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 피임약, 복용은?
▣ 응급피임약: 약사.2795번. 글 : e-pharm
Yuzpe 응급피임법'은 여성 호르몬과 황체호르몬의 복합제를 성교후 72시간 내에 1회 복용하고그 후 12시간 후 다시 1회 복용하게 하는 방법 , 임신을 75% 예방할 수 있다
▣ 경구피임약 중의 몇 알을 선택하여 처방할 수밖에 없다(표).
제품명 | 회사명 | 성분 | 성교후72시간내 첫복용후 12시간째 |
트리퀼라 | 쉐링 | 4정(황갈색) 4정(황갈색) | |
미니보라 | 쉐링 | 4정 4정 |
## 성교후 응급피임약의 4가지 사용 방법에 대한 지침 (1996년 6월 FDA에서 승인)
** 성교 후 72시간 내에 2알을 복용하고 12시간 후에 2알을 다시 복용한다.
① Ethinyl estradiol 0.05mg과 norgestrel 0.5mg이 함유된 알약. ▶
** 성교후 72시간 내에 4알을 복용하고 12시간 후에 4알을 다시 복용한다.
② Ethinyl estradiol 0.03mg과 norgestrel 0.3mg이 함유된 알약 ▶
③ Ethinyl estradiol 0.03mg과 levonorgestrel 0.15mg이 함유된 알약 ▶
④ Ethinyl estradiol 0.03mg과 levonorgestrel 0.125mg이 함유된 알약. ▶
## 복용 방법
복용 방법은 성교 후 72시간 내에 처음 용량을 복용하고 그 후 12시간이 될 때에 두 번째 용량을 복용한다.
## 응급피임약의 작용 기전
응급피임약을 복용하면 단기간에 강력한, 폭발적인 호르몬의 노출에 의해
① 배란을 지연 또는 억제하고
② 정자나 난자의 난관 통과를 방해하여 수정을 억제하고
③ 가장 주된 작용은 자궁내막을 변형시키므로써 착상을 억제하므로 임신을 예방할 수 있다.
응급피임약은 수정란이 자궁 내막에 착상( 배란~착상: 6일소요)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착상 이전의 시기에 사용할 것
## 피임 효과
응급 복합 피임약의 피임 성공률은 56.4%에서 89.3%까지 다양하다.
## 부작용 및 주의 사항
부작용 ; 오심, 구토- 진토제(dramamine 1~2정, domperidone 1~2정)를 30분전, 필요시에는 4∼6시간 간격으로 복용한다.
경한 부작용 : 두통, 유방통, 어지러움 및 체액 저류.
경구피임약 복용의 금기증이 있는 사람은 역시 응급 피임약도 복용 하여서는 안된다.
응급피임약을 복용한 후의 월경은 평소보다 며칠 빠르거나 늦게 시작할 수 있다.
만일 월경 예정일에서 1∼2주 경과하여도 월경이 없을 때는 임신을 꼭 확인하여야 한다.
자궁외임신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한다.
응급피임법은 AIDS나 기타 성병을 예방하지는 못하므로 성교 시마다 콘돔이나 페미돔을 사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 피임약에 복용에 대한 궁금증 해결◑◑
## 피임약 복용을 이틀간 빠뜨렸을 때...
피임약 복용시 오심 ,구토등의 부작용이 있다면 취침전에 복용한다.
## 제가 피임약을 3주정도 먹은 후에 끊었어요. 그랬더니 이틀후에 생리를 했거든요?
답변- 피임약 복용을 시작--> 생리주기상의 생리예정일에 생리가 나오지 않고
피임약복용을 마친후 2~3일후에 소퇴행성출혈이라고 하여 생리를 대신하는 출혈이 생길 수 있다.
계속 주기적으로 피임약을 복용하면 같은 현상이 계속 반복됩니다.
보통 피임약을 장기간 복용하시면 생리는 생리예정일에 나오지 않고 생리예정일보다 빠른 5~6일에 나옵니다.
정상적인 생리는 아마도 소퇴행성출혈이 있고 28~31일후 쯤에 나올 것으로 생각됩니다.
약의 복용을 정상적으로 용법용량대로 하셨고 소퇴행성출혈이 생기셨다면 피임에 성공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 피임약 변경시 함량 비교 성분은?.....약준모사자
프로게스테론제제 함량이 높은것 (0.15미리)를 주어야 겠지요?
