그린 액

 

C)   경구 항생제

 1)    tetracycline     테트라사이클린,doxycycline    독시싸이클린,     minocycline    미노신

  2)   erythromycin  에리스로마이신

 

D)    호르몬제제 와 경구용 비타민 A 유도체 

   -  호르몬 제제는 에스트로젠인 “ethinyloestradiol”,

        항 안드로젠 물질인 “Cyproterone acetate”를 함유한다. 

   -    로아큐탄(Roacutane = Isotretinoin)       

               1) 피지선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2) 피지선의 활동도를 감소시켜 피지 배출을 감소시킨다
               3) 모낭내의 세균을 감소시키고
               4) 모낭의 염증 수준을 감소시키는 항염작용이 있다
               5) 각질 형성 과정을 회복시키고 모낭 내 세포의 대체률을 정상으로 유도한다
                   다른 치료에 저항하는 여드름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 Isotretinoin의 흔한 부작용
            1) 치료 초기 수주 동안 피부가 건조해지고 벗겨지고 각질이 일어난다
            2) 햇볕에 대한 피부 감수성이 증가한다. 경미한 발적부터 심한 발진까지 생길 수 있다.
            3) 구강 건조. 비출혈(건조 때문에), 입술을 자극하고 각질이 일어난다
            4) 일시적인 모발 소실
            5) 일시적 간 기능 손상 가능성.

                따라서 Isotretinoin 복용자는 적어도 한 달에 한번 간 기능 혈액 검사를 시행한다
            보통 복용 1-2주에 피부 및 점막 건조(구강 및 비점막)를 보이고 치료 2주에 여드름이 약간 악화된다.

            그러나 3주 째 부터 염증성 여드름 병변이 경감되고

            4주 째 부터는 대부분의 여드름이 점진적 개선을 보인다.

            사춘기 이전에는 isotretinoin 투여가 권장되지 않는다. 임신 중에도 복용하면 안 된다.

            태아 기형 특히 심장과 신경계에 기형을 유발할 수 있다.

             Isotretinoin 복용을 중단하고 적어도 1달 내에는 임신하지 않는다. 매달 추적이 필요하다.

     

 E)   여드름 면포 추출

F)    여드름 억제 및 진정 효과를 위해 (염증이 신속하게 가라 앉고 상처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

 

 1)    헬륨-네온 레이저(He-Ne Laser)

 2)    바이옵트론

 

G)   스테로이드 주사(Steroid injection): 염증성 낭포 및 결절 크기 감소, 통증 경감, 반흔 예방 목적

  2-3 주 간격으로  0.05~0.25 ㎖-트리암시놀론(TML)을 주입한다 (2.5~10 mg/ml).   6-12개월이면 회복된다.

  그러나 피부 위축을 주의한다. 여드름 낭종이 심한 염증을 동반하면 파열되어 반흔을 남긴다

 

H)   박피 (Peeling): 모낭벽 과각화증을 방지한다

 모공을 열어 피지 배출을 쉽게 하고 염증을 완화시키고

 모공을 통해 국소 도포제의 경피 흡수를 촉진시켜 약물 효능을 증대시킨다 

 

I)     Dot Peeling : 70% TCA를 세필이나 이쑤시게로 찍어 바른다. 1달 간격으로 반복한다.

 

J)     켈로이드(Kelloid):  스테로이드를 병변 내 주입(ILI)한다.

   Steroid는 교원 섬유 합성을 억제시켜 염증 및 반흔 크기를 감소시킨다.

   트리암시놀론(TML) 10-40 mg/ml 2주 간격으로 주사한다.

K)   비후성 반흔: 수년 내 자연 소실되지만 트리암시놀론(TML)2주 간격으로 병변 내 주입한다.

    TML10 mg/ml, 25 mg/ml, 40 mg/ml 등 농도를 사용한다.

    병변의 진피 중앙 부위에 정확하게 주사,  피부 표면이 약간 올라오는 정도로 주사하며 3 ml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염증 경감을 위해서는 2-10 mg/ml로 희석하고 ,

    켈로이드 경감을 위해서는 25-40 mg/ml로 희석하여 30 G 바늘을 사용한다. 

 

    L)   작은 표피성 낭종의 최소 절개술(Minimal excision technique of Small Epidermal Cyst)

        -      #11 blade로 낭종의 꼭대기를 절개한다

         -       모든 낭종 내용물을 적극적으로 짜 낸다

         -       낭종 벽을 주변 조직과 분리한다(loosening)

         -       Hemostat으로 낭종벽 전체를 잡고 조심스럽게 절개창 밖으로 끌어낸다

         -      봉합이 필요 없다. 봉합하지 않아도 흉터가 생기지 않는다.

