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복약지도(key)-카페

임신 진단, 임신오조

왕초롱이 2011. 6. 7. 17:15

 

진단 가능시기: 성행위후 8일후, 또는 생리예정일 7일전쯤부터 가능합니다.(이론: 나팔관에서 수정, 7일 후 태반에 착상).   

                   hCG(human chorionic gonadotropin ) 을 측정한다.

                  이건 수정란이 나팔관을 통해 내려와서 자궁에 착상후 12-24시간이 지난후 부터 분비가 되는 것입니다.

                  임신진단키트 감도는 예정일에서 오래지날수록  정확도가 높게 됩니다. (hCG량이 계속 증가하므로)

                  불안정한 착상상태를 보호하기 위해서 자궁 및 관련 장의 운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긴급하게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임신 3개월이 지나면 hcG는 증가하지 않습니다.

                  이때는 프로게스테론이 급속도로 증가하기 땜에 hCG는 별 의미가 없게되는 것입니다.

                 프로게스테론이 증가한다는 것은 변비와 오심, 구토가 생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장운동이 안되므로) 
                 임신초기의 변비나 입덧의 주원인이기도 합니다. 그러다가 몸이 적응되면 좀 괜찮아 집니다.

                 임신말기가 되면 다시 변비가 생깁니다.   

                 이는 태아가 커져서 자궁이 대장을 압박하여 대장이 눌리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임신 오조에 도움 되는 영양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