☞☞ 예 . 생리 주기 연장時, Progesterone 함량이 높은것( 0.15 ㎎ )을 준다.
Q] 프로게스테론 제제는 이름이 참 다양합니다..
용량 비교 할때는 이름이 뭐건 간에 숫자만 비교하면 되는건가요?
※ 참고] 상품- 성분
마이보라 : 에 0.03 프 0.075
미니보라 : 에 0.03 프 0.15
머시론 : 에 0.02 프 0.15
미뉴렛 : 에 0.03 프 0.075
Q] 복합 경구피임약을 다른 상표로 바꾸고 싶을 경우,
아니면 프로게스테론이 0.15인게 高함량이고 프로게스테론이 0.075인게 低함량인가요??
☞☞ 고함량. 저함량은 에스트로겐이 기준 입니다.
즉, 에스트로겐이 0.03인게 고함량 제제이고 에스트로겐이 0.02인게 저함량 제제.
에스트로겐이 기준이 되는 이유는 에스트로겐의 조그마한 함량 차이가 부작용면에서는 크기 때문입니다
☞☞ 마이보라 ↔ 미니보라로 옮기건 , 평소의 복용법대로 투약, 1주간 휴약, 8일째 새 상표,약을 복용한다.
☞☞ 마이/미니/미뉴렛 에서 머쉬론으로 옮길때는 고함량에서 저함량으로 바꾸는 것이므로,
휴약기간 없이 계속 먹는다.
## 경구 피임약을 바꿀 때...휴약 기간은? - [출처 : 월간 의약정보 2004년 4월호 35P]
복합 경구피임약을 다른 상표로 바꾸고 싶을 경우
여성 호르몬의 함량이 동일하거나 낮은 약에서 높은 약으로 바꿀 때: ( 저고리는 옷고름은 풀고 쉬고 가라^^:::)
1주간 휴약하고 8일째부터 새로운 상표의 약을 복용합니다.
여성 호르몬 함량이 높은 약에서 낮은 약으로 바꿀 때:.......( 고저는 휴약없이 먹는다.)
먼저 먹던 피임약을 다 먹고 휴약 없이 바로 호르몬 함량이 적은 새 피임약을 복용합니다..
## 피임약을 장기복용하면 불임이 될 수 있나요?
피임약의 규칙적인 장기 복용으로 불임이 되지 않는다.
** 불임의 원인-
호르몬의 불균형 초래: 장기간 호르몬제의 불규칙적인 복용, 극심한 운동에 의한 호르몬 분비장애,
자궁, 난소, 난관의 이상, 그리고 선천적인 난소기능의 이상, 면역학적 이상 ......
▣▣ 피임약 : 2세대, 3세대.
3세대 피임약은 2세대 피임약에 비해 정맥혈전 위험을 두 배나 증가시킨다고 합니다???
‘어떤 약이 더 안전한가?’
피임약을 1세대, 2세대, 3세대로 나누는 것은 C-19 노르테스테론 같은 유도체 중에서
수용체 친화력의 차이에 따라 나눈 것.
2세대 피임약- 미니보라, 에이리스, 쎄스콘, 트리퀼라
3세대 피임약 : 머시론, 마이보라, 미뉴렛 , 야스민 (?)
야스민- 드로스피레논이라는 새로운 황체호르몬을 함유, 약간의 이뇨작용이 있어
에스트로겐으로 인한 수분저류를 막아 체중을 증가시키지 않고
항안드로겐 작용으로 여드름이나 지루성피부를 개선하고, 월경전증후군을 치료하는 이점이 있다.
체중 증가나 피부트러블이 걱정되는 경우에는 이 피임약을 전문의와의 상담 후 사용할 수 있다.
혈중의 칼륨 농도를 높이므로 심각한 심장질환, 근육약화, 혈액의 산도 균형을 깨뜨릴 수 있다.
35세이상,흡연자에게 있어서는
경구 피임약 복용은 2세대 ,3세대를 떠나서 매우 위험 합니다.
▣▣경구용 피임약 간의 차이점.. 달빛님 글
<첫글>
프로제스테론이 왜 테스토스테론양 효과를 갖는다고 자꾸들 그러느냐? 하면 이것의 합성 순서에서 단초를 찾아볼 수 있다.