              얼굴이나 노출 부위 시술은 이 방법이 바람직하다

         -     CO2 Laser로 구멍을 뚫고 낭종 주머니를 박리하기도 한다.

 

 

 

 

 

▣▣ 피부 세정 ( Skin Cleansing )

   제거해야 할 피부 오물(dirt)은 먼지, 매연, 땀, 피지 파괴 물질, 화장품 찌꺼기, 기타 공기 중에 포함된 물질 등이다.

   이런 물질들이 피부 표면의 얇은 기름막에 달라 붙는다. 

   오일은 물을 배척하기 때문에 피부 표면의 오일 층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비누를 사용해야 한다. 

  ** 세안 요령
  1) 피부 타입에 맞는 Mild soap을 사용한다. 건성 피부에는 보습제가 함유된 비누를 사용한다
  2) 세수할 때 얼굴을 과다하게 문지르지(scrubbing) 않는다.
  3) 얼굴을 건조시킬 때 과가하게 마찰하면 피부를 자극한다.

      소프트한 수건으로 가볍게 두드리면서 물기를 닦아낸다.
  4) 미지근한 물(차겁지도 뜨겁지도 않는)이 좋다.

 

 ▲ 비누

  ◎ 비누의 활성 성분은 여러 가지 지방산 염이며, 비누 지방산의 소스는 동물 또는 식물이다. 
    ** 비누에 흔히 사용되는 지방산은 ?

        스테아르산, 팔미틴산, 올레인 산(ole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이다. 

   비누의 특이한 분자 구조 때문에 비누 입자는 오물이 묻어있는 지방 방울을 코팅(coating)한 후 물로 씻겨진다.

   이처럼 기름 입자를 코팅하여 피부에서 제거 시키는 비누 구조를 교질 입자(micelle)라고 한다.

   비누 분자는 전하(電荷) 때문에 교질 입자 형태로 배열된다. micelle이 기름 방울을 제거하는 것이다.

 

  ◎ 활성 성분 이외의 비누 성분
   보습제. 보존제, 착색제, 방향제, 항균제, 산도 조절 물질 등이 들어 있다

 - 보습제
     모든 비누는 피부 표면의 오일층을 제거한다.

     그러나 불순물을 포함한 오일 뿐 아니라 피부를 보호하는 자연 오일층까지 제거한다. 

     오일층 제거로 피부가 전조되면 피부 자극에 민감해진다.

     따라서 라놀린, 글리세린 및 여러 가지 식물성 지방 등 보습제를 함유한다.

     건조한 경향이 있는 사람은  비누(보습제 함유된)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크림이나 연고 형태의 보습제를 발라야 한다.

- 보존제와 착색제

- 방향제
  원래 비누 성분(raw ingredient)의 냄새를 방지한다. 그러나 이것이 앨러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항균제
   항균 비누는 보통 TriclocarbanTriclosan을 함유한다. 

   세척 후 이들 물질의 찌꺼기가 피부 표면에 남아 세균 성장을 억제--> 감염(모낭염, 여드름 등) 예방함

   항균제를 포함한 비누는 불쾌한 체취를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 산도를 조절하는 물질
   피부의 산도는 보통 산성이다. 유산이나 시트르산(구연산) 때문이다.

   일부 비누는 피부 산도를 저하시켜 산성화함으로써 항균 작용을 기대하기도 한다.

- 기타 물질 
  비타민, 약물 또는 과일이나 기타 식물에서 유래한 천연 성분을 함유한 비누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 의학적 가치는 없다. 비누가 짧은 시간 피부와 접촉하며 피부에서 금새 씻겨나가기 때문이다.


 

 ## 레귤라 비누(Regular soap)

  ** 피부를 자극하는 이유는?

   ① 수도 물에는 칼슘과 마그네슘이 들어 있다. --> 비누 사용 後,지방산의 칼슘염 또는 지방산의 마그네슘염이 형성 

      --> 쉽게 녹지 않아  피부 표면에 남아서 피부를 자극한다.

     ②  Regular soap (pH) 가 높은 알칼리성이라는 사실이다.

