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四診合參
疾病을 辨證하여 病因을 찾을 때 반드시 四診을 통해 얻은 모든 자료를 종합, 분석하는 것을 일컫는다.
四診을 통해 얻은 모든 자료들을 전면적으로 분석하여야 하는데 四診은 각각 다른 진찰방법이며 각각 다른 각도로부터 병증을 검사하고 임상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므로 이 네 개 방면의 자료들은 모두 임상적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 중 어느 하나를 지나치게 중시하거나 어느 하나를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3. 中醫診斷學의 內容
1) 四診
望診, 問診, 聞診, 切診
2) 辨證
# 八綱辨證 : 辨證적 總綱
# 氣血津液辨證 : 臟腑辨證의 부족한 部分을 補充
# 臟腑辨證 : 주로 內科疾病의 辨證에 活用
# 六經辨證 : 傷寒論적 辨證方法
# 衛氣榮血辨證 : 溫病적 辨證方法
# 三焦辨證 : 溫病적 辨證方法
# 經絡辨證
# 病因辨證
氣血津液辨證
<氣> ---- 자연을 구성하는 기본물질
---- 자연의 모든 사물은 氣의 운동변화에 의해 생성된다.
---- 수곡섭취 ~ 인체의 氣로 전환 - 생명영위.
1. 氣의 기본
1) 정기 - 선천적인 氣 - 腎 (저장) 腎-脾-肺
2) 후천의 기 - 수곡정미 ~ 비위의 운화기능에 의해 얻어짐.
3) 청기(천기) - 폐의 호흡에 의해 얻어진 것.
水穀之氣. 呼吸之氣 - 人體構成. 生命活動 維持
臟腑之氣. 經絡之氣. - 臟腑組織. 運動機能
2. 氣生成
1) 精氣(腎中)
2) 水穀之氣
3) 淸氣(天陽之氣. 吸入)
3. 氣作用
1) 推動作用 : 인체생장. 발육. 각 장부경락생리활동 혈액순행, 진액수포
2) 溫煦作用 : 정상적 체온유지
3) 防禦作用 : 인체기표 호위 - 六淫侵襲防止
4) 固攝作用 : 혈액통제 - 脈外 出血防止 汗尿統制 精華固攝
5) 氣化作用 : 氣血精津液 間 相互化生(精化爲氣)
4. 氣分類
1) 원기 2) 종기 3) 영기 4) 위기
5. 臟腑之氣
肺氣, 心氣, 脾氣, 肝氣, 腎氣, 胃氣 - 五臟六腑之氣 - 各臟腑기능 원동력
<血>
1. 血 : 맥관(혈관)내 - 순행 - 적색 액체
2. 血生成
1) 水穀精微 - 化生
2) 營氣入心脈. 化生血液
3) 精血同源 精血之間 相互轉化
3. 血 : 機能
1) 血主濡養 (全身營養, 滋潤)
2) 정신활동의 물질적 기초
4. 血循行
1) 心主血脈 : 血液循行 推動
2) 肝臟血
3) 脾統血
장부혈허증
․ 心血虛 - 어지럽고 머리가 흔들린다. 건망, 초조, 불안, 비애, 다몽,
동계(心主神)
․ 肝血虛 - 눈이 가물, 안구 건조감, 피곤하다. 초조감, 사지마비, 근육경련, 월경주기 변화, 피부 거침, 갈색반점
- 수반증상 : 血虛生風(혈허시 피부소양증)
肝氣鬱結(우울, 억울, 초조, 분노, 정서불안) - 소요산.
<津液>
1. 津液 : 인체 내 정상수액 총칭
2. 津液 生成
水穀 ~ 脾胃運化 吸收 ~ 三焦氣化作用 ~ 津液 肺脾腎 三焦氣化作用~ 吸收. 輸布. 排泄
3. 津液機能
1) 皮膚肌膚 ~ 자윤(체표)
2) 臟腑空竅 ~ 자윤 유양(체내)
3) 關節骨髓 腦髓 ~ 充養 자윤 滑利(關節)
4) 혈액중 수분보충
5) 인체음양평형 조절
6) 노폐물 排泄
4. 代射
*생성 - 脾 肺 腎 *수송, 분포 - 생명활동. *배설- 발한, 배뇨
5. 病症
*진액부족 - 피부건조, 구갈, 인건, 근육이 뒤틀림.
*중초에 습탁이 쌓이면 痰飮, 심하면 浮腫
6. 담증, 음증, 수증
1)담증 -- 脾가 濕을 제어하지 못하고 運化를 다하지 못하는 경우.
濕痰 : 맑고 흰가래, 흉민, 오심 - 천남성, 백출, 반하 창출 ~ 이진탕.
寒痰 : 맑고 희박, 설태활 - 건강, 육계, 부자 양강, ~ 반하온폐탕.
熱痰 : 담열, 불면, 구갈, 흉통 - 죽여, 황금, 황련, 괄루인, 패모, 상백피, 우담남성, ~ 지실죽여탕. 소조중탕, 대조중탕.
風痰 : 痰飮이 心竅를 막아서 갑자기 졸도하여 거품, 경련, 두혼중통 ~ 도담탕, 반하백출천마탕.
燥痰 : 가래점조, 구순구갈, 혀가 붉고 脈, 細, 數 ~ 청폐탕.
中醫診斷學에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이진호 한약이사님께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02-2615-4491)
|