호르몬의 합성 순서는 콜레스테롤 ->프로제스테론 -> 테스토스테론 -> 에스트로젠 이다. 대강이 그렇단이야기!!
이렇다보니 프로제스테론이 바로 뒤 물질인 테스토스테론양 효과를 갖는 것이 일정부분 이해가 갈만도 하다.
바뀌면 바로 테스토스테론이 되니 말이다. !!!
그럼 당연 PG가 에스트로젠 효과를 갖는 것도 여기서 일정부분 이해할수 있다.
물론 거꾸로 항 에스트로젠 효과를 내는 경우도 있다는게 약간 의아해할 부분~~
경구용 복합 피임약은 estrogen+progestin으로 되어있습니다.
피임약에 사용하는 Progestin은 종류에 따라서 1세대, 2세대, 3세대로 분류 합니다.
Classification of Synthetic Progestins
| ||||||||||||||||||||
| ||||||||||||||||||||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is based on time since market introduction and not on structural and physiologic differences or efficacy.†-- Not available in the United States. |
☞☞progestins는 대사과정에서 estrogenic effect나 anti-estrogenic effect를 나타냅니다.
또한 progestins는 구조적으로 testosterone과 유사하여 (합성순서상 바로 다음단계 라는거~!!!!)
androgenic effect를 약하게 가지기 때문에 피임약 복용으로 여드름이 유발되기도 합니다.
이 progestins중에서 progestonic effect + anti-androgenic effect 를 갖는 것이 있는데.
Cyproterone acetate(다이안느정)가 이에 해당합니다.
외국에서는 Cyproterone acetate의 antiandrogenic effect를 이용해
피임보다는 여드름 치료 목적으로 다이안느를 사용, 전문약으로 분류되었다.
그후 바이엘 쉐링에서 새로운 progestin인 Drospirenone을 개발해서 내놓습니다.
이 Drospirenone은 antiandrogenic effect외에 이뇨제와 유사한 구조적 특징으로 붓지않는 피임약이란 개념을 도입합니다.
이뇨제와의 유사구조 때문에 시민단체에서 문제를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이 Drospirenone 이 들어간 약이 야스민, 야즈입니다.
물론 국내에서 처음부터 전문약으로 승인을 받습니다. anti-androgenic effect 때문이지요..
피임약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의 차이를 구분하시겠는지요?^^
▣▣ [Progetin분류에 따른 세대별 분류]
▷▷ (1).2세대 피임약
<일반약> 미니보라 21정(바이엘 쉐링), 오부라로 21정(일동), 쎄스콘 21정(크라운)
1정중 Ethinyl Estradiol(EE) 0.03mg/ Levonorgestrel 0.15mg
트리퀼라 21정(바이엘 쉐링)
연갈색당의정 1정중 Ethinyl Estradiol(EE) 0.03mg/Levonorgestrel 0.05mg
백색당의정 1정중 Ethinyl Estradiol(EE) 0.04mg/Levonorgestrel 0.075mg
황갈색당의정 1정중 Ethinyl Estradiol(EE) 0.03mg/Levonorgestrel 0.125mg
☞☞ 2).저함량 :
<일반약> 에이리스 21정(일동)
1정중 Ethinyl Estradiol(EE) 0.02mg/Levonorgestrel 0.1mg
▷▷ (2).3세대 피임약
<일반약> 마이보라 21정(바이엘 쉐링), 미뉴렛 21정(일동)
1정중 Ethinyl Estradiol(EE) 0.03mg/ Gestodene 0.075mg
<전문약> 다이안느35 21정 (바이엘 쉐링), 노원아크 21정(한미), 클라렛 21정(현대),에리자 21정(크라운)
1정중 Ethinyl Estradiol(EE) 0.035mg/ Cyproterone acetate 2mg
야스민 21정(바이엘 쉐링)
1정중 Ethinyl Estradiol(EE) 0.03mg/ Drospirenone 3mg
☞☞ 2).저함량
<일반약> 머시론 21정(한국오가논)
1정중 Ethinyl Estradiol(EE) 0.02mg/ Desogestrel 0.15mg
멜리안 21정(바이엘 쉐링)
1정중 Ethinyl Estradiol(EE) 0.02mg/ Gestodene 0.075mg
<전문약> 야즈 28정(바이엘 쉐링)
연분홍색 필름코팅정 1정중 Ethinyl Estradiol(EE) 0.02mg/ Drospirenone 3mg
흰색 필름코팅정 1정 : placebo
▣▣ 부작용
“2세대 경구피임약에 비해 시프로테론 함유 피임약의 혈전위험이 4배 정도 증가 한다는 보고서가 많다”
3세대 피임약이 2세대에 비해 혈전유발 가능성이 높다고 외국에서 시민단체가 문제를 삼은적이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건약이 3세대 피임약에 대해 문제를 삼아서, 일부 소비자들중 3세대 피임약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복약상담실 8069번 글쓴분처럼 3세대 피임약을 약사가 권하면 약사를 나쁜놈 취급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이야기하면 2세대나 3세대나 피임약의 위험성은 같다고 봅니다.