           보통 9-10 정도이며 때로는 10 이상이 되는 알칼리성으로......  정상 피부 PH인 4-6.5보다 훨씬 높다. 
           정상 피부는 산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있어 비누 사용 후 30분 ~2시간이면 산도가 정상으로 돌아온다.
           피부의 산도를 유지하는 것은 진균이나 세균 감염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준다.

 

     ** 산도란 무엇인가?
        용액의 산도는 수소이온의 농도로 결정된다. PH value는 0-14까지다. 강

        산(염산 ; HCl)은 산도가 거의 '0'에 가깝다.

        강염기는(가성소다; NaOH) 수소 이온 농도가 낮아 pH가 14에 가깝다.

        순수한 물의 pH는 중성이며 7이다
        혈액의 pH는 7.4, 우유는 6-7, 레몬은 2-3 이다., 정상 피부는 4 - 6.5이다.

 

 ## 합성 비누(Synthetic soap: Soapless soap)
      합성 비누는 대개 원유 정제의 부산물로 만든다.

      계면 활성제(Surfactants ; Surface-active agents)는 비누와 샴푸의 주요 성분을 만드는 수용성 화합물이다.

      비누의 계면활성제는 Regular soap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즉  전기 하전 때문에 micelle 을 형성, 오물+ 오일의 작은 입자는 micelle 내에 갇히게 되어 물로 씻겨진다.
      계면 활성제로 만들어진 세척제는 ...대개 고체나 액체의 형태를 취한다.

      인공 비누(artificial soap), 비누 없는 비누(soapless soap), 합성 비누(synthetic soap)라고 한다.

      합성 비누의 이점은 피부 자극이 없다는 점이다.

     PH가 정상 피부의 산도로 맞춰져 있다. 유산(lactic acid)을 이용하여 산도를 맞춘다.


  계면활성제
   1) (-)음이온 계면 활성제

   2) (+) 양이온 계면 활성제

   3) 비이온 계면 활성제

   4) (+/-)양가이온(amphoterics) 계면활성제 등 4가지 그룹이 있다.

    각 그룹의 성질은 화학적 전하에 의해 결정된다.

    각각의 계면 활성제는 세척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서로 다른 화학적 성질을 지닌다.
    Regular soap는 화학적 구조 면에서 지방산의 나트륨 염이며 음이온 계면 활성제에 속한다.

   세척제(Detergent )
    합성 세척제(Synthetic detergent)=  비누없는 비누(soapless soap).

    비누없는 비누 또는 계면활성제라고 한다.

    보통 접시를 닦는데 사용되는 강한 세척제를 세척제라고 한다. 모든 세척제의 원리는 동일하다.


 

 ## 지성 피부에 사용되는 비누
    보습제의 양이 극소량이다. 피부 오일층을 제거하기 위해 계면 활성제를 함유한다.

    보습제는 피부 타입에 따라 사용해야 한다.

    건성 피부는 보습제( 라놀린, 글리세린 및 여러 가지 식물성 지방 )를 함유한 비누를 사용하고

    지성 피부나 여드름 피부에는 보습제 함유 비누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 
 ## 투명 비누(Transparent soap)
     보습제를 포함한 형태의 비누로  투명 비누는 비교적 mild하다.

     글리세린이나 여러 종류의 설탕 농도가 다른 비누보다 더 높다.

     글리세린 농도가 높아 비누가 투명하게 보이는 것이다.

     글리세린은 피부에서 물기를 흡수, 피부를 건조하게 한다. --> 투명 비누는 보습제 추가가 필요함 

     각 투명 비누는 건조 피부, 지성 피부, 정상 피부에 따라 맞춤제가 되어야 한다.

 

 ## 항균 성질을 가진 비누
  1) Benzoyl peroxide:   항균제다. 여드름 치료에 사용된다.
  2) 고농도의 유산:         산도가 3.5 가량으로 항균 작용이 있다.
  3) 포비돈 요도(Povidone iodine) 포함 비누: 항균 작용이 뛰어남.

                               그러나 피부 자극이 올 수 있다. 여성 뒷물에 사용하기도 한다

  아포크린샘과 악취
     아포크린샘의 분비물에 존재한 유기물질의 파괴 때문에 냄새가 난다.

     겨드랑이와 사타구니에 아포크린샘이 존재한다. 세균에 의해 분비물이 파되 된다.

     따라서 항균 비누를 사용하여 세균 성장을 방지하고 어느 정도 불쾌한 체취를 감소시킨다.

     항균 비누의 사용 횟수가 중요하다. 얼굴에는 아포크린 샘이 없기 때문에 얼굴 이외의 신체 부위에 사용한다.

 

 ## 자극성이 경미한 비누(Mild hypoallergenic soaps)
     방향제 및 착색제를 제외시킨다.

    양가 이온 계면 활성제인 베타인 그룹으로부터 유래한 물질을 포함한다.

    이는 피부나 눈의 따끔거림(stinging)이 없다. 

    민감 피부 소유자나 유아에게 사용한다.( regular soap 에 비해 피부 자극이 적다.)

 

 ## 여드름 비누
   Benzoyl peroxide 등 항균제(강력한 산화제)를 함유한다.

   매우 강력한 세정 성질의 비누는  피부의 유성을 제거함으로써 여드름 치료를 돕는다.

   대부분의 여드름 치료제는 피부를 건조 시킨다.

   따라서 여드름 치료 비누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피부 건조가 더욱 심화된다.

 

  ▲ 얼굴 세정을 위한 크림 또는 액체 유탁액( liquid emulsion )

   얼굴 세정 목적의 크림과 액체 에멀전은 기본적으로 오일과 물의 혼합물이다.

  크림과 에멀전의 차이는 점성의 정도에 있다.

  제제가 엷고 액체일 때 액체 에멀전이라고 하고 지방 성분이 더 많은 반고형 제제는 크림이다.

  이 둘은 모두 오일, 수분, 세정 물질(mild soap와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지며 제제마다 성분의 차이가 있다.

  이들 제제를 피부에 바르고 잠시 방치해 둔 다음

  젖은 얼굴 수건으로 제거하거나 물로 헹구어내면(물로 헹구는 것이 더 좋다) 용해된 오물과 함께 오일층이 제거된다.

  유화제, 항균제, 세정제, 여러 가지  용매와 보습제 등 여러 가지 물질이 첨가되어 있다.

 

   중유(重油; Heavy oil)로 만들어진 화장품: 

   클린싱 크림이나 에멀전은 지방 물질을 용해시켜 화장품을 쉽게 제거한다.

   피부의 피지를 제거하는데 비누와 물로 문지르는 것보다 더 효율적이다.

   클린싱 크림과 에멀젼에는 오일을 포함하고 있어 씻어낸 후에도

    피부에 얇은 오일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건성 피부에 더 효과적이다.

    지성피부나 여드름 피부에는 권장되지 않는다.

 **  클린싱 크림을 보습 크림으로 사용하지 말라
     클린싱 크림과 에멀전은 세정제를 함유, 피부 자극을 유발하므로 가급적 빨리 피부에서 제거해야 한다. 

     피부에 클린싱 크림을 보습제만큼 오래 방치해두면 피부에 비누를 오랫동안 방치해 둔 것과 같다. 

    그래서 종이 티슈나 천으로 닦아내는 것보다 물로 씻어내는 것이 좋다.

 

  ▲ 연마용 클린저 ( Abrasive Cleansers)
     얼굴을 세정하기 위해 디자인된 크림이나 에멀전을 연마용 클린저(abrasive cleanser)라고 한다.

     표준 성분 외에 미세한 천연 또는 합성 과립을 함유하고 있어 연마 효과(abrasive effect)가 있다.

    이 제제는 각질층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다.

    일반적으로 정상 피부 소유자는  저절로 필링되므로 연마용 클린저가 필요 없다. 

    또 이런 제제가 필요한 사람이라도 1주일에 1번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자주 사용하면 피부의 정상적인 방어 기능이 약화되기 때문이다.

    이 제품을 사용하여 마사지하거나 문지를(Rubbing)때는 주의해야 한다.

 

   안면 세정 마스크(Facial Cleansing Mask)

    보통 15-30분 부착 한 후 제거한다.

      비누와 물로 씻어내고 보습제 크림을 바르거나 수렴제(astringent)를 함께 사용하는 격이다.

  ** 얼굴 마스크(Facial mask)의 기능
   1) 피부 세척에 효과적이다. : 각질층 표층의 박피효과가 있다.
   2) 피부의 보습 기능: 사용 후에는 약간 부어 올라 일시적으로 미세한 주름이 제거된다.

                                  밀폐 효과에 의한 피부의  보습 효과입니다. 

                                  마스크에 보습제를 함유하면 보습효과가 더 커진다.
   3) 여드름 치료 효과: 마스크가 여드름 치료 성분이 들어 있을 때 효과가 있다.
   4) 웰빙감 :  마스크를 얼굴에 착용시 피부 정돈된 느낌,

                     마스크를 제거하면 피부가 팽팽해지며 신선하고 깨끗한 느낌이 든다.