2세대나 3세대나 나름대로 장단점이 있는데 그걸 파악하고 환자에게 적절한 피임약을 권해주면 되는거지요,
그게 약사가 할일 이구요, 2세대, 3세대 장단점 이야기는 나중에 시간나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1일 '초산 시프로테론 에치닐에스트라디올' 함유 4개 품목에 대해 허가사항(효능·효과)을 변경 지시했다.
식약청의 효능·효과항의 조정안은 ‘안드로겐 의존성 여드름이 있는 여성을 위한 피임藥입니다.
☞☞ 피임의 단독목적으로 사용해선 안 되며, 안드로겐 의존성 여드름 치료 + 피임 에 사용한다.
☞☞ 효능 효과가 변경되는 초산 시프로테론 에치닐에스트라디올' 함유 4개 품목은 ?한국 쉐링의 '다이안느35정' '에리자정'(크라운제약), '노원아크정'(한미약품), '클라렛정'(현대약품공업)
그러나 쉐링의 '다이안느'는 캐나다와 유럽 등지에서는 간암유발, 정맥혈전색전증 등의 위험 때문에
항생제에 효과가 없는 여드름 등에만 2차 치료제로 단기 사용토록 허가돼 있다.
다이안느는 미국 FDA의 승인조차 받지 못한 약물로, 미국에서는 시판허가조차 이뤄지지 않았다.
다이안느는 피임약이 아니다~!!!! -독일-
특히 독일에서는 ‘다이안느’를 피임약으로 장기복용한 여성이 지난 94년 간암으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해
독일정부가 안전성 조사에 착수했고, 피임에 대한 효능효과가 곧바로 삭제됐다.
마찬가지로 영국에서도 ‘다이안느’를 복용한 청소년들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해 규제가 강화됐다고 이들 단체는 주장했다.
“태국과 홍콩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심각한 부작용 위험 때문에
‘다이안느’는 피임약이 아닌 여드름 2차 치료제로 허가돼 있다”
☜☜☜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강아라 약사
강아라 약사가 건약의 일원이 돼 ,
‘다이안느’ 감시원으로 나서게 된 것은 지난 2000년 ‘프레팔시드’ 이슈가 발단을 제공했다.
강 약사는 ‘탈리도마이드’ 처럼 ....
약국에서 자신이 직접 취급했던 다빈도 의약품의 부작용과 안전성 문제가 부각되면서 새롭게 각성됐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얀센의 ‘프레팔시드’는 당시 위장관 운동 촉진제로 소화제처럼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됐었는데,
심각한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유로 미 FDA에서 허가취소된 지 한참후에야 한국에서 같은 조치가 내려졌죠.”
'프레팔시드' 부작용 논란으로 눈을 뜬 개국약사가 7년 뒤에 다른 약물인 '다이안느'를 사회적 이슈로 끌어올린 셈이다.
건약 의약품안전성팀이 표적인 된 ‘다이안느’의 문제점을 발견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의약품 위해사례 보고 등이 한국과는 비교도 안되게 잘 정리돼 있는 미국이나 유럽의 사이트들의 도움이 컸다.
“모니터링 결과 논점은 같은 약이 왜 나라마다 적응증이 다르게 허가됐을까,
‘다이안느’는 국내 허가당시 유럽과 캐나다 등지에서 사망 등의 부작용 문제로 떠들썩했는 데
왜 한국의 허가당국은 이 부분을 놓쳤을까, 쉐링은 왜 관련 사실을 허가당국에 알리지 않았을까 등으로 모아졌죠.”
강 약사는 시민단체들의 기자회견 이후 ‘다이안느’가 늦어졌지만 제위치를 찾게된 점을 무척 다행스럽게 생각했다.
그는 “이번 사건으로 한국의 의약품 안전성 관리체계가 미숙하다는 점이 또 한번 입증됐다”면서 “당국의 문제해결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허가사항을 변경하는 결정을 내리기까지 5개월이나 필요했을지 의문”이라면서, 식약청의 늦장 대응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약사법 제50조에 따르면, 약국개설자는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조제하는 경우 외에는 전문약을 판매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한 경우 1년 이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 벌금형에 처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함께 행정처분으로는 1차 위반시 업무정지 15일, 2차 위반시 업무정지 1개월, 3차 위반시 등록취소를 받게 된다.
▣▣ 살 안찌는 '드로스피레논' 피임약 첫 허가
'드로스피레논' 성분의 피임약-- 한국쉐링 '야스민정' 이 국내 첫 허가됐다.
전문의약품으로 허가받은 야스민이 눈길을 끄는 것은
장기복용시 체중증가 현상이 나타나는 기존 피임제들의 부작용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맞출 수 있다는 점. 야
야스민이 피임 효과 외 피부개선 효과도 부수적으로 나타낸다는 것이 쉐링측의 주장.
쉐링 관계자는 "드로스피레논 성분 피임제는 미국, 유럽에서는 이미 2000년부터 출시돼 가장 많이 팔리는 제품"이라며
"살이찌지 않는다는 웰빙형 피임약의 장점을 어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다음글 > ▶ 배란 억제작용( 피임효과): Progestin ◀
게스토덴, 레보놀게스트렐, 데소게스트렐은 19-nortestosterone에서 유도체이고 그중 가장 강력한 progestin이 gestodene입니다.
메드록시 프로게스테론, 시프로테론은 pregnanes류이고,
드로스피레논은 17a-spirolactone계이므로 알도스테론을 길항하여 부종감소 등에 도움이 됩니다.
만일 만약 이뇨제로 알닥톤을 드시고 계시다면 다른계열의 프로게스틴으로 바꿔야하겠죠
합성 에스트로겐은 효능이 같습니다. 따라서 용량만 비교하면 되구요.
합성 프로게스테론은 구조에 따라서 가지는 작용이 조금씩 다릅니다. 같은 계열은 용량만 비교하면 되구요,
계열이 다르면 단순 용량 비교는 의미가 없습니다
레보놀게스트렐, 데소게스트렐, 게스토덴은 다 같은 19-노르테스테스테론 계열입니다.
구조적으로 거의 유사 합니다. 그러므로 용량차이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레보놀게스트렐 0.15=데소게스트렐 0.15=게스토덴 0.15 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프로게스틴 함량만 보면 머시론=미니보라(쎄스콘)이라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생리를 연기할때 주작용은 프로게스틴이니 프로게스틴 함량이 높은걸 선택하는게 맞습니다.
머쉬론 먹고 휴가가서 피흘린 여자분은 예정일 임박해서 드셨던지, 아니면 소퇴성 출혈일 수도 있습니다.
소퇴성 출혈이라면 미니보라나 쎄스콘을 드셨다면 괜찮았을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피임약에서 메인작용을 나타내는 것은 프로제스테론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프로제스테론 단일제(복용시간을 칼갔이 맞추어야 한다는 등등의 단점이 있긴 하지만...)가 제품으로 나올 수있는 것이죠..
프로제스테론이 배란을 억제함으로써 피임을 시키는 것입니다 (물런, 프로제스테론의 다른 작용기전도 있습니다만).
에스트로젠도 나름대로의 피임효과가 있지만, 현재는 저함량(30-20)만 쓰고 있으므로, 주된 작용은 부정기적인 출혈을 막아 주는 것입니다.
복합 경구 피임약에서는 메인작용을 따진다면 에스트로겐 보다는 프로게스틴이 메인작용을 한다고 봅니다.
복용 시간 12시간 초과- 바로 1정을 복용하고 원래복용시간에 다시 1정을 복용한다.
추가로 7일동안은 피임이 안되므로 다른 피임법을 병용할 것.
특히 2정이상의 복용을 잊었을 경우는 복용전에 임신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