                     마스크에 수렴제가 포함되면 이런 느낌이 더욱 커진다.

    얼굴 마스크는 피부에 영양을 주지는 않는다.

    주름도 펴지지 않는다. 다만 피부 보습으로 일시적인 진정효과가 있다.

 

   **  얼굴 세정 마스크의 문제점
   
1) 피부 자극: 마스크 성분에 대한 앨러지 반응
     2) 피부 감염

          따라서 마스크 사용 전에 환자의 앨러지 병력을 체크한다.
         마스크 한 후, 씻어낸 다음 보습 크림을 얼굴에 발라준다.

         얼굴 세정 마스크 후에는 바람, 햇볕, 오염된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피한다.

          왜냐면, 얼굴 마스크는 피부 최외층의 표층 박피 효과가 약간 있기 때문이다.

         

   ☞ 씻어내는 마스크와 벗겨내는 마스크
      (Rinse off mask & Peel off mask)

   1)물로 씻어내는 마스크
    씻어내는 마스크는 미지근한 물이나 따스한 물로 제거한다.
   가) 흡수성 마스크(Absorbent mask): 불용성 파우더, 자연 점토(natural clay)나 진흙(mud)이다

       기본 성분은 파우더 :  산화 아연, 이산화 티타늄, 카올린(Kaolin), 칼라민등의 무기물질로 만든다. 
        또 다른 성분은 가공된 찰흙(clay)과 천연 진흙(mud)이다.

        얼굴에서 마스크를 쉽게 떼어내기 위해서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과 소량의 비누를 첨가하기도 한다.

        이 마스크는 피부에서 지방을 흡수하기 때문에 유성 피부에 적용한다.

        마스크[ 페이스트화 ( 파우더 + 물, 우유, 기타 과일등 추출물의 혼합물 )]를 피부에 부착하고

        제조원의 지시대로 일정시간 올려놓고 비누와 물로 씻어낸다. 보통 15-30분이다.


   나) 젤 마스크(Gel mask) : 트래거캔스 고무(Tragacanth)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다) 일부 씻어내는 마스크는 실제로는 마스크가 아니고 보습제나 청결제의 혼합물이다.

 

  2)벗겨내는 마스크.....고무 물질로 만들어진다.
     먼저 물에 적신 얇은 거즈를 얼굴에 댄다.

      마스크를 얇은 거즈 위에 부착한다. ( 거즈로 마스크 내 물질이 스며들고 떼어내기 쉽다.)

      보통 10~15분 後, 시간이 종료되면 거즈를 들어올린 채 얼굴에서 마스크와 거즈를 함께 제거한다.
   가) 폴리비닐 알코올 (Polyvinyl alcohol) 등의 비닐 기제 물질이다
   나) 라텍스(Latex)나 기타 천연 고무 화합물 등의 고무 기제 물질이다

      마스크는 얼굴에 부착하면 건조되어 단단해지며 피부에 얇고, 신축성 있는 투명한 시트가 된다.

      이 경우에는 물로 씻어내어 제거하지 않고 얼굴에서 벗겨낸다.

      마스크는 보통 15-30분 정도 부착한다.

      마스크는 점토(찰흙; 씻어내는 마스크)와 고무 성분(벗겨내는 마스크) 등으로 제조한다.

       Carboxymethyl cellulose 등의 hydrocolloid substance는 어떤 타입의 마스크에도 추가될 수 있다.

      이 마스크는 점토 기제의 마스크나 파우더 기제의 마스크처럼 피부에서 지방을 흡수하지 않는다.

      주요 기능은 피부 표면에서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것이다.

      마스크 부착 시간동안 피부의 습기량이 증가한다.  비교적 건조한 안면 피부에 적용한다.

     
  ☞  
색다른 얼굴 마스크(Exotic Facial mask)
   토양 성분에 따른 여러 종류의 진흙 마스크, 밀랍, 해초 추출물, 기타 여러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한 마스크다.

    매우 짧은 시간동안 피부에 작용하기 때문에 이들 성분이 피부에 침투하여 미용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은 회의적이다.

 

   여드름용 얼굴 마스크: 여드름 치료에 효과적인 보조 수단이다.
   1) 피부에서 오일을 흡수하는 물질
   2) 유황(sulfur)나 benzoyl peroxide등 여드름 치료제를 함유한 물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